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프라

평균 등락률 0.08%
총 기업수 29
기업 등락 추이
상승 8개
하락 18개
보합 3개
최고 상승주
현대로템
125,400 9,100 7.8%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에서 동해선과 경의선에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기로 합의하면서 철도주, 시멘트주, 건설주 등 인프라 관련주들이 크게 상승했다. 북한은 인프라 수준이 매우 낮아 개방시 인프라 기업들에게 큰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북한은 교통 인프라 투자가 시급한 과제다. 북한에서 철도는 화물 수송의 90%, 여객 수송의 62%를 책임지지만 98%가 단선이고 70% 이상은 일제시대 당시 건설됐다. 복선화 비율은 3% 수준이다. 또한 북한 도로의 총 길이는 한국 도로의 24.1%에 불과하다. 특히 고속도로 길이는 774km(2016년 기준)로, 한국(4438km)의 5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고산지대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낭림산맥 등이 도로망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 [관련종목] 남광토건,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현대건설기계, 현대엘리베이, 디와이파워, 진성티이씨, 쌍용양회, 아세아시멘트, 삼표시멘트, 한일시멘트, 광명전기, 이화공영, 특수건설, 현대제철, 현대로템, 다원시스, 대호에이엘, 대아티아이, 비츠로시스, 다산네트웍스, 도화엔지니어링, 에코마이스터, 디케이락, 하이록코리아, 국영지앤엠, 알루코, 상신브레이크, 포스링크

이 테마에 속한 기업들

2025.05.09 15:58기준

종목명 주가 등락률
종목명 주가 등락률
대원전선 2,845 0.18%
남광토건 8,300 1.89%
대우건설 3,475 0.71%
HDC현대산업개발 24,800 2.75%
HD현대건설기계 69,600 0.14%
현대엘리베이터 76,700 1.59%
디와이파워 11,640 0.00%
진성티이씨 9,040 1.09%
쌍용C&E 0 0.00%
아세아시멘트 11,100 0.27%
삼표시멘트 3,155 0.63%
한일시멘트 17,500 2.07%
광명전기 1,601 7.81%
이화공영 1,616 0.00%
특수건설 8,060 1.35%
현대제철 24,550 1.41%
현대로템 125,400 7.82%
다원시스 8,500 1.05%
대호에이엘 1,882 0.42%
대아티아이 4,100 0.61%
비츠로시스 329 0.30%
다산네트웍스 2,700 1.28%
도화엔지니어링 6,500 1.37%
디케이락 7,500 0.53%
하이록코리아 27,550 1.47%
국영지앤엠 1,289 0.39%
알루코 2,265 2.03%
상신브레이크 2,985 0.17%
CNT85 749 1.83%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