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엠케이트렌드, 기관이 사들이는 배경은?
최근 기관투자자가 엠케이트렌드를 사들이고 있어 눈길을 끈다. 5일 오후 1시 49분 현재 엠케이트렌드는 전일보다 3.7%(700원) 내린 1만7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달(5월 7일 ~ 6월 4일) 동안 기관 투자자는 4거래일을 제외하고 연일 엠케이트렌드 주식을 사들였다. 이 기간 동안 순매수한 주식은 총 77만4373주로, 발행주식수의 6.1% 규모다. 지난달 중순까지 오르던 주가는 이후 1만8000원 수준을 대체로 기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엠케이트렌드는 개선된 실적을 거뒀다. 특히 수익성이 개선됐다.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6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다. 매출액이 늘어났지만 매출원가는 266억원으로 3% 줄어들어, 영업이익은 168% 증가한 14억원을 기록했다.

엠케이트렌드가 보유한 브랜드 가운데 NBA가 실적 개선을 주로 이끈 것으로 보인다. 엠케이트랜드는 미국농구협회로부터 라이선스를 취득해 자체 디자인한 NBA 브랜드를 국내에는 2011년 7월에, 중국에는 2014년 5월에 각각 내놓았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NBA의 제품가격(내수 기준)은 엠케이트렌드가 보유한 브랜드 가운데 유일하게 올랐다.
판매량 또한 증가했다. 엠케이트렌드는 분기보고서에 각 브랜드별 매출액과 제품가격을 기재하고 있다. 제품가격은 총 매출액을 총 수량으로 나눠 구하기 때문에, 판매수량도 유추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보면 올해 1분기 엠케이트렌드의 NBA 판매량은 39% 늘었다.

증권업계는 NBA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NBA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중국 내 농구가 인기를 끄는 가운데, NBA 제품 가격이 높아 엠케이트렌드 실적에 긍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가장 최근인 지난 2일 엠케이트렌드에 대한 리포트를 제출한 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올 초 22개인 중국 NBA 매장은 2분기까지 50개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 증권사가 예상한 엠케이트렌드의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3016억원, 영업이익은 780억원이다.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16%, 영업이익은 28% 증가한 수준이다.
[2015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달(5월 7일 ~ 6월 4일) 동안 기관 투자자는 4거래일을 제외하고 연일 엠케이트렌드 주식을 사들였다. 이 기간 동안 순매수한 주식은 총 77만4373주로, 발행주식수의 6.1% 규모다. 지난달 중순까지 오르던 주가는 이후 1만8000원 수준을 대체로 기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엠케이트렌드는 개선된 실적을 거뒀다. 특히 수익성이 개선됐다.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6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다. 매출액이 늘어났지만 매출원가는 266억원으로 3% 줄어들어, 영업이익은 168% 증가한 14억원을 기록했다.

엠케이트렌드가 보유한 브랜드 가운데 NBA가 실적 개선을 주로 이끈 것으로 보인다. 엠케이트랜드는 미국농구협회로부터 라이선스를 취득해 자체 디자인한 NBA 브랜드를 국내에는 2011년 7월에, 중국에는 2014년 5월에 각각 내놓았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NBA의 제품가격(내수 기준)은 엠케이트렌드가 보유한 브랜드 가운데 유일하게 올랐다.
판매량 또한 증가했다. 엠케이트렌드는 분기보고서에 각 브랜드별 매출액과 제품가격을 기재하고 있다. 제품가격은 총 매출액을 총 수량으로 나눠 구하기 때문에, 판매수량도 유추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보면 올해 1분기 엠케이트렌드의 NBA 판매량은 39% 늘었다.

증권업계는 NBA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NBA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중국 내 농구가 인기를 끄는 가운데, NBA 제품 가격이 높아 엠케이트렌드 실적에 긍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가장 최근인 지난 2일 엠케이트렌드에 대한 리포트를 제출한 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올 초 22개인 중국 NBA 매장은 2분기까지 50개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 증권사가 예상한 엠케이트렌드의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3016억원, 영업이익은 780억원이다.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16%, 영업이익은 28% 증가한 수준이다.
[엠케이트렌드]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TBJ, BUCKAROO 보유한 캐주얼 전문 패션의류회사 |
|---|---|
| 사업환경 | ▷ 패션사업의 옷종별 영역이 파괴되고 컨셉별 브랜드 사업으로 전환되면서 치열한 경쟁 예상 ▷ 계절, 디자인, 구매성향 등의 변화에 따른 제품 수명이 짧음. ▷ '한류'를 이용한 중국 시장 진출 기회 |
| 경기변동 | ▷ 의류 산업은 내수 위주의 산업구조, 국내 경기 변화에 민감 ▷ 주력사업인 캐주얼의류 시장은 다른 패션의류업에 비해 경기 영향을 적게 받음 |
| 주요제품 | ▷ BUCKAROO (32%) ▷ TBJ (25%) ▷ ANDEW (17%) ▷ NBA(19%)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 TBJ 브랜드 상품 (33%) ▷ BUCKAROO 브랜드 상품 (34%) ▷ ANDEW 브랜드 상품 (19%)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 실적변수 | 내수 경기 활성화시 수혜 |
| 리스크 | ▷ 환율 상승시 원가율 상승 |
| 신규사업 | ▷ NBA CHINA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고 중국, 홍콩, 마카오 진출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엠케이트렌드의 정보는 2015년 05월 26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엠케이트렌드]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엠케이트렌드]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김상택 | 본인 | 보통주 | 3,797,948 | 30.98 | 3,797,948 | 30.02 | - |
| 김상훈 | 친인척 | 보통주 | 3,291,051 | 26.84 | 3,291,051 | 26.02 | - |
| 김문환 | 등기임원 | 보통주 | 240,664 | 1.96 | 240,664 | 1.90 | - |
| 김준환 | 관계회사 임원 | 보통주 | 130,000 | 1.06 | 130,000 | 1.03 | - |
| 송의신 | 친인척 | 보통주 | 21,441 | 0.17 | 21,441 | 0.17 | - |
| 김진의 | 친인척 | 보통주 | 17,098 | 0.14 | 17,098 | 0.14 | - |
| 김형우 | 친인척 | 보통주 | 60,525 | 0.49 | 60,525 | 0.48 | - |
| 이명주 | 관계회사 임원 | 보통주 | 10,000 | 0.08 | 10,000 | 0.08 | - |
| 계 | 보통주 | 7,568,727 | 61.74 | 7,568,727 | 59.83 | - | |
| -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