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종목족보] 1Q 영업익 '흑자전환' 기대해도 좋아?
12월 결산법인의 1분기가 마감한 가운데 투자자들의 시선이 기업의 실적에 쏠리고 있다. 이맘때만 되면 증권사는 탐방 및 취재를 통해 기업들의 예상 실적을 앞다퉈 발표하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했지만, 올 1분기 턴 어라운드에 성공해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가 있어 주목된다.
7일 아이투자(www.itooza.com)가 증권사 추정치를 바탕으로 집계한 결과, 1분기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는 한화케미칼, 대한항공21,600원, ▲500원, 2.37%, 삼성엔지니어링, 원익IPS60,300원, ▲300원, 0.5%, 아시아나항공8,270원, ▲70원, 0.85%, OCI58,000원, ▲700원, 1.22%, 한화손해보험5,270원, ▲120원, 2.33%, 일진홀딩스7,160원, ▼-270원, -3.63%, 테스38,000원, ▼-300원, -0.78%, 국제엘렉트릭, 팜스코2,475원, ▲15원, 0.61%, 멜파스, 블루콤2,740원, ▼-20원, -0.72%, 한진중공업홀딩스4,625원, ▲50원, 1.09%, 네패스16,560원, ▼-320원, -1.9%를 포함 총 28개 업체로 나타났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증권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WiseFn)이 제공하는 최근 3개월 간 증권사가 추정한 평균 값을 사용했다.

흑자 전환이 예상되는 업체를 살펴본 결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가 많았다. 총 28개 기업 중 반도체관련 업체는 원익IPS60,300원, ▲300원, 0.5%, 네패스16,560원, ▼-320원, -1.9%, 국제엘렉트릭, 디엔에프13,160원, ▼-30원, -0.23%. 테스38,000원, ▼-300원, -0.78% 등 5곳으로 18%를 차지했다. 디스플레이 관련주도 삼성SDI298,750원, ▲14,250원, 5.01%, 한솔테크닉스5,820원, ▲30원, 0.52%, 티엘아이, 미래나노텍12,000원, ▲590원, 5.17%, 테라세미콘 등 5개 업체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소자업체들의 미세화 공정 투자와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의 투자 증가 및 가동률 상승 덕을 본 것으로 풀이된다.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예상되는 업체 중에서 영업이익 규모가 가장 큰 곳은 한화케미칼이다. 한화케미칼의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390억원으로 전년 동기 –85억원 대비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 한화케미칼과 같은 태양광 사업에 주력하는 OCI 역시 1분기 영업이익이 169억원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이 가운데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했지만, 올 1분기 턴 어라운드에 성공해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가 있어 주목된다.
7일 아이투자(www.itooza.com)가 증권사 추정치를 바탕으로 집계한 결과, 1분기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는 한화케미칼, 대한항공21,600원, ▲500원, 2.37%, 삼성엔지니어링, 원익IPS60,300원, ▲300원, 0.5%, 아시아나항공8,270원, ▲70원, 0.85%, OCI58,000원, ▲700원, 1.22%, 한화손해보험5,270원, ▲120원, 2.33%, 일진홀딩스7,160원, ▼-270원, -3.63%, 테스38,000원, ▼-300원, -0.78%, 국제엘렉트릭, 팜스코2,475원, ▲15원, 0.61%, 멜파스, 블루콤2,740원, ▼-20원, -0.72%, 한진중공업홀딩스4,625원, ▲50원, 1.09%, 네패스16,560원, ▼-320원, -1.9%를 포함 총 28개 업체로 나타났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증권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WiseFn)이 제공하는 최근 3개월 간 증권사가 추정한 평균 값을 사용했다.

흑자 전환이 예상되는 업체를 살펴본 결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가 많았다. 총 28개 기업 중 반도체관련 업체는 원익IPS60,300원, ▲300원, 0.5%, 네패스16,560원, ▼-320원, -1.9%, 국제엘렉트릭, 디엔에프13,160원, ▼-30원, -0.23%. 테스38,000원, ▼-300원, -0.78% 등 5곳으로 18%를 차지했다. 디스플레이 관련주도 삼성SDI298,750원, ▲14,250원, 5.01%, 한솔테크닉스5,820원, ▲30원, 0.52%, 티엘아이, 미래나노텍12,000원, ▲590원, 5.17%, 테라세미콘 등 5개 업체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소자업체들의 미세화 공정 투자와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의 투자 증가 및 가동률 상승 덕을 본 것으로 풀이된다.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예상되는 업체 중에서 영업이익 규모가 가장 큰 곳은 한화케미칼이다. 한화케미칼의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390억원으로 전년 동기 –85억원 대비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 한화케미칼과 같은 태양광 사업에 주력하는 OCI 역시 1분기 영업이익이 169억원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한화케미칼]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한화 계열의 종합 화학업체. LDPE, PVC가 주력 제품 |
|---|---|
| 사업환경 | ▷ 유화산업은 공급 축소,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 ▷ PVC산업은 호황과 불황이 반복되는 순환형 산업으로 세계 경제와 더불어 성장이 기대됨 |
| 경기변동 | ▷ 유가 및 국내외 경기흐름과 밀접한 관련, 특히 원료인 에틸렌 가격에 민감 |
| 주요제품 | ▷ 유화 (40%) 영업이익률 3% ▷ 화성 (59%) 영업이익률 5%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 에틸렌, 프로필렌 : 여천 NCC로부터 매입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 실적변수 | ▷ 원료인 에틸렌 가격 및 제품 수급에 의한 가격변동 민감 |
| 리스크 | ▷ 경기 변동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음 |
| 신규사업 | ▷ 태양전지, 2차 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한화케미칼의 정보는 2013년 10월 13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한화케미칼]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한화케미칼]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주)한화 | 최대주주 | 보통주 | 53,117,578 | 37.86 | 53,117,578 | 37.86 | - |
| (주)한화건설 | 계열회사 | 보통주 | 6,428,400 | 4.58 | 6,428,400 | 4.58 | - |
| ㈜에스엔 에스에이스 | 계열회사 | 보통주 | 13,200 | 0.01 | 13,200 | 0.01 | - |
| 북일학원 | 특수관계 재단법인 | 보통주 | 250,521 | 0.18 | 250,521 | 0.18 | - |
| 홍기준 | 임원 | 보통주 | 30,000 | 0.02 | 32,000 | 0.02 | - |
| 방한홍 | 임원 | 보통주 | 1,000 | 0.00 | 2,000 | 0.00 | - |
| 유영인 | 임원 | 보통주 | 13,896 | 0.01 | 15,096 | 0.01 | - |
| 임종훈 | 임원 | 보통주 | 0 | 0.00 | 485 | 0.00 | - |
| 정인현 | 임원 | 보통주 | 5,000 | 0.00 | 5,000 | 0.00 | - |
| 계 | 보통주 | 59,859,595 | 42.67 | 59,864,280 | 42.67 | - | |
| 기 타 | 0 | 0 | 0 | 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