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리분석] 덕산하이메탈, 5일 연속 상승 가능할까
[아이투자 강우람] 31일 개장을 앞두고 덕산하이메탈5,690원, ▲20원, 0.35%의 주가 향방이 주목된다. 전일 코스피지수가 하락했음에도 덕산하이메탈은 1.7% 상승한 2만3750원에 거래를 마쳤다. 4일(거래일 기준) 연속 상승세다. 덕산하이메탈의 주가는 오늘도 상승 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까.

덕산하이메탈의 1분기 실적은 숄더볼과 아몰레드 소재 매출이 늘어나면서 호조를 보였다. 이 회사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 늘어난 324억원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62%, 75% 늘어난 91억원, 93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아몰레드 소재의 매출 성장세가 돋보였다. 아몰레드 소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174억원을 기록했다.
덕산하이메탈은 반도체·아몰레드(AMOLED) 소재를 만드는 업체다. 특히 반도체 패키징공정에 쓰이는 숄더볼, 숄더볼파우더를 만드는데 이 분야 국내 시장의 70~80% 를 점유하고 있다.
덕산하이메탈의 아몰레드 소재 부문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이하 SMD)의 공격적인 투자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09년 64억원으로 매출액의 20% 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700억원으로 10배 넘게 증가했으며, 비중은 54% 로 늘었다.
지난 22일 신영증권은 덕산하이메탈의 호실적이 2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신영증권 이승철 연구원은 2분기 이후 스마트폰의 수요가 늘어나고 삼성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5.5세대 아몰레드 생산량이 확대될 것이라며 덕산하이메탈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신영증권은 덕산하이메탈의 2분기 매출액은 431억원, 영업이익 11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40% 늘어난 수치다.
◆주식MRI 분석 결과 상위 2%

덕산하이메탈의 1분기 실적은 숄더볼과 아몰레드 소재 매출이 늘어나면서 호조를 보였다. 이 회사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 늘어난 324억원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62%, 75% 늘어난 91억원, 93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아몰레드 소재의 매출 성장세가 돋보였다. 아몰레드 소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174억원을 기록했다.
덕산하이메탈은 반도체·아몰레드(AMOLED) 소재를 만드는 업체다. 특히 반도체 패키징공정에 쓰이는 숄더볼, 숄더볼파우더를 만드는데 이 분야 국내 시장의 70~80% 를 점유하고 있다.
덕산하이메탈의 아몰레드 소재 부문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이하 SMD)의 공격적인 투자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09년 64억원으로 매출액의 20% 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700억원으로 10배 넘게 증가했으며, 비중은 54% 로 늘었다.
지난 22일 신영증권은 덕산하이메탈의 호실적이 2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신영증권 이승철 연구원은 2분기 이후 스마트폰의 수요가 늘어나고 삼성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5.5세대 아몰레드 생산량이 확대될 것이라며 덕산하이메탈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신영증권은 덕산하이메탈의 2분기 매출액은 431억원, 영업이익 11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40% 늘어난 수치다.
◆주식MRI 분석 결과 상위 2%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덕산하이메탈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21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27위(상위 2%)를 차지했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삼성 아몰레드 투자 수혜주]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AMOLED는 유기물질을 이용해 스스로 빛을 내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가 세계 시장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SMD는 2011년 5.4조원의 투자를 단행한 데 이어 5.5세대, 8세대 라인의 증설도 계획하고 있다. 2012년에도 4조원 이상을 아몰레드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후발주자인 LG디스플레이(LGD)는 2013년 이후 대형 아몰레드 TV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SMD 아몰레드 투자 확대 수혜]
소재: 덕산하이메탈, 제일모직, CS
장비: AP시스템, SFA, 에스엔유, 테스, 톱텍, 테라세미콘
부품: 삼성전자, 아나패스, 제일모직, 네패스, 엘비세미콘
SMD는 2011년 5.4조원의 투자를 단행한 데 이어 5.5세대, 8세대 라인의 증설도 계획하고 있다. 2012년에도 4조원 이상을 아몰레드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후발주자인 LG디스플레이(LGD)는 2013년 이후 대형 아몰레드 TV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SMD 아몰레드 투자 확대 수혜]
소재: 덕산하이메탈, 제일모직, CS
장비: AP시스템, SFA, 에스엔유, 테스, 톱텍, 테라세미콘
부품: 삼성전자, 아나패스, 제일모직, 네패스, 엘비세미콘
[삼성 아몰레드 투자 수혜주]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덕산하이메탈 | 23,750원 | ▲400원 (1.7%) | 1,294 | 347 | 346 | 20.2 | 5.04 | 24.9% |
| 제일모직 | 97,200원 | ▲200원 (0.2%) | 54,173 | 2,818 | 2,411 | 21.1 | 1.61 | 7.6% |
| CS | 5,450원 | ▼70원 (-1.3%) | 92 | -28 | -32 | N/A | 1.71 | -11.5% |
| AP시스템 | 13,300원 | ▲400원 (3.1%) | 602 | 93 | 71 | 24.5 | 3.52 | 14.4% |
| 에스에프에이 | 54,100원 | ▼100원 (-0.2%) | 1,003 | 197 | 172 | 12.4 | 2.86 | 23.1% |
| 에스엔유 | 7,550원 | ▲50원 (0.7%) | 204 | -14 | -25 | N/A | 1.60 | -20.4% |
| 테스 | 7,200원 | ▼70원 (-1%) | 234 | 34 | 45 | 7.5 | 1.15 | 15.3% |
| 톱텍 | 13,450원 | 0원 (0%) | 373 | 43 | 37 | 11.1 | 2.32 | 21% |
| 아나패스 | 10,700원 | ▼300원 (-2.7%) | 235 | 38 | 36 | 6.2 | 1.43 | 23% |
| 엘비세미콘 | 2,465원 | ▲20원 (0.8%) | 255 | 19 | 13 | N/A | 1.31 | -5.3% |
| 네패스 | 18,700원 | ▼100원 (-0.5%) | 585 | 81 | 70 | 21 | 2.49 | 11.9% |
| 테라세미콘 | 30,850원 | ▲1,450원 (4.9%) | 352 | 71 | 59 | 42.6 | 4.66 | 10.9%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2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덕산하이메탈]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반도체 재료인 솔더볼과 AMOLED 소재 제조기업 |
|---|---|
| 사업환경 | ㅇ반도체 패키징산업은 시스템 반도체를 중심으로 성장하는 추세 ㅇAMOLED산업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패널 대형화 경쟁이 치열 |
| 경기변동 | ㅇ반도체·디스플레이(특히 AMOLED) 경기에 영향을 크게 받음 |
| 실적변수 | ㅇ스마트폰 등 소형IT기기 판매 증가시 수혜 ㅇ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의 AMOLED 투자 확대 시 수혜 ㅇ원/달러 환율 상승시 수혜 |
| 신규사업 | ㅇ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덕산하이메탈]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