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니분석] KPX생명과학, 나도 원료의약품 회사
원료의약품을 생산하는 회사의 주가 흐름이 눈길을 끈다. 원료의약품을 만드는 화일약품, 에스텍파마는 올 들어 두 배 넘는 주가상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코오롱생명과학 역시 올해 초 3만원대에서 지난 9월말 9만5000원으로 올라 9개월 만에 3배 가까운 상승을 보였다.
이같은 흐름과 달리 소외된 원료의약품 업체도 있다. KPX생명과학이 그 주인공이다. 이 회사 주가는 같은 기간 동안 10% 오르는데 그쳤다.

▷ 2009년 상장, 원료의약 및 의약품 중간체 생산
KPX생명과학은 원료의약 및 의약품 중간체를 생산한다. 원료의약은 신약, 제네릭 등 완제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이며, 의약품 중간체는 복잡한 화학구조를 가진 합성 의약품의 주성분을 제조하는데 쓰인다. 제네릭은 특허기간이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의 복제약을 부르는 용어다.
지난 1978년 설립된 한국화인케미칼이 이 회사의 모체다. 지난 1992년 다목적 정밀화학 공장을 준공해 정밀화학 제품을 생산해왔으며, 2004년 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획득, 본격적으로 의약품 원료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2005년에는 물적 분할을 통해 분사했고, 2008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사명을 바꿨다. 상장은 지난 2009년 이뤄졌다.
이 회사가 속한 정밀화학 산업은 석유화학공업에서 생산되는 기초화학제품을 원료로 합성 및 가공을 거쳐 의약, 농약, 도료 등 개별 특성을 지닌 제품을 생산해내는 산업이다. 의약품은 그 중 생리활성 화학제품에 포함된다. 정밀화학 산업 내 점유율은 32%로 가장 높다. 의약품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산과 품질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규제와 제약이 뒤따른다.
▷ 국내 최초 FDA승인, 작물보호제 매출비중이 가장 커
KPX생명과학은 국내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승인을 받은 합성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의약품 생산기준에 맞는 품질관리 체계를 준수하고 있다. 작물보호제 원료로 사용되는(AMZ), 항생제의 중간체인(EDP-CL)이 주력제품이다. 다양한 각종 의약품의 중간체도 생산한다. 상반기 매출 비중은 AMZ 42%, EDP-CL 18%다.

또한 신규제품으로 의약품 중간체, 원료의약품, 농생명 케미칼, 항암제 및 정밀화학제품 등을 개발 중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액의 2.4% 수준인 5억6400만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했으며, 지난 2년간 매출의 2% 이상을 매년 연구개발비로 지출했다.
회사는 지난해 신규공장을 건설하며 생산량도 늘렸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11월부터 작년 6월까지 총 160억원을 들여 전남 여수에 월하공장을 신축했다.
이 공장에서는 연간 180억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가동은 지난해 6월부터 들어갔고 지난해에는 78억원의 생산 실적을 기록했다.
▷ 실적 둔화...해외 공략으로 돌파할 계획
신규 공장 건설에 따른 각종 비용증가에 따라 원가율이 상승해 실적은 부진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551억원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4억원을 기록, 8% 늘어나는데 불과했다. 순이익은 3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0년 대비 35% 감소한 수치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음에도 순이익이 감소한데는 금융비용의 증가가 주로 반영됐다. 금융비용은 외환차손 10억원을 포함 23억원이 발생해 2010년의 5억원에서 4배 넘게 증가했다.
KPX생명과학은 제품의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어 환율 상승시 관련 수익이 발생하고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손실이 생긴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 10% 상승시 10억원의 환차익이 추가된다.
올해에도 외형성장은 이어갔다. 2분기 매출액은 1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억원으로 75% 늘었다. 순이익은 3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 했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향후 일본, 유럽, 미국시장으로 수출량을 증가시키고 글로벌 제약사를 적극 공략해 판매처를 확대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영문 홈페이지를 통해 제품 리스트와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홈페이지 방문 고객에게 이메일 마케팅을 시행하는 등 대 고객 홍보 전략을 펼치고 있다.
▷ 배당 '매력', 현금흐름은 '확인' 필요
높은 배당성향은 KPX생명과학의 매력이다. 지난 2010년 60%, 지난해엔 104%, 올해 상반기 중간배당시에는 148%의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순이익에서 배당금으로 지급되는 금액의 비중이 배당성향인데 이 수치가 100%를 넘는다는 것은 순이익으로 벌어들인 것 보다 많은 금액을 지급했다는 의미다.
KPX생명과학 지분 63.33%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 KPX홀딩스는 순수지주회사로 자회사들의 배당금이 주요 수익원이다. 높은 배당성향은 이 같은 지분구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최근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 , 재무활동 현금흐름이(+)로 초창기 기업의 현금흐름 양상을 보이는 점은 투자시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2분기 실적을 포함한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주가수익배수(PER)는 16.8배로 지난 2009년 상장 이후 평균 14.7배 대비 높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76배다. 평균치 0.87배 대비 낮은 수준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4.5%를 기록했다.

이같은 흐름과 달리 소외된 원료의약품 업체도 있다. KPX생명과학이 그 주인공이다. 이 회사 주가는 같은 기간 동안 10% 오르는데 그쳤다.

▷ 2009년 상장, 원료의약 및 의약품 중간체 생산
KPX생명과학은 원료의약 및 의약품 중간체를 생산한다. 원료의약은 신약, 제네릭 등 완제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이며, 의약품 중간체는 복잡한 화학구조를 가진 합성 의약품의 주성분을 제조하는데 쓰인다. 제네릭은 특허기간이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의 복제약을 부르는 용어다.
지난 1978년 설립된 한국화인케미칼이 이 회사의 모체다. 지난 1992년 다목적 정밀화학 공장을 준공해 정밀화학 제품을 생산해왔으며, 2004년 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획득, 본격적으로 의약품 원료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2005년에는 물적 분할을 통해 분사했고, 2008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사명을 바꿨다. 상장은 지난 2009년 이뤄졌다.
이 회사가 속한 정밀화학 산업은 석유화학공업에서 생산되는 기초화학제품을 원료로 합성 및 가공을 거쳐 의약, 농약, 도료 등 개별 특성을 지닌 제품을 생산해내는 산업이다. 의약품은 그 중 생리활성 화학제품에 포함된다. 정밀화학 산업 내 점유율은 32%로 가장 높다. 의약품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산과 품질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규제와 제약이 뒤따른다.
▷ 국내 최초 FDA승인, 작물보호제 매출비중이 가장 커
KPX생명과학은 국내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승인을 받은 합성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의약품 생산기준에 맞는 품질관리 체계를 준수하고 있다. 작물보호제 원료로 사용되는(AMZ), 항생제의 중간체인(EDP-CL)이 주력제품이다. 다양한 각종 의약품의 중간체도 생산한다. 상반기 매출 비중은 AMZ 42%, EDP-CL 18%다.

또한 신규제품으로 의약품 중간체, 원료의약품, 농생명 케미칼, 항암제 및 정밀화학제품 등을 개발 중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액의 2.4% 수준인 5억6400만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했으며, 지난 2년간 매출의 2% 이상을 매년 연구개발비로 지출했다.회사는 지난해 신규공장을 건설하며 생산량도 늘렸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11월부터 작년 6월까지 총 160억원을 들여 전남 여수에 월하공장을 신축했다.
이 공장에서는 연간 180억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가동은 지난해 6월부터 들어갔고 지난해에는 78억원의 생산 실적을 기록했다.
▷ 실적 둔화...해외 공략으로 돌파할 계획
신규 공장 건설에 따른 각종 비용증가에 따라 원가율이 상승해 실적은 부진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551억원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4억원을 기록, 8% 늘어나는데 불과했다. 순이익은 3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0년 대비 35% 감소한 수치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음에도 순이익이 감소한데는 금융비용의 증가가 주로 반영됐다. 금융비용은 외환차손 10억원을 포함 23억원이 발생해 2010년의 5억원에서 4배 넘게 증가했다.KPX생명과학은 제품의 대부분을 수출하고 있어 환율 상승시 관련 수익이 발생하고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손실이 생긴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 10% 상승시 10억원의 환차익이 추가된다.
올해에도 외형성장은 이어갔다. 2분기 매출액은 1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억원으로 75% 늘었다. 순이익은 3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 했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향후 일본, 유럽, 미국시장으로 수출량을 증가시키고 글로벌 제약사를 적극 공략해 판매처를 확대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영문 홈페이지를 통해 제품 리스트와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홈페이지 방문 고객에게 이메일 마케팅을 시행하는 등 대 고객 홍보 전략을 펼치고 있다.
▷ 배당 '매력', 현금흐름은 '확인' 필요
높은 배당성향은 KPX생명과학의 매력이다. 지난 2010년 60%, 지난해엔 104%, 올해 상반기 중간배당시에는 148%의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순이익에서 배당금으로 지급되는 금액의 비중이 배당성향인데 이 수치가 100%를 넘는다는 것은 순이익으로 벌어들인 것 보다 많은 금액을 지급했다는 의미다.
KPX생명과학 지분 63.33%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 KPX홀딩스는 순수지주회사로 자회사들의 배당금이 주요 수익원이다. 높은 배당성향은 이 같은 지분구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최근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 , 재무활동 현금흐름이(+)로 초창기 기업의 현금흐름 양상을 보이는 점은 투자시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2분기 실적을 포함한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주가수익배수(PER)는 16.8배로 지난 2009년 상장 이후 평균 14.7배 대비 높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76배다. 평균치 0.87배 대비 낮은 수준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4.5%를 기록했다.

[KPX생명과학]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원료의약 및 의약품중간체 제조 업체 |
|---|---|
| 사업환경 | ㅇ 바이오 기반 신약 확대 추세, 제네릭 전문업체 부각, 아시아 지역 원료의약 전문업체들은 급속성장 추세 |
| 경기변동 | ㅇ 수요탄력성이 낮고 경기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 |
| 주요제품 | ㅇ AMZ CCIM (매출비중 84%) |
| 원재료 | ㅇ IBH2 (매입비중 18%) ㅇ TBIC_china, t-BUNCO (매입비중 10%) ㅇ Hydrazine Hydrate (매입비중 7%) ㅇ IBH (매입비중 6%) |
| 실적변수 | ㅇ 납품처 확대시 수혜, 의약품 시장 성장시 수혜, 품질 경쟁력 및 특화기술 향상시 수혜 |
| 리스크 | ㅇ 약가 인하로 인한 제약사들의 납품단가 인하 요구 가능성 |
| 신규사업 | ㅇ 신규 의약품중간체, 원료의약품, 농생명케미칼, 항암제 및 정밀화학제품 등 개발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KPX생명과학]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KPX생명과학]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KPX홀딩스(주) | 본인 | 보통주 | 9,500,000 | 63.33 | 9,500,000 | 63.33 | - |
| 오상봉 | 계열회사의 임원 | 보통주 | 10,738 | 0.07 | 10,738 | 0.07 | - |
| 김성진 | 계열회사의 임원 | 보통주 | 0 | 0 | 5,000 | 0.03 | - |
| 계 | 보통주 | 9,510,738 | 63.40 | 9,515,738 | 63.44 | - | |
| 우선주 | 0 | 0 | 0 | 0 | - | ||
| 기 타 | 0 | 0 | 0 | 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