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원익머트리얼, 상승 지속?..."실적+성장"
5일 개장을 앞둔 가운데 원익머트리얼즈30,050원, ▼-200원, -0.66%가 상승세를 이어갈지 주목된다. 이 종목은 전날 3% 오른 3만55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익머트리얼즈는 3분기 실적이 개선된 기업이다. 이 회사의 올 3분기 매출액은 2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9% 늘어난 62억7900만원, 순이익은 42% 증가한 51억6600만원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영업이익이다.
실적 개선 배경은 반도체용 특수가스 매출 성장에 따른 것이다. 반도체용 특수가스 중 Si2H6(디실란)과 NO(산화질소)는 공정미세화 및 시장수요 증가로 실적 기여도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최근 고사양 IT기기의 수요가 늘면서 칩 사이즈를 작게 하고 용량과 속도가 개선시키기 위해 미세화 공정이 발달하고 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삼성전자101,800원, ▲2,500원, 2.52%의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투자 확대로 관련 가스인 N2O(아산화질소) 등이 매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삼성전자가 AMOLED 투자를 내년으로 미루면서 디스플레이용 가스보단 오히려 반도체용 가스 부문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원익머트리얼즈는 100여종 이상의 다양한 가스 라인업을 확보하고 있어 출하량 정체를 보이는 전방산업이 있어도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꾀할 수 있다.
업계에선 원익머트리얼즈가 내년에도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 미뤄졌던 AMOLED 투자가 내년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고, 반도체 미세화 공정 또한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올 4분기엔 삼성전자의 OLED A2 라인의 증설라인 가동, 내년엔 AMOLED 대면적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A3 신규 라인 가동으로 N2O의 매출 확대가 전망된다.
원익머트리얼즈는 AMOLED용 가스에 특하돼 있다. 공정에 쓰이는 15종의 가스 중 13종을 이 회사가 책임지고 있다. 단 삼성전자는 아직 A3 라인 증설에 대해 언급이 없는 상태다. 대면적과 플렉시블의 수율이 매우 낮아 양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선 이 회사의 올해 실적으로 매출액 1083억원, 영업이익 231억원, 순이익 194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그리고 내년 실적으로 매출액 1320억원, 영업이익 282억원, 순이익 235억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반영한 2012년 예상 주가수익배수(PER)는 10.8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6.7%다. 2013년 예상 PER은 8.9배, ROE는 17.3%다.
원익머트리얼즈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회사다. 2006년 12월 주식회사 아토의 특수가스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설립됐으며, 2011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최대주주는 원익IPS60,600원, ▲600원, 1%로 9월 말 기준 지분 48.7%를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는 반도체 제작공정에 들어가는 암모니아, 이산화질소 등의 소재를 삼성전자101,800원, ▲2,500원, 2.52%에, 디스플레이 제작공정에 사용되는 가스는 삼성디스플레이에 공급하고 있다. 원익머트리얼즈는 경쟁업체(OCI머티리얼즈, 후성7,660원, ▲260원, 3.51%)가 생산하는 범용제품이 아닌 사수소화게르마늄, 이산화질소 등 차별화된 가스를 만들고 있다.
▷ 주식MRI 분석 결과, 상장사 상위 16%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원익머트리얼즈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6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273위(상위 16%)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밸류에이션은 2점으로 낮은 수준이다. 현재 PER이 11배로 5년 평균치인 12배에 근접한 점 등이 반영됐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아몰레드 소재 관련 기업] 이슈와 수혜주
발광층은 다우케미칼(빨강), 선 파인 케미칼(파랑), CS엘쏠라(녹색)가 각각 세계 유일의 아몰레드 생산기업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에 공급한다.
아시아 디스플레이 기업의 아몰레드 시장 진출도 검증된 아몰레드 소재업체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중국 BOE사는 3.9조원을 투자해 2013년부터 아몰레드 패널을 생산한다. 일본은 재팬디스플레이가 참여하고, 대만은 2011 전시회에서 아몰레드 패널 4종을 이미 전시한 바 있다
<발광층>
CS: 자회사 CS엘쏠라가 녹색 형광채 SMD에 공급. 2011년 9월부터 HTL도 공급 시작
* 발광층은 대부분 외국기업에서 공급
<공통층>
정공수송층(HTL): 덕산하이메탈, 엘엠에스(인증 테스트 중), 제일모직
전자주입층(EIL): LG화학, 다우 케미칼
전자수송층(ETL): LG화학, 다우 케미칼, 제일모직(제품 개발 완료)
원익머티리얼즈: 15종류의 아몰레드 특수 가스 공급
[아몰레드 소재 관련 기업]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제일모직 | 95,200원 | ▼600원 (-0.6%) | 42,631 | 2,933 | 2,004 | 23.5 | 1.50 | 6.4% |
| 덕산하이메탈 | 20,800원 | ▲500원 (2.5%) | 1,055 | 304 | 311 | 14.2 | 3.48 | 24.5% |
| CS | 6,430원 | ▼40원 (-0.6%) | 435 | -40 | -36 | N/A | 2.46 | -12.3% |
| 원익머트리얼즈 | 35,550원 | ▲1,050원 (3%) | 789 | 171 | 145 | 10.6 | 1.64 | 15.4%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9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원익머트리얼즈]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반도체·디스플레이·LED 등의 제조시 사용되는 특수가스 생산업체 |
|---|---|
| 사업환경 | ㅇ 반도체·디스플레이·LED 시장 규모가 성장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수요는 꾸준할 전망 ㅇ AMOLED용 특수가스를 생산라인 설계 시 공동개발해 관련 시장의 70%이상을 점유하고 있음 |
| 경기변동 | 반도체·디스플레이·LED 시장의 경기변동에 민감 |
| 주요제품 | ㅇ 암모니아·프로필렌 등 (매출비중 61%) ㅇ 기타 가스 (38%) |
| 원재료 | 암모니아, 아산화질소, 산화질소 등 |
| 실적변수 | ㅇ반도체·디스플레이·LED 업계 호황시 수혜 ㅇAMOLED 시장 확대 수혜 |
| 리스크 | 반도체·디스플레이·LED 업계 불황시 실적감소 |
| 신규사업 | 고객사 투자 증가에 대비해 저메인(GeH4)가스(반도체 미세화) 합성공장과 N2O(AMOLED) 합성공장 세종시에 건설 예정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원익머트리얼즈]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원익머트리얼즈]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원익아이피에스 | 최대주주 | 보통주 | 2,880,000 | 49.6 | 2,880,000 | 48.7 | - |
| 계 | 보통주 | 2,880,000 | 49.6 | 2,880,000 | 48.7 | - | |
| 우선주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