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빛샘전자, PBR 0.6배...상장 이후 '최저'
10일 개장을 앞둔 가운데 연중 최저가를 기록 중인 빛샘전자5,880원, ▲30원, 0.51%가 반등세를 보일지 관심을 끈다. 전일에는 454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연초 6000원을 훌쩍 넘었던 것과 비교하면 30% 가량 낮다.

이같은 약세에 따라 회사의 투자지표인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65배로 지난 2012년 3월 상장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상장 이후 평균치는 0.96배다. PBR은 기업의 자산과 시가총액을 비교하는 가치평가 지표다. 낮을수록 회사의 자산대비 저평가 돼 있다는 의미다.
다만 PBR에는 기업의 수익가치가 포함돼 있지 않다. 따라서 자산을 활용해 올리는 수익성을 나타내는 자기자본이익률(ROE)과 비교하면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ROE와 PBR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빛샘전자의 ROE도 최근 낮아졌다. 3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값 기준 ROE는 6%로 상장 이후 평균치 7.4%를 하회한다. 즉, 회사의 최근 주가 약세와 저PBR은 수익성 부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LED전광판과 광선로 부품을 생산하는 빛샘전자의 최근 실적은 부진했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누적 생산량은 LED모듈 사업부 17만5000개, 광통신 사업부 14만4000개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8% 씩 증가했다. 그러나 3분기 누적 매출액은 21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 감소했고, 고정비 부담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4100만원으로 50% 줄었다. 지분법 반영 순이익도 1590만원으로 42% 감소했다. 제품가 인하가 주로 반영됐다. 전년 대비 LED모듈 가격은 7%, 광선로 부품 가격은 3% 만큼 각각 내렸다.
▷ 저 PBR 어떻게 활용?
빛샘전자의 사례에서 보듯 기업의 PBR이 평균치를 크게 하회한다면 실적 부진이 반영됐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평균PBR 투자법은 업황이 주기적으로 변동을 보이는 경기변동형 기업에 적용하면 알맞다. 조선, 화학, IT장비업체와 같은 경기 변동형 기업은 실적 개선과 악화를 반복하며, 심할 경우 적자와 흑자를 오가게 된다.
경기변동형 기업의 PBR이 평균치보다 낮을때는 실적이 악화됐을 경우이며, 평균치 보다 높을때는 실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을 때다. 투자자 입장에선 실적이 부진할 때 투자해 실적 개선이 확인되면 파는(저 PBR 매수, 고 PBR 매도) 역발상 투자법을 사용하면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회사의 사업모델과, 경쟁력, 재무안전성을 점검하는 것은 필수다.
[2013년 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이같은 약세에 따라 회사의 투자지표인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65배로 지난 2012년 3월 상장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상장 이후 평균치는 0.96배다. PBR은 기업의 자산과 시가총액을 비교하는 가치평가 지표다. 낮을수록 회사의 자산대비 저평가 돼 있다는 의미다.
다만 PBR에는 기업의 수익가치가 포함돼 있지 않다. 따라서 자산을 활용해 올리는 수익성을 나타내는 자기자본이익률(ROE)과 비교하면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ROE와 PBR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빛샘전자의 ROE도 최근 낮아졌다. 3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값 기준 ROE는 6%로 상장 이후 평균치 7.4%를 하회한다. 즉, 회사의 최근 주가 약세와 저PBR은 수익성 부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LED전광판과 광선로 부품을 생산하는 빛샘전자의 최근 실적은 부진했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누적 생산량은 LED모듈 사업부 17만5000개, 광통신 사업부 14만4000개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8% 씩 증가했다. 그러나 3분기 누적 매출액은 21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 감소했고, 고정비 부담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4100만원으로 50% 줄었다. 지분법 반영 순이익도 1590만원으로 42% 감소했다. 제품가 인하가 주로 반영됐다. 전년 대비 LED모듈 가격은 7%, 광선로 부품 가격은 3% 만큼 각각 내렸다.
▷ 저 PBR 어떻게 활용?
빛샘전자의 사례에서 보듯 기업의 PBR이 평균치를 크게 하회한다면 실적 부진이 반영됐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평균PBR 투자법은 업황이 주기적으로 변동을 보이는 경기변동형 기업에 적용하면 알맞다. 조선, 화학, IT장비업체와 같은 경기 변동형 기업은 실적 개선과 악화를 반복하며, 심할 경우 적자와 흑자를 오가게 된다.
경기변동형 기업의 PBR이 평균치보다 낮을때는 실적이 악화됐을 경우이며, 평균치 보다 높을때는 실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을 때다. 투자자 입장에선 실적이 부진할 때 투자해 실적 개선이 확인되면 파는(저 PBR 매수, 고 PBR 매도) 역발상 투자법을 사용하면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회사의 사업모델과, 경쟁력, 재무안전성을 점검하는 것은 필수다.
[빛샘전자]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LED 전광판 및 모듈, 광선로(통신망) 부품을 제작하는 회사 |
|---|---|
| 사업환경 | ▷ 국내 LED 전광판 시장은 500여개 업체가 난립하고 있음 ▷ 빛샘전자는 모듈부터 완제품까지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는 3개 업체 중 하나 ▷ 지난 2006년 삼진정보통신 인수해 광선로 부품 사업 추가 |
| 경기변동 | ▷ 수요업체의 발주에 의한 생산, 경기변동 영향 받음 |
| 주요제품 | ▷ LED 전광판 (매출 비중 54%) (LED모듈 가격: 10년 5만6997원 → 11년 6만193원 → 12년 5만1581원 → 13년반기 5만1750원) ▷ 광선로 부품 (매출 비중 38%) (광접속함체 가격: 10년 7만1048원 → 11년 6만6159원 → 12년 6만1325원 → 13년반기 6만1079원) ▷ 산업전자 부품 (매출 비중 7%)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
| 원재료 | ▷ LED (매입 비중 29%) (국내 매입가: 10년 61.93원 → 11년 32.44원 → 12년 43.33원 → 13년반기 22.4원) ▷ 광선로 부품용 사출물 (매입 비중 24%) (10년 2만6320원 → 11년 2만6663원 → 12년 2만6830원 → 13년반기 2만4808원)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가격 추이 |
| 실적변수 | ▷ 올림픽, 월드컵 등 대형 이벤트 수혜 ▷ 전기요금 상승시 수혜 |
| 리스크 | ▷ 업체간의 경쟁심화 ▷ 제품 판매가 수주에 의해 발생, 수주 감소 위험 |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빛샘전자]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빛샘전자]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강만준 | 본인 | 보통주 | 1,613,290 | 32.27 | 1,613,290 | 32.27 | - |
| 최수인 | 등기임원 | 보통주 | 137,525 | 2.75 | 118,280 | 2.37 | - |
| 이종락 | 등기임원 | 보통주 | 118,280 | 2.37 | 100,000 | 2.00 | - |
| 김범중 | 미등기임원 | 보통주 | 95,000 | 1.90 | 82,755 | 1.66 | - |
| 조태현 | 친인척 | 보통주 | 82,755 | 1.66 | 89,928 | 1.80 | - |
| 강민호 | 친인척 | 보통주 | 8,625 | 0.17 | 8,625 | 0.17 | - |
| 강윤구 | 자 | 보통주 | 0 | 0.00 | 5,700 | 0.11 | - |
| 강명구 | 자 | 보통주 | 2,000 | 0.04 | 2,000 | 0.04 | - |
| 계 | 보통주 | 2,057,475 | 41.15 | 2,020,578 | 40.41 | - | |
| 우선주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