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승부주] 파세코, 기관 순매수 '전환'..성장에 베팅?

편집자주 '오늘의 승부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저평가 우량주 중에서 외국인, 기관 등 '큰손' 투자자들이 지분을 확대하는 주식을 골라 아이투자에서 매일 공개합니다. 오늘 하루에 승부를 보는 종목이 아닌, 오늘부터 관심권에 두는 종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기관이 석유 스토브 전문업체 파세코7,170원, ▲30원, 0.42%를 매수해 눈길을 끈다.

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기관은 이달 중순 들어 파세코를 본격적으로 사들이기 시작했다. 지난 14일부터 전날까지 순매수 수량은 32만6000주로, 발행주식수의 2.5% 규모다.

기관은 이전까지 파세코에 관심이 없었다. 지난해 초부터 10월까진 거의 매매가 없었고, 11월엔 오히려 매도세를 보였다. 하지만 12월 들어 매수세로 전환하더니, 올 1월 들어 매수 규모가 커졌다.



이날 오전 9시 27분 현재 파세코의 주가는 전일 대비 7.8% 오른 5780원이다. 지난해 11월 28일 경신한 역대 최고가 6440원 대비 10% 내린 상태이나, 1년 전 주가인 2220원에 비하면 160% 상승한 것이다.

▷ 석유스토브 판매 호조로 실적↑

기관은 파세코의 실적 개선과 성장 가능성을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파세코는 지난해 3분기 개선된 실적을 냈다. 매출액은 6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3억원으로 82% 늘었다. 순이익은 94억800만으로 65% 증가했다.

주력 제품인 석유스토브의 판매가 호조를 보인 결과다. 이 회사는 지난해 총 4건의 석유스토브 공급계약 공시를 냈다. 4건의 계약금액 합계는 528억원으로 전년도 매출의 절반을 넘어섰다. 2012년 1건(132억원)의 공급계약 공시가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것이다. 납품 기간이 대부분 하반기에 몰려있어 3분기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동과의 계약이 많았다. 중동지역은 밤, 낮의 일교차가 커 기온이 급속히 떨어지는 저녁에 신속한 난방을 할 수 있는 석유스토브의 수요가 꾸준하다. 증권가에 따르면 파세코가 지난해 초대형 바이어를 확보하면서 수출 증대가 용이했다. 또 회사는 그간 판매망 확보에 힘쓰던 미주와 러시아 지역에도 제품 공급을 확대했다. 이 지역들은 아파트 보다 주택이 많아 석유난로가 생활 필수품처럼 자리잡은 곳이다.

지난해 4분기 실적도 양호할 것으로 기대된다. 석유스토브 매출이 4분기에 지속 반영됐고, 다른 가전제품도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파세코는 지난해 12월 언론보도를 통해 겨울철 석유난로 판매가 전년 동기보다 4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일찍 찾아온 한파와 전기요금 인상이 주요 원인이라는 설명이다. 여기에 가족 단위의 캠핑족이 빠르게 늘면서 팬히터도 판매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 리모델링 시장 성장 + 수출 확대로 성장 지속?

증권가는 국내 리모델링 시장 성장과 수출 확대로 파세코의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IBK투자증권이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주택경기 회복과 리모델링 시장 확대로 빌트인 주방가전 사업부의 매출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는 빌트인 주방가전 제품으로 가스쿡탑과 후드를 주력으로 생산한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건축물 유지·보수를 포함한 국내 리모델링 시장 규모는 1980년 2조원에서 2008년 16조7000억원으로 연평균 7.8% 성장했으며, 2015년에는 약 28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1인가구의 증가와 국민소득 증대, 정부의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 등으로 시장 성장이 지속된다는 분석이다.

또한 IBK투자증권은 미국에서의 매서운 한파로 올해 북미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15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밖에 주력 수출지역인 중동과 더불어 산업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러시아와 중남미 등으로의 수출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증권사는 파세코의 올해 실적으로 매출액 1437억원, 영업이익 144억원을 예상했다. 이는 전년도 추정 실적 대비 각각 14%, 36%씩 개선된 규모다.



최근 4분기 합산 순이익을 반영한 파세코의 주가수익배수(PER)는 7.5배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26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6.7%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1%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파세코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21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10위(상위 1%)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높아 고성장주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보통으로 위험은 높지 않은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파세코]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석유스토브, 빌트인 가전제품 제조업체
사업환경 이상기온으로 인한 폭설과 한파로 예비 예비난방기구 수요 증가
경기변동 제품의 특성상 계절에 따라 수요가 차등. 빌트인 가전은 건설경기에 민감
주요제품 ▷ 석유스토브 (30%)
▷ 가스쿡탑 (24%)
*괄호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매입비중을 파악하기는 어려움이 있음

▷ 철판
▷ 스텐레스 판
▷ 플라스틱 사출물
실적변수 석유스토브는 동절기에 수요가 집중. 빌트인가전은 신규 주택공급량, 납품처의 단가조정이 변수
리스크 ▷ 하절기 매출 적음
▷ 건설경기 불황시 빌트인 가전분야 부진
신규사업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파세코의 정보는 2013년 10월 07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파세코]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3.9월 2012.12월 2011.12월 2010.12월
매출액 989 1,049 995 1,036
영업이익 96 51 31 48
영업이익률(%) 9.7% 4.9% 3.1% 4.6%
순이익(연결지배) 78 41 15 22
순이익률(%) 7.9% 3.9% 1.5% 2.1%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7.54
이시각 PBR 1.26
이시각 ROE 16.68%
5년평균 PER 10.83
5년평균 PBR 0.75
5년평균 ROE 9.31%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파세코]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유정한본인보통주 3,744,429  28.37  3,744,429 28.37 -
유병진보통주   868,201    6.58    868,201   6.58 -
유일한보통주 3,606,392  27.32  3,606,392  27.32 -
구자염보통주   631,800    4.79    631,800   4.79 -
에이치엔씨관계회사보통주   265,284    2.01    265,284   2.01 -
박찬경형수보통주   186,367    1.41    186,367   1.41 -
유일준사촌보통주   100,000    0.76    100,000   0.76 -
유병율삼촌보통주     42,310    0.32      42,310   0.32 -
보통주 9,446,122  71.56  9,444,783  71.55 -
------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댓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스탁 투나잇
  • 최고의 주식 퀄리티 투자 - 부크온
  • 마라톤 투자자 서한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