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대주전자 5%↑···“기관 매수 중”
대주전자재료가 상승세다. 10일 오전 9시 40분 현재 대주전자재료71,200원, ▲2,800원, 4.09%는 5.5%(550원) 오른 1만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기관투자자는 지난달 21일부터 전일까지 단 하루도 빠짐없이 대주전자재료를 순매수했다. 이기간 누적 순매수 규모는 12만2866주며, 발행주식총수 대비 1.5%다. 
▷ 주요 원재료 가격하락으로 이익 급증
대주전자재료는 IT기기에 들어가는 각종 전자재료를 생산·판매하는 회사다. 디스크형 전자부품에 쓰이는 액상절연재료부터 핸드폰·느트북에 들어가는 칩부품용 전자재료,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태양전지, LED용 재료까지 다양한 분야에 쓰이는 재료를 만든다.
대주전자재료는 과거 삼성SDI304,500원, ▲20,000원, 7.03%에 주로 제품을 공급했다. 전방산업 호조로 최근에는 LG전자86,500원, ▲1,300원, 1.53%, 삼성전기257,000원, ▲15,500원, 6.42%로 납품을 확대하고 있으며, 중국·대만 IT업체로부터 수요도 늘고 있다. 수출 비중은 64%로 환율이 오르면 수혜를 입는다.
세라믹 파우더, 귀금속 등 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대주전자재료의 수익성은 대폭 개선됐다. 1분기 매출액은 2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줄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70%, 266% 급증한 48억7000만원, 36억6000만원을 기록했다.
▷ 피오트로스키 점수 5점 → 8점
실적개선으로 기업의 체질도 바뀌고 있다. 아이투자에서 제공하는 피오트로스키 점수를 활용하면 기업의 체질개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대주전자재료의 올해 1분기 피오트로스키 점수는 8점으로 전년 동기보다 3점 올랐다. 항목별로는 수익성, 안전성, 효율성 부문에서 각각 1점씩 취득했다.
피오트로스키 점수는 기업의 수익성, 안전성, 효율성을 9가지 항목으로 나눠 각 1점씩 9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경제학과의 조셉 피오트로스키 교수가 개발한 종목 평가 방법이다.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이슈와 수혜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구부릴 수 있고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다. 가볍고 깨지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창의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면 현재 유리기판 대신 플라스틱 기판이 채택되고 아몰레드(AMOLED)가 핵심 디스플레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
- 플렉서블 단말기 : 삼성전자
- 소재 : 제일모직, 아이컴포넌트, 큐리어스, 나노신소재
- 장비 : AP시스템, 테라세미콘
- AMOLED 재료 : 덕산하이메탈, CS, 대주전자재료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제일모직 | 99,000원 | ▲700원 (0.7%) | 13,717 | 1,014 | 737 | 22 | 1.53 | 7% |
| 아이컴포넌트 | 10,050원 | ▲60원 (0.6%) | 99 | 4 | -3 | N/A | 2.22 | -3.2% |
| 큐리어스 | 401원 | ▼9원 (-2.2%) | 44 | -3 | -6 | N/A | 0.80 | -60.1% |
| 나노신소재 | 17,650원 | ▲350원 (2%) | 61 | 2 | 3 | 37.5 | 2.14 | 5.7% |
| AP시스템 | 13,450원 | ▲50원 (0.4%) | 602 | 93 | 71 | 16 | 3.24 | 20.3% |
| 테라세미콘 | 30,450원 | ▼100원 (-0.3%) | 352 | 71 | 59 | 42.2 | 4.62 | 10.9% |
| 덕산하이메탈 | 23,750원 | 0원 (0%) | 325 | 92 | 93 | 18.1 | 4.70 | 26% |
| CS | 6,620원 | ▲110원 (1.7%) | 92 | -28 | -32 | N/A | 2.02 | -21.4% |
| 대주전자재료 | 10,400원 | ▲450원 (4.5%) | 252 | 49 | 37 | 11 | 2.12 | 19.2%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대주전자재료]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IT기기에 들어가는 각종 전자재료를 생산·판매하는 업체 |
|---|---|
| 사업환경 | ㅇ국내 전자재료 시장은 삼성전기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음 ㅇ해외에서는 대만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되고 있음 ㅇLED, OLED, 신재생 에너지사업과 관련된 전자재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 경기변동 | ㅇIT산업 경기변동에 민감 |
| 주요제품 | ㅇPDP용전자재료: PDP패널에 적용되는 유리재료 및 전극재료 (매출 비중 7%) ㅇ전도성 페이스트: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초소형, 고용량의 특성을 지닌 칩부품 (매출 비중 22%) ㅇ태양전지 전극재료: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매출 비중 8%) ㅇ나노재료: 산화마그네슘 (매출 비중 8%) ㅇ형광체: 3D PDP용 (매출 비중 38%) |
| 원재료 | ㅇ귀금속류(은, 희토류): 칩부품전자재료, 고온전극재료의 주재료 (매입 비중 43%) ㅇ세라믹 파워: PDP전자재료의 주재료 (매입 비중 48%) |
| 실적변수 | ㅇ은가격, 희토류 가격 하락시 수혜 ㅇIT경기 호황시 수혜 ㅇ원/달러 환율 상승시 영업외 수익 발생 |
| 리스크 | ㅇ국제 귀금속 가격 변동에 따라 실적변동이 큼 ㅇ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를 기록하고 있음 ㅇ유동비율이 63%로 낮고, 부채비율이 189%로 높음 |
| 신규사업 | ㅇ첨단 디스플레이와 나노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2차전지용 신재료 등을 생산할 계획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대주전자재료]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대주전자재료] 주요주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 기 초 | 기 말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 임무현 | 본인 | 보통주 | 510,703 | 6.21 | 510,703 | 6.21 | - |
| 박정자 | 배우자 | 보통주 | 417,240 | 5.07 | 417,240 | 5.07 | - |
| 임일지 | 자 | 보통주 | 373,550 | 4.55 | 373,550 | 4.55 | - |
| 임중규 | 자 | 보통주 | 879,140 | 10.69 | 877,740 | 10.68 | - |
| 임문현 | 형 | 보통주 | 196,890 | 2.39 | 196,890 | 2.39 | - |
| 임해지 | 자 | 보통주 | 131,480 | 1.60 | 131,480 | 1.60 | - |
| 임성지 | 자 | 보통주 | 130,000 | 1.58 | 130,000 | 1.58 | - |
| 박정철 | 처남 | 보통주 | 40,300 | 0.49 | 40,300 | 0.49 | - |
| 권형원 | 임원 | 보통주 | 26,090 | 0.32 | 26,090 | 0.32 | - |
| 이정일 | 조카 | 보통주 | 24,390 | 0.30 | 24,390 | 0.30 | - |
| 신영웅 | 관계회사 임원 | 보통주 | 18,020 | 0.22 | 18,020 | 0.22 | - |
| 임대산 | 손자 | 보통주 | 287,000 | 3.49 | 282,000 | 3.43 | - |
| 계 | 보통주 | 3,034,803 | 36.91 | 3,028,403 | 36.83 | - | |
| 우선주 |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