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서원인텍 2%↑...6분기 연속 영업익 개선
서원인텍5,600원, ▲60원, 1.08%이 상승세다. 5일 오전 9시 47분 현재 전일 대비 2.9% 오른 8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서원인텍은 6분기 연속 영업이익이 개선된 기업이다. 이 회사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 2분기와 1분기 영업이익은 각각 25억원, 14억원으로 92% 133%씩 늘었다. 작년 4분기는 34억원으로 113%, 3분기는 18억원으로 800% 증가했다.
이 회사가 실적 개선세를 지속한 것은 사업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서원인텍은 2000년대 중반까지 휴대폰 키패드 주력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터치스크린 기반의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사업환경이 악화됐고, 이로 인해 키패드 수요가 급감했다. 서원인텍은 2008년 13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키도 했으나, 2009년 48억원, 2010년 37억원으로 감소했다. 2009년 4분기와 2010년 3분기엔 적자를 내기도 했다.
이에 따라 회사 측은 키패드 부문을 축소키로 하고 스마트폰용 부품을 제조하기 시작했다. 결국 삼성전자와의 협력으로 스마트폰 측면 키와 고무, 스폰지 부품 제조에 성공했다. 키패드 사업 부문의 축소는 매출 감소로 이어졌으나, 스마트폰 부품 비중이 늘면서 수익성은 개선됐다. 서원인텍의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2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63억원으로 10% 늘었다.
신사업의 실적 개선도 긍정적이다. 이 회사는 2차전지 보호회로와 와이브로(Wibro) 단말기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 보호회로는 과충전을 방지하는 2차전지의 필수 부품으로 LG화학397,000원, ▲34,000원, 9.37%을 통해 레노버와 델 노트북으로 납품된다. 와이브로 단말기는 이동 중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모뎀으로, 중동지역 사우디 모바일리(Mobily)사와 이란 모비넷(Mobinet)사에 공급하고 있다. 단말기 사업은 작년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2차전지 보호회로는 내년부터 손익분기점을 넘길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업계에선 서원인텍이 ▲삼성전자의 휴대폰 판매 호조에 따른 부자재 사업 매출 증대 ▲신규사업의 적자폭 축소 ▲LTE 단말기 사업의 신규 수주 등으로 실적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IBK투자증권은 이 회사의 올해 실적으로 매출액 1900억원, 영업이익 90억원, 순이익 155억원을 전망했다. 이를 반영할 경우 2012년 예상 주가수익배수(PER)는 10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7.5%다.
서원인텍은 1983년에 설립된 삼성전자 휴대폰 부품 제조업체다. 2000년대 초반 휴대폰 키패드로 사업에 뛰어들었고, 2004년 삼성전자향 키패드 수주가 본격적으로 확대되면서 성장했다.
올 3분기 누적 기준 제품별 매출 비중은 스마트폰 부품 36%, 휴대폰 키패드 27%, 2차전지 보호회로 19%, 모뎀 13%다. 서원인텍은 중국 천진과 남경, 베트남 하노이에 자회사를 두고 있다. 천진과 하노이는 휴대폰 부품을 만들고, 남경은 2차전지 보호회로를 생산한다. 해외 법인들은 지난해 17억3500만원은 순이익을 올렸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26%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서원인텍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4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443위(상위 26%)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밸류에이션과 수익 성장성은 각각 0점, 2점으로 낮은 수준이다. 밸류에이션은 현재 PER이 23배로 5년 평균치인 15배를 넘어선 점이, 수익 성장성은 4년간 연평균 순이익(자회사 손익 포함) 성장률이 마이너스(-)인 점 등이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2차전지 소재 주요기업] 이슈와 수혜주
2011년 기준 2차전지 시장점유율은 삼성SDI가 20%, 일본의 산요가 19%, LG화학이 15%를 차지하고 있다.
2차전지 시장을 이끌고 있는 국내 기업은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이다. 또한 양극활물질, 분리막, 전해질, 음극재 등 2차전지 소재 산업에도 많은 기업들이 앞다퉈 진출하고 있다.
[2차전지 소재 주요기업]
양극활물질 : 삼성정밀화학, 엘앤에프, 코스모화학, 코스모신소재, 한화케미칼
음극활물질 : 포스코켐텍, OCI머티리얼즈, 애경유화, 일진머티리얼즈
분리막 : SK이노베이션, 제일모직
전해액 : 솔브레인, 후성, 리켐
기타부품 : 상신이디피, 서원인텍, 이랜텍, 넥스콘테크, 파워로직스
장비: 피앤이솔루션
[2차전지 소재 주요기업]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삼성정밀화학 | 63,200원 | ▼200원 (-0.3%) | 10,905 | 799 | 693 | 23.5 | 1.43 | 6.1% |
| 엘앤에프 | 9,370원 | ▼120원 (-1.3%) | 989 | 12 | 8 | 31.8 | 2.28 | 7.2% |
| 코스모화학 | 8,050원 | ▲80원 (1%) | 1,395 | 89 | -52 | N/A | 0.42 | -1.6% |
| 코스모신소재 | 5,020원 | ▲30원 (0.6%) | 979 | -58 | -85 | N/A | 0.73 | -10.6% |
| 포스코켐텍 | 133,600원 | 0원 (0%) | 9,716 | 714 | 600 | 9.6 | 2.09 | 21.8% |
| OCI머티리얼즈 | 34,700원 | ▲600원 (1.8%) | 2,011 | 455 | 276 | 8.6 | 1.05 | 12.3% |
| AK홀딩스 | 21,250원 | ▼100원 (-0.5%) | 12 | 7 | 1,800 | 79.8 | 1.23 | 1.5% |
| 제일모직 | 94,400원 | ▼800원 (-0.8%) | 42,631 | 2,933 | 2,004 | 23.4 | 1.49 | 6.4% |
| 후성 | 5,280원 | ▲90원 (1.7%) | 1,641 | -19 | 189 | 20 | 2.56 | 12.8% |
| 리켐 | 6,120원 | ▲40원 (0.7%) | 396 | 12 | 8 | 50.6 | 0.79 | 1.6% |
| 상신이디피 | 3,535원 | ▼10원 (-0.3%) | 700 | 42 | 24 | 17.9 | 0.97 | 5.4% |
| 서원인텍 | 8,450원 | ▲340원 (4.2%) | 1,265 | 63 | 142 | 23.3 | 1.67 | 7.2% |
| 이랜텍 | 7,090원 | ▲420원 (6.3%) | 2,885 | 75 | 35 | N/A | 1.04 | -2.3% |
| 0원 | 0원 (0%) | 0 | 0 | 0 | N/A | 0% | ||
| 파워로직스 | 3,840원 | ▲5원 (0.1%) | 2,587 | 57 | 82 | N/A | 0.96 | -13.6% |
| 일진머티리얼즈 | 8,210원 | ▲10원 (0.1%) | 2,818 | -10 | -19 | N/A | 0.98 | -1.6% |
| 한화케미칼 | 16,350원 | ▼50원 (-0.3%) | 26,872 | 1,547 | 2,312 | N/A | 0.55 | -1.1% |
| 피앤이솔루션 | 6,430원 | ▲70원 (1.1%) | 387 | 44 | 46 | 8.4 | 1.22 | 14.4%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서원인텍]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휴대폰 키패드, 2차전지 보호회로, 외이브로 단말기 제조 업체 |
|---|---|
| 사업환경 | ㅇ 스마트폰의 호황으로 키패드를 탑재한 휴대폰 수요는 감소하는 추세 ㅇ 이에 와이브로 단말기와 2차전지 보호회로에 집중하는 추세 |
| 경기변동 | 경기변동에 민감 |
| 주요제품 | ㅇ 키패드 : 휴대폰 입력 장치, 삼성전자 등에 공급 (매출 비중 29.7%) ㅇ 고무, 스펀지 : 휴대폰 내/외부에 사용되는 기능성 부품, 삼성전자 등에 공급 (매출 비중 26.9%) ㅇ SCM/PCM : 과충전 방지/과방전 방지/과전류 방지/SM Bus 통신, LG화학 등 공급(매출 비중 21.2%) |
| 원재료 | ㅇ 키패드 원재료 : 통라바, SUS 및 금속단조물 등 (매입 비중 24.2%) ㅇ 부자재 : 라바, 스폰지, 사출, 스프레이, 외주가공 등 (매입 비중 34.4%) ㅇ 회로물/기구물 원재료 : 보호회로 및 와이브로 회로물 등 (매입 비중 41.4%) |
| 실적변수 | ㅇ 단말기의 키패드 채택 증가시 수혜 ㅇ 2차전지 시장 확대시 수혜 ㅇ 환율 상승시 영업 외 수익발생 |
| 리스크 | 키패드 시장 축소 중 |
| 신규사업 | 와이브로 사업 확대 추진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서원인텍]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서원인텍]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김재윤 | 본인 | 보통주 | 6,300,000 | 33.87 | 6,300,000 | 33.87 | - |
| 김영환 | 부친 | 보통주 | 4,410,000 | 23.71 | 2,410,000 | 12.96 | - |
| 최영애 | 모친 | 보통주 | 630,000 | 3.39 | 630,000 | 3.39 | - |
| 김지현 | 형제 | 보통주 | 630,000 | 3.39 | 630,000 | 3.39 | - |
| 김재희 | 형제 | 보통주 | 630,000 | 3.39 | 630,000 | 3.39 | - |
| 강동우 | 임원 | 보통주 | 42,000 | 0.23 | 42,000 | 0.23 | - |
| 최영일 | 감사 | 보통주 | 6,000 | 0.03 | 6,000 | 0.03 | - |
| 김오열 | 임원 | 보통주 | 35,000 | 0.19 | 35,000 | 0.19 | - |
| 계 | 보통주 | 12,683,000 | 68.19 | 10,683,000 | 57.44 | - | |
| 우선주 | 0 | 0 | 0 | 0 | 0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