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6360
코스피

삼성증권

79,400 1,800 +2.32% KRX 11/26 11:11
79,200 1,600 2.06% NXT 11/26 11:10
기간
~
삼성증권
주주자본 구조(연환산)
주주의 몫인 자본을 어떤 방법으로 증가시켰는지 알 수 있는 차트입니다.

성장기와 성숙기 기업은 이익잉여금과 함께 자기자본(자본총계)이 증가합니다. 성장기 기업의 경우 유상증자 등으로 필요 자금을 조달하기에 자본금+자본잉여금도 계단식으로 늘어납니다.

쇠퇴기 기업은 이익잉여금과 자기자본이 감소하는 가운데 자본금+자본잉여금은 증가하는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쇠퇴기 기업인 경우 투자 위험이 있는 만큼 재무 안정성 지표를 함께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 연간 차트에서 올해 분기 데이터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삼성증권
배당금 & 시가배당률(연환산)
기업이 순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으로 나눠주는 배당금과 1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시가배당률을 보여주는 차트입니다.

주식투자에서의 수익은 주가 상승과 배당으로 얻을 수 있기에 많은 투자자가 관심을 가지는 지표입니다. 시가배당률이 국고채 3년 금리의 1.5배 이상인 경우 배당 매력이 높은 종목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연간 차트에서 올해 분기 데이터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삼성증권
배당성향 & 시가배당률(연환산)
배당금을 순이익으로 나눈 배당성향과 1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시가배당률을 알 수 있는 차트입니다.

배당주에 장기로 투자한다면 배당성향이 일정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당성향이 일정하다면 앞으로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익 성장률에 따라 배당금도 오를 확률이 큽니다.

※ 연간 차트에서 올해 분기 데이터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삼성증권
배당성향 & 배당금(연환산)
배당성향은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 중에서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배당성향이 높으면 주주들에게 많은 이익을 돌려주지만, 그만큼 기업의 재투자 여력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배당금은 기업의 이익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주로 지급되며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하는 기업은 주주들에게 신뢰감을 주고 장기적인 투자 매력도를 높입니다.

※ 연간 차트에서 올해 분기 데이터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삼성증권
분기배당금(연환산)
주당 배당금은 기업이 주주에게 나눠주는 배당금을 주식 수로 나눈 것입니다. 주식투자에서의 수익은 주가 상승과 배당으로 얻을 수 있기에 배당금은 많은 투자자가 관심을 가지는 지표입니다.

배당투자에 중요한 또 다른 지표인 시가배당률은 주당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연간 차트에서 올해 분기 데이터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