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리바트, 영업익 '턴'...추정치는 하회
가구업체 현대리바트6,100원, ▼-30원, -0.49%의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돼 관심을 끈다. 28일 오전 9시 46분 현재 이 회사 주가는 전일 대비 1.8% 오른 1만1200원이다.
리바트는 지난 3분기 매출액이 10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지난해 3분기 700만원에서 올 3분기 29억9100만원으로 412배 급증했고, 같은 기간 연결 지배지분 순이익은 1억5300만원에서 23억3300만원으로 15배 늘었다.
다만 증권가의 추정치는 밑돌았다. 증권정보 제공업체 와이즈에프엔(WiseFn)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최근 3개월 간 제시한 리바트의 올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332억원, 영업이익 37억원이다. 실제 매출액은 추정치 대비 18%, 영업이익은 19% 하회했다.
주력 제품인 특판용 가구의 마진 회복과 사무·가정용 가구로의 라인업 확장이 수익성을 개선시킨 것으로 보인다. 리바트는 지난해까지 건축경기 불황으로 특판용 가구의 수요가 급감하면서 실적이 부진했다. 하지만 올 들어 특판용 가구를 그룹사(현대산업개발을 포함한 범 현대가)에 본격적으로 납품하면서 업황이 개선되고 있다.
지난 상반기 리바트의 특판용 가구 매출은 88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 줄었다. 하지만 '제 값 받기'로 오히려 마진율은 상승했다. 실제 반기보고서를 보면 올 상반기 목공류 가구의 수량당 평균 판매단가는 95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올랐다. 단순 가구류는 335만원으로 44%, 주방류 가구는 272만원으로 30%나 상승했다. 이 덕에 리바트의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작년 1% 미만에서 올해 2.3%로 상승했다.
또한 리바트는 사무·가정용 가구로 라인업을 확장하면서 체질 개선을 꾀하고 있다. 실제 지난 상반기 가정용 가구의 매출은 71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51억원보다 29% 늘었다. 매출 비중으로 보면 22%에서 27%로 5%P 상승했다. 리바트는 모회사인 현대백화점90,200원, ▲900원, 1.01% 유통망을 활용해 매출을 빠르게 키우고 있다. 지난해 백화점 6곳에 입점했고 올해 말까지 10개 가량의 추가 입점을 계획 중이다. 현재 리바트의 최대주주는 현대백화점 그룹 계열사인 현대그린푸드16,070원, ▲30원, 0.19%(지분율 29.2%)다.
3분기 실적을 반영할 경우 리바트의 최근 4분기 합산 순이익 기준 주가수익배수(PER)는 69.7배에서 38.4배로 크게 내려간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9배에서 0.98배로 하락하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4%에서 2.5%로 오른다. 리바트는 지난해 순이익 규모가 상장 이후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러 PER이 높았다.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 수혜] 이슈와 수혜주
가구업체: 한샘, 리바트, 에넥스, 보루네오
주방설비: 하츠
위생도기: 와토스코리아, 아이에스동서, 대림B&Co(대림바스)
샷시: 동양강철, 케이피티(동양강철 지분 보유)
실내인테리어: 국보디자인(도급순위 국내 1위, 2012년)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 수혜]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한샘 | 42,550원 | ▼150원 (-0.3%) | 6,679 | 501 | 0 | 20 | 4.32 | 21.6% |
| 리바트 | 11,200원 | ▲200원 (1.8%) | 2,675 | 62 | 33 | 64.9 | 0.91 | 1.4% |
| 에넥스 | 824원 | ▲52원 (6.7%) | 1,126 | 32 | 27 | N/A | 1.02 | -5% |
| 보루네오 | 585원 | ▲54원 (10.2%) | 672 | -62 | -182 | N/A | 0.65 | -137.7% |
| 하츠 | 2,755원 | ▲75원 (2.8%) | 443 | -10 | -15 | N/A | 0.52 | -5.2% |
| 와토스코리아 | 8,120원 | ▼40원 (-0.5%) | 129 | 11 | 20 | 12 | 0.68 | 5.7% |
| 아이에스동서 | 16,100원 | 0원 (0%) | 2,725 | 234 | 134 | 32.1 | 1.08 | 3.4% |
| 대림B&Co | 2,200원 | ▼20원 (-0.9%) | 514 | 8 | -7 | N/A | 0.24 | -3.6% |
| 동양강철 | 2,100원 | ▲40원 (1.9%) | 1,314 | 70 | -30 | N/A | 0.89 | -11.1% |
| 케이피티 | 2,710원 | 0원 (0%) | 150 | 13 | 2 | N/A | 0.60 | -11% |
| 국보디자인 | 10,150원 | ▼50원 (-0.5%) | 724 | 30 | 38 | 8.9 | 1.28 | 14.3%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3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리바트]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현대백화점 계열의 종합 가구제조 업체 |
|---|---|
| 사업환경 | ▷ 가정용: 결혼시즌과 이사철에 수요가 집중됨, 디자인 및 품질 경쟁력 갖춘 업체만 생존가능 ▷ 사무용: 경쟁강도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다품종 소량생산 능력이 경쟁력으로 부각 ▷ 특판용: 건설업체의 신규주택용으로 건설경기와 밀접한 관련을 보임 |
| 경기변동 | ▷ 국민 소득 수준, 주택 건설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
| 주요제품 | ▷ 가정용 가구: 리바트 (27%) ▷ 특판용 가구: 리빙시스, 리첸 (33%) ▷ 사무용 가구: 네오스 (17%) ▷ 자재유통 (24%)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 원재료 | ▷ 가공판재: 목림산업 등에서 매입 (30%) ▷ 외주부품 등: 금강주방 등에서 매입 (24%) ▷ 일반판재: 한솔홈데코 등에서 매입 (17%) ▷ HARDWAR: 알루피아 등에서 매입 (17%) *괄호안은 매입 비중 |
| 실적변수 | ▷ 경기 호황 및 주택 건설 경기 회복시 수혜 ▷ 봄·가을 매출 증가하는 경향 |
| 리스크 | ▷ 건설경기 불황, 경쟁 과열 등으로 이익률 하락 추세 * 2011년까지 5%이상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으나, 12년부터 1%대로 하락 |
| 신규사업 | ▷ 모회사인 현대백화점을 통해 가정용 가구 시장 본격 진출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리바트]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리바트]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현대그린푸드 | 본인 | 보통주 | 3,983,030 | 23.1 | 4,918,550 | 29.2 | - |
| 현대홈쇼핑 | 계열회사 | 보통주 | 260,620 | 1.5 | 260,620 | 1.5 | - |
| 계 | 보통주 | 4,243,650 | 24.6 | 5,179,170 | 30.7 | - | |
| 기타 | 0 | 0 | 0 | 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