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분석] TV 시장 회복 조짐...관련주 '들썩'
최근 TV 업황 회복 조짐이 일어 관심을 끈다.
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사 4곳은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를 일제히 올렸다. 지난 1일 HMC투자증권은 목표가를 종전 2만7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15% 상향했으며, 하루 전인 31일 LIG투자증권은 3만2000원으로 14% 올렸다. 이에 앞서 21일 현대증권은 3만1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17일 이트레이드증권은 3만15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각각 상향했다. 지난 2월 목표 주가 상향 보고서가 하나도 없었음을 감안하면 의미 있는 변화다.

증권사가 목표가 상향의 근거로 제시한 것은 TV 업황의 회복이다. 올해 월드컵 및 각종 스포츠 이벤트가 열리는 가운데 초고화질(UHD) TV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려 액정디스플레이(LCD) 패널 수요가 늘고 있는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UHD 패널 시장점유율은 빠르게 오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2월 국가별 세계 UHD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시장점유율(출하량 기준) 33.2%로 2위를 차지했다. 작년 7월 6.2%에 비하면 대폭 개선된 셈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UHD TV 라인업을 보급형으로 확대하면서 일어난 변화다.
▷ 티엘아이·미래나노텍 주가 반등 시작
이에 따라 TV 관련 부품 업체들 역시 주목 받고 있다. 먼저 두각을 나타낸 기업은 티엘아이다. 지난 2월까지만 하더라도 7000원 밑에서 거래됐던 티엘아이는 전일 9450원으로 마감, 올해 최저가 대비 44% 급등했다. 티엘아이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 제조 업체다. LCD 구동 칩에 전송되는 데이터양을 조절해 화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매출처는 LG디스플레이다. UHD 패널 수요 증가에 따른 실적 기대감이 일자 티엘아이 주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뒤를 이은 업체는 LCD 광학필름(렌즈 시트 및 프리즘 시트) 제조업체 미래나노텍12,370원, ▲960원, 8.41%이다. 지난달 3일까지만 하더라도 5000~6000원 수준이었던 미래나노텍 주가는 지난 18일 돌연 급등했다. 이후 상승세를 지속해 전일 7250원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되는 배경 역시 UHD TV다. 현대증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UHD TV 생산량 증가로 미래나노텍의 광학필름 출하량 역시 동반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나노텍은 삼성전자 TV 광학필름 공급량의 5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 UHD TV 관련주 중, 주가 부진한 곳은?
이 가운데 같은 TV 밸류체인 상에 있지만 아직 잠잠한 업체도 있다. 티엘아이의 동종업체인 아나패스16,970원, ▼-190원, -1.11%가 대표적이다. 티엘아이가 LG에 납품한다면, 아나패스는 삼성이 주요 고객사다. 주력 제품인 T-CON은 아나패스 매출의 91%를 차지한다. 아나패스 주가는 전일 1만1300원으로 마감, 연초 대비 2% 하락했다. 주가 부진을 틈타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이하 한국밸류)은 아나패스 지분을 확대했다. 한국밸류는 작년 7월 아나패스를 신규 보유한 후 최근 3차례에 걸쳐 지분을 10.12%까지 늘렸다.
미래나노텍과 같은 광학필름을 만드는 상보789원, ▲22원, 2.87%도 관련주다. 상보는 LG디스플레이를 포함, 일본 샤프, 대만 AUO, 중국 BOE, 하이얼, 하이센스 등 다양한 거래처를 두고 있다. 동양증권에 따르면 상보는 지난 1월부터 주문이 몰려 TV용 광학필름 생산설비를 풀 가동하고 있다. 글로벌 패널 업체의 UHD 패널 생산량 증가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상보는 작년 4월 52주 최고가인 1만7600원에 거래됐으나, 전일 1만1600원으로 크게 조정 받은 상태다.
프리즘 시트 필름과 도광판을 만드는 코이즈565원, 0원, 0%도 주목된다. 두 제품 모두 TV 백라이트유닛(BLU)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이다. 코이즈는 미래나노텍과 LG디스플레이에 주력 제품을 공급한다. 코이즈 주가는 작년 4월 1만5000원까지 올랐으나, 현재 4845원으로 하락한 상태다.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사 4곳은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를 일제히 올렸다. 지난 1일 HMC투자증권은 목표가를 종전 2만7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15% 상향했으며, 하루 전인 31일 LIG투자증권은 3만2000원으로 14% 올렸다. 이에 앞서 21일 현대증권은 3만10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17일 이트레이드증권은 3만1500원에서 3만3000원으로 각각 상향했다. 지난 2월 목표 주가 상향 보고서가 하나도 없었음을 감안하면 의미 있는 변화다.

증권사가 목표가 상향의 근거로 제시한 것은 TV 업황의 회복이다. 올해 월드컵 및 각종 스포츠 이벤트가 열리는 가운데 초고화질(UHD) TV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려 액정디스플레이(LCD) 패널 수요가 늘고 있는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UHD 패널 시장점유율은 빠르게 오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2월 국가별 세계 UHD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시장점유율(출하량 기준) 33.2%로 2위를 차지했다. 작년 7월 6.2%에 비하면 대폭 개선된 셈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UHD TV 라인업을 보급형으로 확대하면서 일어난 변화다.
▷ 티엘아이·미래나노텍 주가 반등 시작
이에 따라 TV 관련 부품 업체들 역시 주목 받고 있다. 먼저 두각을 나타낸 기업은 티엘아이다. 지난 2월까지만 하더라도 7000원 밑에서 거래됐던 티엘아이는 전일 9450원으로 마감, 올해 최저가 대비 44% 급등했다. 티엘아이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 제조 업체다. LCD 구동 칩에 전송되는 데이터양을 조절해 화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매출처는 LG디스플레이다. UHD 패널 수요 증가에 따른 실적 기대감이 일자 티엘아이 주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뒤를 이은 업체는 LCD 광학필름(렌즈 시트 및 프리즘 시트) 제조업체 미래나노텍12,370원, ▲960원, 8.41%이다. 지난달 3일까지만 하더라도 5000~6000원 수준이었던 미래나노텍 주가는 지난 18일 돌연 급등했다. 이후 상승세를 지속해 전일 7250원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되는 배경 역시 UHD TV다. 현대증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UHD TV 생산량 증가로 미래나노텍의 광학필름 출하량 역시 동반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나노텍은 삼성전자 TV 광학필름 공급량의 5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 UHD TV 관련주 중, 주가 부진한 곳은?
이 가운데 같은 TV 밸류체인 상에 있지만 아직 잠잠한 업체도 있다. 티엘아이의 동종업체인 아나패스16,970원, ▼-190원, -1.11%가 대표적이다. 티엘아이가 LG에 납품한다면, 아나패스는 삼성이 주요 고객사다. 주력 제품인 T-CON은 아나패스 매출의 91%를 차지한다. 아나패스 주가는 전일 1만1300원으로 마감, 연초 대비 2% 하락했다. 주가 부진을 틈타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이하 한국밸류)은 아나패스 지분을 확대했다. 한국밸류는 작년 7월 아나패스를 신규 보유한 후 최근 3차례에 걸쳐 지분을 10.12%까지 늘렸다.
미래나노텍과 같은 광학필름을 만드는 상보789원, ▲22원, 2.87%도 관련주다. 상보는 LG디스플레이를 포함, 일본 샤프, 대만 AUO, 중국 BOE, 하이얼, 하이센스 등 다양한 거래처를 두고 있다. 동양증권에 따르면 상보는 지난 1월부터 주문이 몰려 TV용 광학필름 생산설비를 풀 가동하고 있다. 글로벌 패널 업체의 UHD 패널 생산량 증가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상보는 작년 4월 52주 최고가인 1만7600원에 거래됐으나, 전일 1만1600원으로 크게 조정 받은 상태다.
프리즘 시트 필름과 도광판을 만드는 코이즈565원, 0원, 0%도 주목된다. 두 제품 모두 TV 백라이트유닛(BLU)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이다. 코이즈는 미래나노텍과 LG디스플레이에 주력 제품을 공급한다. 코이즈 주가는 작년 4월 1만5000원까지 올랐으나, 현재 4845원으로 하락한 상태다.
[티엘아이]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LCD 패널의 핵심부품인 타이밍 컨트롤러(T-CON)와 드라이버 IC 설계 전문업체 |
|---|---|
| 사업환경 | ▷ LED TV, 3D TV, 스마트 TV, UHD TV 등의 등장으로 디스플레이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프리미엄 TV 증가에 따라 부품 단가가 오르고, 쓰이는 갯수도 많아지는 추세 ▷ UHD TV의 시장 확대와 OLED TV의 등장은 부품업체들에 긍정적 |
| 경기변동 | ▷ LCD 설비투자에 따라 초과수요, 초과공급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산업으로 TV판매량에 영향을 받음 |
| 주요제품 | ▷ Timing Controller (86%) ▷ ROIC (7%)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 웨이퍼, LCD 드라이버 IC |
| 실적변수 | ▷ LG전자의 TV 사업 호황으로 주 고객사인 LG디스플레이의 패널 수요 증가 시 수혜 ▷ 프리미엄 TV 비중 증가로 부품 단가 인상 및 사용 갯수 증가 시 수혜 ▷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출하량 증가시 수혜 - 메모리 테스트업체인 윈팩을 자회사 |
| 리스크 | ▷ 자회사 카이로넷(27% 보유), 에스칩스(60% 보유) 자본잠식 ▷ 최대주주 보유 지분이 14%로 낮음 ▷ 미행사 신주인수권 12만8711주(발행주식 1.3%) - 행사가액 5827원, 행사가능기간: 12.07.18~16.06.18 |
| 신규사업 | ▷ MEMS(초소형 정밀 기계) 가속도 센서 개발 ▷ 패스트 부트 솔루션 개발: 모바일기기의 부팅 시간 단축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티엘아이의 정보는 2013년 10월 30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티엘아이]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티엘아이]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김달수 | 본인 | 보통주 | 1,032,980 | 12.66 | 1,032,980 | 10.51 | - |
| 이동훈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06,030 | 1.30 | 106,030 | 1.08 | - |
| 홍순원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28,373 | 1.57 | 128,373 | 1.31 | - |
| 송윤석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56,755 | 0.70 | 50,000 | 0.51 | - |
| 이한규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2,000 | 0.15 | 12,000 | 0.12 | - |
| 조영임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40,000 | 0.49 | 40,000 | 0.41 | - |
| 계 | 보통주 | 1,376,138 | 16.87 | 1,369,383 | 13.9 | - | |
| -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