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이엘케이 11%↑..."실적 개선 기대"
제이엘케이4,260원, ▲80원, 1.91%가 실적 부진에도 꾸준한 상승세다.
6일 오후 2시 20분 현재 11.7% 오른 1만8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지난 5월 21일 기록한 52주 신저가보다 110% 상승한 것이다.
최근 3개월여간 양호한 주가 흐름으로 이어가는 가운데, 최근 기관 투자자들이 적극적인 지분 매입에 나서 눈길을 끈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기관은 지난달 20일부터 전일까지 2주간(거래일 기준) 74만3982주(지분 5.4%)를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개인은 68만4032주, 외국인은 4만6067주를 순매도했다.
이 같은 기관의 '나홀로' 순매수는 향후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이엘케이의 순이익(지분법 적용)은 2009년 186억원으로 10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이듬해 부터 감소세가 지속됐고 올해는 2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올 1분기와 2분기 순손실은 각각 7억원과 71억원이다.
이런 가운데 증권가는 하반기부터 상황이 호전될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실제로 6일 우리투자증권 김혜용 연구원은 "이엘케이가 터치패널 사업이 지연됐고, 모토로라와 LG전자86,500원, ▲1,300원, 1.53%의 수요 급감으로 실적이 악화됐지만, 윈도우 8의 출시에 따라 하반기 노트북·태블릿 PC용 중대형 터치패널 수요가 늘고, 또한 소형 패널 부문도 3분기부터 소니모바일(舊 소니에릭슨) 등 신규 고객 물량이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3분기는 영업이익률 6.1%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고, 내년 연간 매출액은 4354억원으로 올해보다 106% 늘고, 영업이익은 424억원으로 325%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엘케이는 스마트 기기에 장착하는 터치패널을 만드는 회사다. 1999년 설립 후 LCD 백라이트유닛(BLU)용 무기물을 주력 제품으로 해오다, 2008년 3분기부터 LG전자86,500원, ▲1,300원, 1.53%에 휴대폰용 터치패널을 납품하기 시작했다. 스마트 기기 판매 증가와 함께 터치패널 시장이 급성장해 매출의 90%를 터치패널에서 얻고 있다. 주 공급처는 LG전자, 모토로라, 시냅틱스, 소니다.
▷ 주식MRI 분석결과는?
6일 오후 2시 20분 현재 11.7% 오른 1만8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지난 5월 21일 기록한 52주 신저가보다 110% 상승한 것이다.
최근 3개월여간 양호한 주가 흐름으로 이어가는 가운데, 최근 기관 투자자들이 적극적인 지분 매입에 나서 눈길을 끈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기관은 지난달 20일부터 전일까지 2주간(거래일 기준) 74만3982주(지분 5.4%)를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개인은 68만4032주, 외국인은 4만6067주를 순매도했다.
이 같은 기관의 '나홀로' 순매수는 향후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이엘케이의 순이익(지분법 적용)은 2009년 186억원으로 10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이듬해 부터 감소세가 지속됐고 올해는 2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올 1분기와 2분기 순손실은 각각 7억원과 71억원이다.
이런 가운데 증권가는 하반기부터 상황이 호전될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실제로 6일 우리투자증권 김혜용 연구원은 "이엘케이가 터치패널 사업이 지연됐고, 모토로라와 LG전자86,500원, ▲1,300원, 1.53%의 수요 급감으로 실적이 악화됐지만, 윈도우 8의 출시에 따라 하반기 노트북·태블릿 PC용 중대형 터치패널 수요가 늘고, 또한 소형 패널 부문도 3분기부터 소니모바일(舊 소니에릭슨) 등 신규 고객 물량이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3분기는 영업이익률 6.1%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고, 내년 연간 매출액은 4354억원으로 올해보다 106% 늘고, 영업이익은 424억원으로 325%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엘케이는 스마트 기기에 장착하는 터치패널을 만드는 회사다. 1999년 설립 후 LCD 백라이트유닛(BLU)용 무기물을 주력 제품으로 해오다, 2008년 3분기부터 LG전자86,500원, ▲1,300원, 1.53%에 휴대폰용 터치패널을 납품하기 시작했다. 스마트 기기 판매 증가와 함께 터치패널 시장이 급성장해 매출의 90%를 터치패널에서 얻고 있다. 주 공급처는 LG전자, 모토로라, 시냅틱스, 소니다.
▷ 주식MRI 분석결과는?
|
다만 소비자 독점력이 낮아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재무 안전성도 2점으로 낮다. 이는 현금회전일수가 141일로 120일을 초과하고, 부채비율이 160%로 100%를 넘으며, 이자보상배율이 1배로 2배 미만인 점이 반영된 결과다. 아이투자는 현금회전일수 120일 이하, 이자보상배율이 2배 이상을 재무가 안전한 조건 중 하나로 보고 있다. 또한, 밸류에이션 매력도 0점으로 낮다. 이는 올해 상반기 순이익 적자로 2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기준 주가수익배수와 자기자본이익률이 마이니스로 전환했지만, 주가순자산배수는 여전히 5년 평균과 거의 같은 2.6배에 거래되고 있는 점이 반영된 결과다. |
[터치스크린]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를 이용해 직접 입력이 가능한 화면이다. 압력을 가하면 터치한 위치가 인식되는 저항막 방식과 손가락 정전기를 이용한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한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에 적용된 정전용량 방식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터치스크린 업계는 더 가볍고 얇게 만드는 기술을 경쟁 중이다. 기술은 GFF(ITO필름 2장사용)→GF1(ITO필름 1장사용)→일체형(TOC, ITO필름 필요없음)으로 진화될 전망이다. ITO필름은 터치패널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하는 중요한 원재료다. 주로 일본에서 수입한다. 기술이 발전해 필름 숫자가 줄어들수록 두께는 얇아지고, 화면은 선명해지며 원가는 줄어든다.
기술진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강화유리, ITO필름, 터치센서칩 등 주요부품 내재화로 원가절감에 성공한 업체를 중심으로 실적이 차별화될 전망이다.
[주요 기업]
멜파스: 국내 유일 터치센서 칩 원천기술 보유
이엘케이: 강화유리 내재화. 터치스크린 최대 생산능력 보유업체로 모토로로, LG전자 등에 공급
일진디스플레이: ITO센서 공정 원가경쟁력 확보. 삼성 갤럽시탭 주요 공급사
에스맥: ITO센서 내재화 성공. 삼성전자 주요 공급사
유아이디: 국내 유일의 ITO 코팅(일체형) 전문 기업
태양기전: ITO센서, 강화유리 내재화. 2010년 하반기 삼성전자 터치패널 업체로 등록
디지텍시스템: ITO필름, 강화유리 등 핵심부품 내재화 추진
시노펙스: 삼성전자 터치모듈 공급사
모린스: 삼성전자에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 공급.
켐트로닉스: 디지털 가전용 터치 IC와 모듈 생산
터치스크린 업계는 더 가볍고 얇게 만드는 기술을 경쟁 중이다. 기술은 GFF(ITO필름 2장사용)→GF1(ITO필름 1장사용)→일체형(TOC, ITO필름 필요없음)으로 진화될 전망이다. ITO필름은 터치패널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하는 중요한 원재료다. 주로 일본에서 수입한다. 기술이 발전해 필름 숫자가 줄어들수록 두께는 얇아지고, 화면은 선명해지며 원가는 줄어든다.
기술진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강화유리, ITO필름, 터치센서칩 등 주요부품 내재화로 원가절감에 성공한 업체를 중심으로 실적이 차별화될 전망이다.
[주요 기업]
멜파스: 국내 유일 터치센서 칩 원천기술 보유
이엘케이: 강화유리 내재화. 터치스크린 최대 생산능력 보유업체로 모토로로, LG전자 등에 공급
일진디스플레이: ITO센서 공정 원가경쟁력 확보. 삼성 갤럽시탭 주요 공급사
에스맥: ITO센서 내재화 성공. 삼성전자 주요 공급사
유아이디: 국내 유일의 ITO 코팅(일체형) 전문 기업
태양기전: ITO센서, 강화유리 내재화. 2010년 하반기 삼성전자 터치패널 업체로 등록
디지텍시스템: ITO필름, 강화유리 등 핵심부품 내재화 추진
시노펙스: 삼성전자 터치모듈 공급사
모린스: 삼성전자에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 공급.
켐트로닉스: 디지털 가전용 터치 IC와 모듈 생산
[터치스크린]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멜파스 | 19,300원 | ▲500원 (2.7%) | 1,325 | 97 | 37 | 43.8 | 2.25 | 5.1% |
| 이엘케이 | 18,100원 | ▲1,900원 (11.7%) | 680 | -23 | -35 | N/A | 2.58 | -3.2% |
| 일진디스플 | 17,100원 | ▲200원 (1.2%) | 2,746 | 319 | 311 | 9.2 | 3.89 | 42.5% |
| 에스맥 | 12,300원 | ▲350원 (2.9%) | 2,062 | 190 | 153 | 4.7 | 2.08 | 43.9% |
| 디지텍시스템 | 9,790원 | ▲140원 (1.4%) | 1,163 | 125 | 94 | 13.6 | 1.09 | 8% |
| 시노펙스 | 2,070원 | ▼10원 (-0.5%) | 2,256 | 44 | -250 | N/A | 1.22 | -30.2% |
| 태양기전 | 15,950원 | ▲900원 (6%) | 973 | 59 | 39 | 8 | 1.84 | 23% |
| 모린스 | 3,430원 | ▲30원 (0.9%) | 161 | -83 | -92 | N/A | 1.58 | -80.5% |
| 켐트로닉스 | 9,500원 | ▲120원 (1.3%) | 1,065 | 64 | 42 | 27.9 | 1.23 | 4.4% |
| 유아이디 | 7,170원 | ▲220원 (3.2%) | 283 | 69 | 54 | 9.4 | 2.61 | 27.6%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LG전자]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세계적인 디지털기기, 생활가전 제조업체 |
|---|---|
| 사업환경 | 경기침체와 경쟁 심화로 난관에 봉착. 차세대 시장인 스마트폰이 세계적으로 급성장 |
| 경기변동 |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으로 글로벌 경기에 민감 |
| 실적변수 | 전략폰 4세대 LTE폰 판매량, 애플·삼성전자·HTC 등 글로벌 경쟁업체들의 스마트폰 판매량 및 시장점유율 |
| 신규사업 | 태양전지, LED 조명, 헬스케어 등 신산업 비중 확대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LG전자]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이엘케이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9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919위(상위 53%)를 차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