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바이오랜드, 내부자 매수...쌀 때 산다?
화장품, 의약품 원료 등으로 쓰이는 천연물 원료 제조기업 현대바이오랜드4,305원, ▲55원, 1.29%에 내부자 매수가 있었다. 특히 바이오랜드 주가가 연중 최저가 부근에 거래되고 있어 그 배경이 주목된다.
바이오랜드는 최근 부진한 실적을 보이며, 약세를 기록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인 아모레퍼시픽127,300원, ▲900원, 0.71%의 부진 영향으로 바이오랜드의 수익성도 나빠졌다. 지난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4억4400만원으로 30% 감소했고, 지배지분 순이익은 12억7700만원으로 52% 줄었다. (관련기사 ☞ [3Q] 바이오랜드, 영업익 30% 감소...왜? )
주가도 연초 1만5000원대에서 지난 4월에는 1만9000원대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약세를 지속하며 전일에는 고가 대비 반토막 수준인 1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연초와 비교해도 33% 낮은 수치다.
이런 가운데 전일 이옥섭 부회장의 지분 매수가 보고됐다. 이 부회장은 지난 1월 선임됐으며, 당시 바이오랜드 주식 단 한주도 보유하지 않은 상태였다. 세부내역을 보면 이 부회장은 지난 8월 9일 1000주를 매수한 것을 시작으로 12월 14일까지 총 1만4500주를 누적 순매수했다. 보유비율은 0.1%로 크지 않지만 금액으로는 1억7000만원(평균 매수단가 1만2000원 적용)에 해당된다. 주가 하락에 따라 회사가 평균치 대비 낮은 수준의 주가순자산배수(PBR)을 기록하고 있는 점과 앞으로의 성장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일 종가 기준 바이오랜드의 PBR은 1.44배로 과거 5년 평균치 1.86배 대비 낮은 수준에 자리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09년 이후 최저치다. 주가 하락에 따른 것이다. 반면 이익 감소에 따라 주가수익배수(PER)는 19.9배로 평균치 14.7배를 상회하고 있다.


바이오랜드는 국내 1위 천연원료 제조사로, 시장 회복에 따라 수혜를 누릴 전망이다. 최근 화장품 시장 업황 부진에 따라 수요 감소를 겪었으나 내년엔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증권가는 전망한다. 또한, 중국 시장에도 진출해 내년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0월부터 중국 진출을 목적으로 제조공장을 신설하고 있으며, 공사는 내년 2월 말 완료될 예정이다. 공장 신설에는 자기자본의 2.6%에 해당하는 24억원이 투입된다.
지난 2일 한국투자증권은 바이오랜드의 내년 매출액을 800억원, 영업이익은 150억원으로 각각 전망했다. 매출은 사상 최대치이며, 영업이익은 2011년과 2012년 연간치(각각 157억, 156억원) 대비 낮지만 올해(예상 120억원)보단 개선된 수치다.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바이오랜드는 최근 부진한 실적을 보이며, 약세를 기록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인 아모레퍼시픽127,300원, ▲900원, 0.71%의 부진 영향으로 바이오랜드의 수익성도 나빠졌다. 지난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4억4400만원으로 30% 감소했고, 지배지분 순이익은 12억7700만원으로 52% 줄었다. (관련기사 ☞ [3Q] 바이오랜드, 영업익 30% 감소...왜? )
주가도 연초 1만5000원대에서 지난 4월에는 1만9000원대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약세를 지속하며 전일에는 고가 대비 반토막 수준인 1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연초와 비교해도 33% 낮은 수치다.
이런 가운데 전일 이옥섭 부회장의 지분 매수가 보고됐다. 이 부회장은 지난 1월 선임됐으며, 당시 바이오랜드 주식 단 한주도 보유하지 않은 상태였다. 세부내역을 보면 이 부회장은 지난 8월 9일 1000주를 매수한 것을 시작으로 12월 14일까지 총 1만4500주를 누적 순매수했다. 보유비율은 0.1%로 크지 않지만 금액으로는 1억7000만원(평균 매수단가 1만2000원 적용)에 해당된다. 주가 하락에 따라 회사가 평균치 대비 낮은 수준의 주가순자산배수(PBR)을 기록하고 있는 점과 앞으로의 성장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일 종가 기준 바이오랜드의 PBR은 1.44배로 과거 5년 평균치 1.86배 대비 낮은 수준에 자리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09년 이후 최저치다. 주가 하락에 따른 것이다. 반면 이익 감소에 따라 주가수익배수(PER)는 19.9배로 평균치 14.7배를 상회하고 있다.


바이오랜드는 국내 1위 천연원료 제조사로, 시장 회복에 따라 수혜를 누릴 전망이다. 최근 화장품 시장 업황 부진에 따라 수요 감소를 겪었으나 내년엔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증권가는 전망한다. 또한, 중국 시장에도 진출해 내년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0월부터 중국 진출을 목적으로 제조공장을 신설하고 있으며, 공사는 내년 2월 말 완료될 예정이다. 공장 신설에는 자기자본의 2.6%에 해당하는 24억원이 투입된다.
지난 2일 한국투자증권은 바이오랜드의 내년 매출액을 800억원, 영업이익은 150억원으로 각각 전망했다. 매출은 사상 최대치이며, 영업이익은 2011년과 2012년 연간치(각각 157억, 156억원) 대비 낮지만 올해(예상 120억원)보단 개선된 수치다.

[안티에이징] 이슈와 수혜주
고령화 진행과 기대수명 연장으로 미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안티에이징 산업은 크게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화장품, 의료 분야로 구분된다.
국내에서는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화장품이 성장하고 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들의 2010년 생산액은 1조원으로 5년간 연평균 11% 성장했다. 기능성 화장품은 전체 화장품 시장의 25%를 차지한다. 줄기세포와 유전자 연구를 통한 치료 및 재생 분야는 스위스와 미국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관련 기업]
건강기능식품: KT&G(국내 건강식품 1위 한국인삼공사 보유), 대상, CJ제일제당, 쎌바이오텍, 메디포스트
기능성 화장품: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스맥스, 한국콜마, 파미셀
의료: 루트로닉, 차바이오앤, 메디톡스(보톡스 대체제 공급)
국내에서는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화장품이 성장하고 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들의 2010년 생산액은 1조원으로 5년간 연평균 11% 성장했다. 기능성 화장품은 전체 화장품 시장의 25%를 차지한다. 줄기세포와 유전자 연구를 통한 치료 및 재생 분야는 스위스와 미국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관련 기업]
건강기능식품: KT&G(국내 건강식품 1위 한국인삼공사 보유), 대상, CJ제일제당, 쎌바이오텍, 메디포스트
기능성 화장품: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스맥스, 한국콜마, 파미셀
의료: 루트로닉, 차바이오앤, 메디톡스(보톡스 대체제 공급)
[안티에이징]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KT&G | 74,800원 | ▲1,100원 (1.5%) | 18,289 | 6,980 | 4,631 | 16.9 | 1.95 | 11.5% |
| 대상 | 36,000원 | ▼1,450원 (-3.9%) | 12,057 | 944 | 638 | 19.2 | 1.96 | 10.2% |
| CJ제일제당 | 255,500원 | ▼1,500원 (-0.6%) | 34,452 | 2,154 | 1,798 | 16.1 | 1.14 | 7.1% |
| 쎌바이오텍 | 19,250원 | ▼600원 (-3%) | 214 | 66 | 55 | 27.4 | 4.65 | 17% |
| 아모레퍼시픽 | 983,000원 | ▲6,000원 (0.6%) | 20,596 | 3,217 | 2,311 | 22.1 | 2.27 | 10.3% |
| LG생활건강 | 525,000원 | ▼14,000원 (-2.6%) | 17,297 | 2,074 | 1,598 | 24 | 6.01 | 25.1% |
| 코스맥스 | 47,300원 | ▼1,750원 (-3.6%) | 2,022 | 148 | 128 | 28.8 | 7.24 | 25.2% |
| 한국콜마홀딩스 | 13,250원 | ▲400원 (3.1%) | 58 | 19 | 12 | 14.1 | 1.19 | 8.4% |
| 메디톡스 | 167,700원 | ▼2,800원 (-1.6%) | 266 | 104 | 85 | 70.1 | 16.23 | 23.2% |
| 바이오랜드 | 10,000원 | ▼100원 (-1%) | 521 | 95 | 79 | 19.9 | 1.44 | 7.2% |
| 루트로닉 | 11,400원 | ▼200원 (-1.7%) | 380 | 12 | 5 | N/A | 3.68 | -1.1% |
| 파미셀 | 3,755원 | ▼130원 (-3.4%) | 212 | -44 | -46 | N/A | 1.68 | -9.8% |
| 메디포스트 | 60,900원 | ▼400원 (-0.7%) | 228 | 6 | 18 | 164.3 | 3.79 | 2.3% |
| 차바이오앤 | 9,960원 | ▼190원 (-1.9%) | 1,212 | 96 | 81 | 15.4 | 1.86 | 12.1%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바이오랜드]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 및 의약품 원료 제조업체 |
|---|---|
| 사업환경 | ▷ 천연물은 보건의료, 식품, 농업,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해 성장성이 높음 ▷ 생물공학의 발전, 국민소득 증가로 인한 시장규모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 기대 |
| 경기변동 | 경기 변동에 둔감한 편 |
| 주요제품 | ▷ 화장품 원료 (59%, 11년 kg당 1만1580원 → 12년 7553원 → 13년 반기 7352원) ▷ 건강기능성 식품 원료 (25%,11년 kg당 4만5109원 → 12년 4만7296원 → 13년 반기 4만9357원)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판매단가 추이 |
| 원재료 | ▷ 화장품 원료(57%, Hydroquinone 11년 kg당 8227원 → 12년 8886원 → 13년 반기 8825원) ▷ 건강기능성 식품 원료 (34%, 홍삼농출액 11년 kg당 13만8299원 → 12년 13만8336원 → 13년 반기 13만4065원)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매입단가 추이 |
| 실적변수 | ▷ 천연화장품,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 확대시 수혜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판매 증가시 수혜) ▷ 환율 상승시 영업외이익 발생 |
| 리스크 | 화장품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원재료 단가 인하 가능성 |
| 신규사업 | 인공피부, 인공각막, 생물창상피복재, 천연물유래화장품소재, 천연물신약, 진단신약 개발 중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바이오랜드]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바이오랜드]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이택선 | 본 인 | 보통주 | 2,030,000 | 13.53 | 2,030,000 | 13.53 | - |
| 정찬복 | 대표이사 | 보통주 | 1,316,346 | 8.78 | 1,316,346 | 8.78 | - |
| (주)인터 리스 | 관계 회사 | 보통주 | 837,362 | 5.58 | 837,362 | 5.58 | - |
| 임인경 | 처 | 보통주 | 738,222 | 4.92 | 738,222 | 4.92 | - |
| 임인국 | 처남 | 보통주 | 444,094 | 2.96 | 444,094 | 2.96 | - |
| 이형주 | 자 | 보통주 | 150,000 | 1.00 | 150,000 | 1.00 | - |
| 고광순 | 대표이사 처 | 보통주 | 73,822 | 0.49 | 73,822 | 0.49 | - |
| 이영규 | 부 | 보통주 | 30,626 | 0.20 | 26,200 | 0.17 | - |
| 이택완 | 제 | 보통주 | 14,200 | 0.09 | 14,200 | 0.09 | - |
| 계 | 보통주 | 5,634,672 | 37.56 | 5,630,246 | 37.53 | - | |
| 기 타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