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2Q 실적과 분석] 한국정밀기계, 예상치 '하회'
14일 증시 개장을 앞둔 가운데 아이투자가 전일 실적 공시를 집계한 결과 한국정밀기계2,065원, 0원, 0%가 2분기 부진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전일 발표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매출액은 19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2% 줄었고, 영업이익은 전년도 18억8300만원에서 1백만원 적자로 전환했다. 순이익은 금융수익과 지분법이익에 힘입어 9억3100만원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지난해보다 59% 감소했다. 증권가에 따르면 대당 단가가 5~7억원인 소형 장비 위주의 매출로 외형과 수익성이 모두 부진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를 밑도는 것이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증권가의 실적 전망치 평균은 매출액이 210억원, 영업이익이 5억원이다. 다만, 순이익 전망치는 3억원으로 실제 실적보다 적었다.
한국정밀기계는 공작기계 제조 업체다. 주력 품목은 대형공작기계로 발전, 건설, 플랜트 산업 경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공작기계는 금속재료를 자르거나 연마해 자동차, 조선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는 부품을 만드는 기계이다. 즉, 기계, 부품을 만드는 기계다.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현대위아58,600원, ▲2,100원, 3.72%, 두산인프라코어, 화천기계4,595원, ▲60원, 1.32%, 화천기공31,600원, ▼-150원, -0.47% 등 상위 대형 업체들이 80% 이상을 과점하고 있다.
소형 공작기계는 핵심 부품인 수치제어장치(Numerical Controller) 하나가 제작 원가의 5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생산규모가 적은 소규모 업체들이 경쟁력을 갖기 어려운 실적이다. 이에 한국정밀기계는 대형 공작기계 분야에 역량을 집중해 왔다. 수치제어장치와 같은 핵심 부품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고, 제품 특성상 대형생산이 어려워 소규모 업체가 상대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해외 시장 공략에 집중하여, 중국 시장에서 해외 대형 업체들과 국제 경쟁 입찰을 통해 매년 수출 계약을 늘리고 있다. 그 결과 수출실적은 2009년 742억원, 2010년 876억원, 지난해 1063억원으로 매년 증가해 왔다.
전일 발표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매출액은 19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2% 줄었고, 영업이익은 전년도 18억8300만원에서 1백만원 적자로 전환했다. 순이익은 금융수익과 지분법이익에 힘입어 9억3100만원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지난해보다 59% 감소했다. 증권가에 따르면 대당 단가가 5~7억원인 소형 장비 위주의 매출로 외형과 수익성이 모두 부진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를 밑도는 것이다. 증권정보업체인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증권가의 실적 전망치 평균은 매출액이 210억원, 영업이익이 5억원이다. 다만, 순이익 전망치는 3억원으로 실제 실적보다 적었다.
한국정밀기계는 공작기계 제조 업체다. 주력 품목은 대형공작기계로 발전, 건설, 플랜트 산업 경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공작기계는 금속재료를 자르거나 연마해 자동차, 조선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는 부품을 만드는 기계이다. 즉, 기계, 부품을 만드는 기계다.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현대위아58,600원, ▲2,100원, 3.72%, 두산인프라코어, 화천기계4,595원, ▲60원, 1.32%, 화천기공31,600원, ▼-150원, -0.47% 등 상위 대형 업체들이 80% 이상을 과점하고 있다.
소형 공작기계는 핵심 부품인 수치제어장치(Numerical Controller) 하나가 제작 원가의 5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생산규모가 적은 소규모 업체들이 경쟁력을 갖기 어려운 실적이다. 이에 한국정밀기계는 대형 공작기계 분야에 역량을 집중해 왔다. 수치제어장치와 같은 핵심 부품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고, 제품 특성상 대형생산이 어려워 소규모 업체가 상대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해외 시장 공략에 집중하여, 중국 시장에서 해외 대형 업체들과 국제 경쟁 입찰을 통해 매년 수출 계약을 늘리고 있다. 그 결과 수출실적은 2009년 742억원, 2010년 876억원, 지난해 1063억원으로 매년 증가해 왔다.
[공작기계 업체]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공작기계는 금속재료를 자르거나(절삭) 다듬어(연마) 기계부품을 만들는 기계다. 흔히 '기계를 만드는 기계'로 불린다. 크게 절삭가공과 성형가공 부문으로 분류되며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기계류와 IT 및 전자 분야의 금형 제작 등에 활용된다. 2011년 3분기 현재 자동차 산업 수주금액 비중이 50%로 가장 많다. 다음은 일반기계(13%), 전기/전자(11%) 순이다.
공작기계는 생산기종은 많으며 같은 기종의 생산량은 매우 적다. 따라서 대부분 주문 생산방식으로 생산돼 수주업의 재무제표 형태를 보인다. 실적 점검을 위해 매출액 추이와 함께 수주잔고를 매분기 확인할 필요가 있다.
공작기계 산업은 경기 호황에 후행하고, 불황에 선행하는 특성이 있다. 공작기계 업체들은 경기상승이 지속돼 기업의 설비투자가 활발할 때 호황을 누린다. 반면 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해 설비투자가 감소하면 공작기계 업체들의 실적도 감소한다.
[주요기업]
두산인프라코어(국내 1위), 현대위아(2위), 화천기계(3위), 화천기공, S&T중공업, 한국정밀기계, 삼익THK, SIMPAC(자동차용 프레스), 서암기계공업, 넥스턴
공작기계는 생산기종은 많으며 같은 기종의 생산량은 매우 적다. 따라서 대부분 주문 생산방식으로 생산돼 수주업의 재무제표 형태를 보인다. 실적 점검을 위해 매출액 추이와 함께 수주잔고를 매분기 확인할 필요가 있다.
공작기계 산업은 경기 호황에 후행하고, 불황에 선행하는 특성이 있다. 공작기계 업체들은 경기상승이 지속돼 기업의 설비투자가 활발할 때 호황을 누린다. 반면 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해 설비투자가 감소하면 공작기계 업체들의 실적도 감소한다.
[주요기업]
두산인프라코어(국내 1위), 현대위아(2위), 화천기계(3위), 화천기공, S&T중공업, 한국정밀기계, 삼익THK, SIMPAC(자동차용 프레스), 서암기계공업, 넥스턴
[공작기계 업체]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화천기계 | 24,600원 | ▲50원 (0.2%) | 716 | 54 | 43 | 3.4 | 0.50 | 14.7% |
| 화천기공 | 42,650원 | 0원 (0%) | 597 | 53 | 41 | 3.6 | 0.44 | 12.2% |
| S&T중공업 | 13,600원 | ▲350원 (2.6%) | 1,286 | 125 | 98 | 8 | 0.65 | 8.2% |
| 한국정밀기계 | 12,200원 | ▲50원 (0.4%) | 199 | -1 | 2 | 19.4 | 0.65 | 3.4% |
| SIMPAC | 4,860원 | ▼35원 (-0.7%) | 513 | 71 | 72 | 5.5 | 0.89 | 16.4% |
| 삼익THK | 5,780원 | ▼60원 (-1%) | 512 | 21 | 50 | 6.9 | 1.07 | 15.5% |
| 서암기계공업 | 3,560원 | ▲100원 (2.9%) | 116 | 28 | 24 | 4.7 | 0.88 | 18.8% |
| 넥스턴 | 3,310원 | ▲75원 (2.3%) | 46 | 6 | 6 | 6.3 | 0.79 | 12.5%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한국정밀기계]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대형 공작기계를 주력으로 하는 회사 |
|---|---|
| 사업환경 | ㅇ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현대위아, 두산인프라코어, 화천기공, 화천기계 등 대형 업체들이 과점 ㅇ 국외 시장도 독일, 일본 등의 대형 업체들의 경쟁력이 높음 ㅇ 자동차, IT 제품 등의 디자인 정교화로 정밀 작업이 가능한 공작기계의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 |
| 경기변동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자동차, IT 제품 판매량, 신제품 출시 주기 등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
| 주요제품 | ㅇ 공작기계 (매출 비중 98%) |
| 원재료 | ㅇ 주조물 : 한국중기계 (매입 비중 30%) ㅇ 수치제어장치 : 한국화낙 (매입 비중 15%) ㅇ 외주가공비 : 기성엔지니어링 외(매입 비중 15%) |
| 실적변수 | ㅇ 자동차, IT 등의 설비 투자 증가시 수혜 ㅇ 조선업체 선박 건조량, 건설 수요 증가시 수혜 ㅇ 환율 상승시 수혜 (수출 비중 72%) |
| 리스크 | ㅇ 전방 산업이 모두 경기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에 호황기와 침체기의 실적 차이가 매우 클 수 있음 ㅇ 환율 하락시 수익성 악화됨 |
| 신규사업 | 진행 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한국정밀기계]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한국정밀기계]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하종식 | 최대주주 | 보통주 | 578,050 | 6.88 | 1,563,650 | 18.60 | - |
| 한국주강㈜ | 관계회사 | 보통주 | 1,100,000 | 13.09 | 1,100,000 | 13.09 | - |
| 한국제강㈜ | 관계회사 | 보통주 | 948,930 | 11.29 | 948,930 | 11.29 | - |
| 하경자 | 대표이사누이 | 보통주 | 440,000 | 5.23 | 440,000 | 5.23 | - |
| 오세용 | 대표이사처남 | 보통주 | 352,000 | 4.19 | 0 | 0 | - |
| 정상욱 | 관계회사임원 | 보통주 | 198,000 | 2.36 | 0 | 0 | - |
| 구종민 | 대표이사동서 | 보통주 | 193,600 | 2.30 | 0 | 0 | - |
| 윤정희 | 대표이사장모 | 보통주 | 176,000 | 2.09 | 0 | 0 | - |
| 오현경 | 대표이사처제 | 보통주 | 176,000 | 2.09 | 110,000 | 1.31 | - |
| 오현숙 | 대표이사처 | 보통주 | 62,700 | 0.75 | 62,700 | 0.75 | - |
| 김동진 | 대표이사조카 | 보통주 | 44,000 | 0.52 | 44,000 | 0.52 | - |
| 김동재 | 대표이사조카 | 보통주 | 33,000 | 0.39 | 33,000 | 0.39 | - |
| 김동조 | 대표이사조카 | 보통주 | 33,000 | 0.39 | 33,000 | 0.39 | - |
| 차옥심 | 대표이사형수 | 보통주 | 33,000 | 0.39 | 33,000 | 0.39 | - |
| 이경희 | 대표이사제수 | 보통주 | 33,000 | 0.39 | 33,000 | 0.39 | - |
| 하만재 | 대표이사자 | 보통주 | 16,500 | 0.20 | 16,500 | 0.20 | - |
| 하만규 | 대표이사조카 | 보통주 | 16,500 | 0.20 | 16,500 | 0.20 | - |
| 하수형 | 대표이사조카 | 보통주 | 16,500 | 0.20 | 16,500 | 0.20 | - |
| 하지형 | 대표이사조카 | 보통주 | 16,500 | 0.20 | 16,500 | 0.20 | - |
| 계 | 보통주 | 4,467,280 | 53.15 | 4,467,280 | 53.15 | - | |
| 우선주 | 0 | 0 | 0 | 0 | - | ||
| 기 타 | 0 | 0 | 0 | 0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