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핫스톡] 위메이드 7%..."소셜 네트워크 게임 기대감↑"
'소셜 네트워크 게임'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위메이드25,000원, ▲200원, 0.81%가 급등세다. 21일 오전 11시 21분 현재 7.1% 오른 5만2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동부증권 박대업 연구원은 "위메이드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인 '바이킹 아일랜드'와 카카오톡의 시너지가 적절히 발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12일 일일사용자수 10만명을 기록한 후 5일 만에 사용자수가 두 배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최고 인기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인 JCE의 '룰 더 스카이'가 10만명에서 20만명까지 늘어난 데 걸린 2개월보다 빠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지난 20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바이킹 아일랜드는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인 구글플레이에서 다운로드 수 90만명을 넘겨 최고 매출 어플리케이션 4위에 올랐다"고 덧붙였다.
위메이드는 원래 온라인게임 개발·공급 업체다. 온라인 게임 중에서도 MMORPG(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를 주로 취급한다. 현재 매출 비중은 '미르의 전설2'가 80%, '미르의 전설3'가 3.5%다.
위메이드는 모바일 게임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난 4월 카카오톡 지분 5.8%를 인수했다. 5000만명이 넘는 가입자를 보유한 카카오톡의 플랫폼을 활용하기 위해서다.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사용자의 온라인 인맥들과 함께 게임을 즐기면서 친밀감과 동질성을 증대시키는 데 장점이 있다.
이날 동부증권 박대업 연구원은 "위메이드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인 '바이킹 아일랜드'와 카카오톡의 시너지가 적절히 발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12일 일일사용자수 10만명을 기록한 후 5일 만에 사용자수가 두 배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최고 인기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인 JCE의 '룰 더 스카이'가 10만명에서 20만명까지 늘어난 데 걸린 2개월보다 빠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지난 20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바이킹 아일랜드는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인 구글플레이에서 다운로드 수 90만명을 넘겨 최고 매출 어플리케이션 4위에 올랐다"고 덧붙였다.
위메이드는 원래 온라인게임 개발·공급 업체다. 온라인 게임 중에서도 MMORPG(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를 주로 취급한다. 현재 매출 비중은 '미르의 전설2'가 80%, '미르의 전설3'가 3.5%다.
위메이드는 모바일 게임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난 4월 카카오톡 지분 5.8%를 인수했다. 5000만명이 넘는 가입자를 보유한 카카오톡의 플랫폼을 활용하기 위해서다.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카카오톡,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사용자의 온라인 인맥들과 함께 게임을 즐기면서 친밀감과 동질성을 증대시키는 데 장점이 있다.
지난 16일 발표된 잠정 실적 공시에 따르면, 위메이드의 2분기 매출액과 순이익은 261억과 13억1300만원으로 각각 5%와 77% 줄었고, 영업손익은 15억3300만원의 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증권가에 따르면 주력인 미르의 전설2의 매출이 부진했지만, 모바일 게임 인력 증원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E3 쇼 참가에 따른 마케팅비 증가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국내 게임 카테고리 오픈 수혜 - 모바일 게임주]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스마트폰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모바일 게임 이용자도 증가하고 있다. 2011년 11월 애플 앱스토어의 국내 게임 카테고리 오픈으로 해외 오픈 마켓에서만 제공되던 게임들을 국내에도 유통할 수 있게 됐다. 향후 안드로이드 마켓이 오픈되면 관련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국내 모바일 게임 주요 기업으로는 기존 1,2위 기업인 게임빌, 컴투스와 엔텔스 등이다. 온라인 게임 업력을 바탕으로 신규 진출하고 있는 위메이드, JCE, 네오위즈인터넷도 주목할만 하다.
국내 모바일 게임 주요 기업으로는 기존 1,2위 기업인 게임빌, 컴투스와 엔텔스 등이다. 온라인 게임 업력을 바탕으로 신규 진출하고 있는 위메이드, JCE, 네오위즈인터넷도 주목할만 하다.
[국내 게임 카테고리 오픈 수혜 - 모바일 게임주]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게임빌 | 94,500원 | ▲1,000원 (1.1%) | 133 | 55 | 47 | 27.7 | 7.06 | 25.5% |
| 컴투스 | 51,100원 | ▲1,350원 (2.7%) | 92 | 8 | 42 | 67.4 | 7.03 | 10.4% |
| 위메이드 | 53,000원 | ▲3,650원 (7.4%) | 224 | 79 | 66 | 34.7 | 2.80 | 8.1% |
| JCE | 34,250원 | ▲100원 (0.3%) | 188 | 59 | 57 | 35.9 | 5.81 | 16.2% |
| 네오위즈인터넷 | 10,950원 | ▲150원 (1.4%) | 128 | -6 | -3 | 24.6 | 3.70 | 15% |
| 엔텔스 | 9,870원 | ▼110원 (-1.1%) | 75 | 6 | 8 | 5.4 | 1.22 | 22.4%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미르의 전설'로 유명한 온라인게임 및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 업체 |
|---|---|
| 사업환경 | ㅇ 경기 방어적인 성격을 지님 ㅇ 정부의 게임 규제 정책에 영향을 받음 |
| 경기변동 | ㅇ 경기 방어적인 성격을 지님 ㅇ 정부의 게임 규제 정책에 영향을 받음 |
| 주요제품 | ㅇ 미르의 전설 2 : 온라인 게임, 부분 유료화 (매출 비중 79.6%) ㅇ 창천 온라인 : 온라인 게임, 부분 유료화 (매출 비중 8.6%) ㅇ 미르의 전설 3 : 온라인 게임, 부분 유료화 (매출 비중 3.5%) |
| 실적변수 | ㅇ 게임 흥행 시 수혜 ㅇ 정부 규제 강화 시 실적 부진 |
| 리스크 | 쿨링오프제 등 정부의 규제 정책으로 실적 악화 가능성 |
| 신규사업 | GSP(Global Service Platform), 라인업 구축을 위한 개발 강화, 신작게임 개발 지속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박관호 | 본인 | 보통주 | 4,080,600 | 48.6 | 4,558,100 | 54.3 | 주1) |
| 서수길 | - | 보통주 | 504,000 | 6.0 | 0 | 0 | 주2) |
| 김남철 | 계열회사 임원 | 보통주 | 0 | 0 | 184,000 | 2.2 | 주3) |
| 유기덕 | 임원 | 보통주 | 52,500 | 0.6 | 52,500 | 0.6 | - |
| 권준모 | 기타 | 보통주 | 18,400 | 0.2 | 18,400 | 0.2 | - |
| 계 | 보통주 | 4,655,500 | 55.4 | 4,813,000 | 57.30 | - | |
| 우선주 | 0 | 0 | 0 | 0 | - | ||
| 기 타 | 0 | 0 | 0 | 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