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등 영상콘텐츠
평균 등락률
0.35%
총 기업수
30개
기업 등락 추이
상승 6개
하락 18개
보합 6개
최고 상승주

3,535원
515원
17.1%
영상콘텐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유튜브와 넷플릭스로 대표되는 영상 플랫폼 사업이 대세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영상콘텐츠 관련 사업은 크게 콘텐츠 제작과 배급으로 나눌 수 있다. 스마트기기의 발달로 영상콘텐츠를 다양한 유통채널로 배급할 수 있어 영상콘텐츠 시장 파이가 커졌다. 뿐만 아니라 K컬처 열풍으로 국내 콘텐츠가 해외시장으로 진출해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향후 영상콘텐츠 시장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3D와 VR, 5G와 같은 기술 발달은 더 다양한 영상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는 배경이다. 인구구조적인 변화도 시장 파이를 키우는데 기여한다. 스마트기기와 영상콘텐츠에 친숙한 세대가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관련종목]
삼화네트웍스, IHQ, 초록뱀, 쇼박스, 팬엔터테인먼트, 대원미디어, SM C&C, 키이스트, 스튜디오드래곤, SBS콘텐츠허브, SBS미디어홀딩스, SBS, SM Life Design, 바른손, 버킷스튜디오, 화이브라더스코리아, 바른손이앤에이, 제이콘텐트리, NEW, JYP Ent., 큐로홀딩스, 에프엔씨엔터, KMH, CJ ENM, 위지웍스튜디오, 에이스토리, 캐리소프트, 에스엠,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큐브엔터
이 테마에 속한 기업들
2025.02.21 15:59기준
종목명 | 주가 | 등락률 |
---|---|---|
종목명 | 주가 | 등락률 |
삼화네트웍스 | 1,348원 | 4.46% |
IHQ | 10,760원 | 0.00% |
초록뱀미디어 | 5,400원 | 0.00% |
쇼박스 | 3,345원 | 0.30% |
팬엔터테인먼트 | 2,565원 | 5.35% |
대원미디어 | 9,050원 | 2.16% |
SM C&C | 1,516원 | 3.93% |
키이스트 | 4,795원 | 8.32% |
스튜디오드래곤 | 49,200원 | 0.40% |
SBS | 23,100원 | 0.87% |
SM Life Design | 1,391원 | 0.00% |
바른손 | 888원 | 0.67% |
버킷스튜디오 | 1,153원 | 0.00% |
스튜디오산타클로스 | 4,650원 | 0.00% |
바른손이앤에이 | 428원 | 0.00% |
콘텐트리중앙 | 9,790원 | 3.93% |
NEW | 2,315원 | 4.14% |
JYP Ent. | 82,300원 | 0.24% |
큐로홀딩스 | 808원 | 0.86% |
에프엔씨엔터 | 3,185원 | 8.33% |
KX | 3,535원 | 17.05% |
CJ ENM | 61,700원 | 1.82% |
위지윅스튜디오 | 1,381원 | 1.36% |
에이스토리 | 9,470원 | 1.18% |
캐리소프트 | 5,690원 | 5.18% |
에스엠 | 99,500원 | 1.87% |
와이지엔터테인먼트 | 57,900원 | 3.82% |
큐브엔터 | 16,030원 | 2.14% |
자이언트스텝 | 6,820원 | 0.15% |
벡트 | 4,270원 | 0.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