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기관 매도 동향] 라이온켐텍 3.99% 매도...MRI 16점
기관 투자자가 최근 20일(거래일 기준)간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을 3.99% 가량 매도해 눈길을 끈다.
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기관 투자자는 최근 20일에 걸쳐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 지분 3.99%를 순매도했다. 오전 10시 14분 현재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은 전일 대비 0.3% 내린 1만4350원에 거래 중이다.
최근 20일 기관 순매도 지분율이 높은 종목으로는 1위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11.45%)에 이어 {C&S자산관리}(-9.45%), 이건산업4,540원, ▲25원, 0.55%(-8.26%)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은 주식MRI 평가에서 25점 만점 중 16점을 받았다. 주식MRI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KIERI)가 기업의 투자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솔루션이다. 상위 20선 중 주식MRI 점수 15점 이상인 기업은 이건산업4,540원, ▲25원, 0.55%, 테스39,000원, ▲700원, 1.83%, 보령메디앙스, 노루페인트8,090원, ▼-10원, -0.12%, 네오팜18,470원, ▲290원, 1.6%, 보해양조432원, ▲6원, 1.41%, 오이솔루션11,790원, ▲220원, 1.9%,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으로 총 8개다.

주식MRI 분석은 재무건전성을 포함해 수익성장성, 사업독점성, 현금창출력, 밸류에이션 등 5가지 측면에서 개별 주식의 매력도를 측정해 점수화한 것이다. 모두 5가지 부문에서 5점 만점, 총 25점 만점이다. 일반적으로 총점이 15점 이상이면 투자 검토대상, 20점 이상이면 투자 매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금일 20일 누적 지분율 변동 종목 리스트>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 C&S자산관리 이건산업 테스 보령메디앙스 노루페인트 KTB투자증권 네오팜 베이직하우스 흥아해운 현진소재 위메이드 보해양조 오이솔루션 경동나비엔 로만손 라이온켐텍 신양 유진기업 하츠
[2015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기관 투자자는 최근 20일에 걸쳐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 지분 3.99%를 순매도했다. 오전 10시 14분 현재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은 전일 대비 0.3% 내린 1만4350원에 거래 중이다.
최근 20일 기관 순매도 지분율이 높은 종목으로는 1위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11.45%)에 이어 {C&S자산관리}(-9.45%), 이건산업4,540원, ▲25원, 0.55%(-8.26%)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은 주식MRI 평가에서 25점 만점 중 16점을 받았다. 주식MRI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KIERI)가 기업의 투자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솔루션이다. 상위 20선 중 주식MRI 점수 15점 이상인 기업은 이건산업4,540원, ▲25원, 0.55%, 테스39,000원, ▲700원, 1.83%, 보령메디앙스, 노루페인트8,090원, ▼-10원, -0.12%, 네오팜18,470원, ▲290원, 1.6%, 보해양조432원, ▲6원, 1.41%, 오이솔루션11,790원, ▲220원, 1.9%, 라이온켐텍2,130원, ▲10원, 0.47%으로 총 8개다.

주식MRI 분석은 재무건전성을 포함해 수익성장성, 사업독점성, 현금창출력, 밸류에이션 등 5가지 측면에서 개별 주식의 매력도를 측정해 점수화한 것이다. 모두 5가지 부문에서 5점 만점, 총 25점 만점이다. 일반적으로 총점이 15점 이상이면 투자 검토대상, 20점 이상이면 투자 매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금일 20일 누적 지분율 변동 종목 리스트>
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 C&S자산관리 이건산업 테스 보령메디앙스 노루페인트 KTB투자증권 네오팜 베이직하우스 흥아해운 현진소재 위메이드 보해양조 오이솔루션 경동나비엔 로만손 라이온켐텍 신양 유진기업 하츠
[라이온켐텍]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인조대리석 및 합성왁스 제조업체 |
|---|---|
| 사업환경
|
▷ 적용 범위 확대, 전방 산업 활황 등으로 인조대리석 수요 지속 증가 ▷ 합성 왁스가 기존 석유계 왁스 시장 대체하면서 성장세 이어갈 것으로 전망 |
| 경기변동
|
▷ 인조대리석: 응용분야 다양해짐에 따라 건설 경기 침체에도 시장 규모 꾸준히 확대 ▷ 합성왁스: 제조업 경기 변동과 유사한 흐름 |
| 주요제품
|
▷ 인조대리석 (74%, '11년 19만966원 → '12년 19만9712원 → '13년 18만9073원 → '14년 18만1945원 → '15년 1분기 17만3772원, 원/장) ▷ 합성왁스 (21%, '11년 3026원 → '12년 2995원 → '13년 2930원 → '14년 2957원 → '15년 1분기 2975원, 원/Kg)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제품가격 |
| 원재료
|
▷ MMA ('11년 2,837원 → '12년 2,380원 → '13년 2,196원 → '14년 2,112원 → '15년 1분기 2,167원, 원/kg) ▷ LDPE ('11년 1,837원 → '12년 1,725원 → '13년 1,752원 → '14년 1,703원 → '15년 1분기 1,453원, 원/kg) * 괄호 안은 원재료 가격 |
| 실적변수
|
▷ 인테리어 산업 호황시 수혜 ▷ 플라스틱 가공산업 호황시 수혜 |
| 리스크
|
▷ 원유 가격 상승시 원재료 가격 상승 ▷ 경쟁업체에 비해 제품 종류가 적음 |
| 신규사업
|
▷ CSTB 인증으로 유럽시장 진출 ▷ 광폭 인조대리석 생산, 물결무늬·신규 컬러 인조대리석 개발 ▷ 다분산성 입도 지닌 왁스개발, 저분자량 분포도 지닌 왁스개발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라이온켐텍]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라이온켐텍]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박희원 | 최대주주 | 보통주 | 4,466,492 | 43.95 | 6,699,738 | 44.12 | - |
| 박서영 | 처 | 보통주 | 451,160 | 4.44 | 676,740 | 4.46 | - |
| 박유신 | 자 | 보통주 | 258,000 | 2.54 | 387,000 | 2.55 | - |
| 박창현 | 자 | 보통주 | 258,000 | 2.54 | 387,000 | 2.55 | - |
| 박민지 | 자 | 보통주 | 258,000 | 2.54 | 387,000 | 2.55 | - |
| 박서연 | 손 | 보통주 | 128,000 | 1.26 | 192,000 | 1.26 | - |
| 박민규 | 손 | 보통주 | 128,000 | 1.26 | 192,000 | 1.26 | - |
| 박성재 | 손 | 보통주 | 128,000 | 1.26 | 192,000 | 1.26 | - |
| 박규경 | 손 | 보통주 | 128,000 | 1.26 | 192,000 | 1.26 | - |
| 박상원 | 처남 | 보통주 | 52,200 | 0.51 | 78,300 | 0.52 | - |
| 이수진 | 자부 | 보통주 | 40,000 | 0.39 | 60,000 | 0.40 | - |
| 서현정 | 자부 | 보통주 | 40,000 | 0.39 | 60,000 | 0.40 | - |
| 박상철 | 처남 | 보통주 | 2,982 | 0.03 | 4,473 | 0.03 | - |
| 계 | 보통주 | 6,338,834 | 62.37 | 9,508,251 | 62.62 | - | |
| 기타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1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