-
[투자용어]유동비율[정의]유동비율은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쓰입니다. 유동비율이 클수록 기업의 재무유동성이 큰 것으로, 대개 200% 이상이면 이상적으로 판단합니다.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100(%)[활용]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유동부채를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으로 갚을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200% 이상을 이상적이라고 판단하지만, 업종별로 유동비율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업종 평균 및 업종 내 타 기업과 비교할 필요가 있습니다.[계산]한 기업의&nb ......
-
[투자용어]부채비율[정의]부채비율은 기업의 총자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 자본구성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대개 100% 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으나 업종에 따라서 차이가 있습니다. 부채는 총자산에서 자기자본을 제외한 타인자본을 말합니다. 부채의 구분은 주로 상환기일이 1년 이내인 유동부채와 상환기일이 1년 이상인 비유동부채로 나눕니다.혹은 이자발생 여부에 따라 이자발생부채와 비이자발생부채로 나누기도 합니다.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부채비율 = 타인자본(부채총계)/자기자본(자본총계) ×100(% ......
-
[투자용어]토지(Land)1. 정의기업이 영업활동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공장이나 사무실의 기반을 이루는 땅입니다.2. 투자자 point토지는 감가상각의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건물이나 기타 유형자산과 달리 장부에 기록된 가치가 하락하지 않습니다. 기업에 따라 토지의 가격을 재평가하여 장부가격을 올리는 기업도 있지만, 처음 취득가격으로 계속 기록해 놓는 기업도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런 기업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기업의 역사가 오래되고 공장부지 등으로 보유한 토지가 많다면, 현재 시장가격으로 해당 토지의 가치를 평가해봐야 합니다. 장부가 ......
-
[투자용어]유형자산 (Tangible Assets)1. 정의기업이 가진 자산 중 '형태가 있는 자산' 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제조업이 가지고 있는 공장이나 생산설비, 관리사무실, 사옥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유형자산은 공장, 사옥 같은 용도가 아니라 토지,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등으로 나눠서 기록됩니다.2. 투자자 point일반적인 제조업이라면 유형자산은 사업을 하기 위한 중요한 자산입니다. 워렌 버핏은 끊임없이 유형자산 투자가 필요한 기업보다는 한 번 유형자산 투자가 이루어지면, 낡아서 사용할 수 없게 되기 전까지는 업데이트가 필요없는 기업이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가진 기 ......
-
[투자용어]자기자본 증가율[정의]자기자본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자기자본이 증가한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기업의 총자산에서 채권자의 몫인 부채총계를 빼고 남는 주주의 몫을 자기자본이라고 합니다. 자기자본의 구성항목으로는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등이 있습니다. [활용]자기자본은 기업의 총자산 중 순수한 주주의 몫입니다. 그러한 자기자본이 증가하는 비율은 주주의 몫이 증가하는 비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회사가 사업을 잘하여 이익이 누적될 경우, 자기자본을 구성하는 항목 중 특히 이익잉여금이 늘 ......
-
[투자용어]순이익 증가율[정의]순이익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순이익이 증가한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순이익이란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손익을 가감하고 법인세를 뺀 이익을 말합니다.즉, 기업이 매출을 발생시킨 후 각종 비용을 모두 제하고 순수하게 주주에게 돌아오는 이익에 해당합니다. [활용]순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증가율,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전기 대비 증가율 등으로 활용합니다. 다만 회사의 순이익 증가율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최소 3년에서 5년 정도의 비율을 살펴볼 ......
-
[투자용어]투자부동산 (Investment in Real Estate)1. 정의투자 목적이나 비영업용으로 소유하는 토지, 건물 및 기타 부동산을 말합니다.2. 투자자 point같은 임대수익을 내는 건물이라도 기업의 사업 목적에 부동산 임대업이 있으면 영업관련 유형자산으로, 없으면 투자부동산으로 재무제표에 기록됩니다. 투자부동산이 많은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투자부동산의 수익을 영업수익처럼 생각하고 가치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위치, 취득 및 처분, 장부가액 등 자세한 내역은 사업보고서의 주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투자용어]영업이익 증가율[정의]영업이익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영업이익이 증가한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영업이익이란 매출액으로부터 매출원가 및 판매관리비를 빼고 남은 이익입니다.영업이익을 공식으로 이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 (판매단가 × 판매수량) - (재료비 + 노무비 + 제조경비 등) - 판매관리비즉, 영업이익을 장기적으로 증가시키려면 1) 판 ......
-
[투자용어]매출액 증가율[정의]매출액이란 회사가 영업활동에 의해 판매한 제품이나 상품의 총액을 의미합니다.회사의 영업이익은 매출액으로부터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를 빼고 남은 이익입니다. 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손익을 가감하고 법인세를 빼고 남은 이익입니다.즉, 회사가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지속적으로 늘리려면 매출액 자체가 지속적으로 커져야 합니다. 따라서 매출액성장률이란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성장한 속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비율입니다. [활용]매출액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매출액이 증가한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전년 대비 증가율, 전년 동 ......
-
[투자용어]매출액 영업이익률[정의]매출액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의 비율을 나타낸 용어입니다. 기업의 활동성을 나타내는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를 뺀 이익을 말합니다. 제조 및 판매활동과 상관없는 영업외손익을 제외한 이익입니다. 그러므로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의 능률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활용]매출액 영업이익률은 기업이 달성한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의 비율을 나타낸 수치입니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관비 항목을 빼면 영업이익이 산출되므로, 과거의 영업이익률을 분석하거나 미래의 영업이익률을 추정할 때는 매출액과 매출원가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