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니분석] 네패스,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도 지속?
[아이투자 박동규] 메모리 관련업체인 네패스가 1분기 실적이 개선돼 관심을 끈다. 2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네패스는 올 1분기 영업이익이 50% 이상 증가한 기업으로 주가는 올해 들어 10% 조금 넘게 올랐다. 네패스는 전날에도 0.8% 오른 1만8550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네패스는 2분기에도 1분기와 같은 호조를 지속할 수 있을까?
네패스16,970원, ▲90원, 0.53%는 반도체 후공정, 전자재료 제조업체다. 반도체사업 사업부문의 매출 비중은 68%이며, 나머지 매출은 전자재료에서 발생한다.
반도체 사업부문은 DDI(Display Driver IC) 후공정, WLP(Wafer Level Packaging) 등이 주력이다. DDI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반도체로써 화면에 문자나 영상, 이미지 등이 표시되도록 구동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기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네패스는 중대형(LCD/LED TV, 노트북, 모니터 등)과 소형(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폰 등)을 취급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102,800원, ▲3,500원, 3.52%, 소니, LG전자86,300원, ▲1,100원, 1.29% 등이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네패스 등이 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WLP란 는 비메모리 반도체에 쓰이는 패키징 기술로, 실리콘 반도체 공정기술과 발광 다이오드(LED) 기술이 융합된 패키징 기술이다. 실리콘 웨이퍼에 구멍을 내고 LED 칩을 넣어 패키징 하는 방식으로 웨이퍼를 얇게 만들 수 있으며, 생산성은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부문 또한 국내에선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네패스가 유일하다.
전자재료 사업부문은 반도체와 LCD 제조공정용 케미칼인 현상액(Developer), 세정제(Cleaner), 연마제(Slurry) 등의 제품을 생산한다. LCD향 매출비중이 80%가 넘고, 나머진 반도체에 쓰인다. 주요고객은 주요고객은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12,600원, ▲370원, 3.03%, SK하이닉스522,500원, ▲3,500원, 0.67% 등이다.
따라서 네패스는 LCD와 반도체 업황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특히 LCD 출하량과 반도체 및 LCD 패널업체들의 신규라인 증설에 따라 실적이 좌지우지된다.
◆ 1분기 창사 이래 최대 실적…2분기도 지속?
네패스는 올 1분기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5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50% 늘어난 81억2800만원, 순이익은 86% 증가한 69억8900만원을 달성했다.
업계에선 모바일AP(application processor)향 WLP 및 DDI 후공정 사업이 스마트폰 및 테블릿(iPad 등) 수요 증가에 따라 호조를 보였다고 설명한다. 특히 삼성전자 모바일 기기들의 판매가 크게 증가하면서 네패스의 실적도 덩달아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모바일AP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메인칩을 말하는 것으로, 모바일 기기의 OS 및 각종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는 기능 모두를 하나의 칩으로 모아 놓은 SOC(Sytem-On-Chip)을 의미한다.
업계에선 2분기 및 하반기에도 실적 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실적 개선 요인으로는 ▼12인치 WLP 물량 증가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라인 증설 및 투자 확대 ▼LCD패널업체들의 가동률 상승 ▼케미칼부문 실적 개선 ▼엔디비아, AMD 등 AP 파운드리 신규 고객 확보 등이다.
◆ 재무 안전성 '양호', 현금 창출력은 '그럭저럭'
네패스의 재무상태는 안전한 편에 속한다. 단기 지급능력 지표인 유동비율은 180%, 타인자본 의존도 지표인 부채비율은 70%다. 이자 지급이 필요한 부채 규모를 나타내는 차입금 비중은 26%로 위험 수준인 40%의 절반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다. 유동비율은 높을수록, 부채비율과 차입금 비중은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우량한다고 판단한다.

현금흐름은 보통수준에 속한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43억원으로 플러스(+)를 나타내고 있으며,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과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각각 -276억원, -88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현금흐름이 영업활동 (+), 투자활동 (-), 재무활동 (-)로 나타낼 때 성숙기에 속한 우량기업으로 판단한다. 네패스의 경우 (+)(-)(-) 구조를 지니지만, 영업으로 벌어들인 현금에 비해 투자로 소모되는 현금이 커 매우 원활한 수준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잉여현금흐름은 마이너스 상태로 양호하지 못하다. 잉여현금흐름을 꾸준히 창출하는 기업은 순이익을 늘리는 데 있어 설비투자가 많이 필요 없는 기업에 해당되며, 기업 가치를 빠르게 높인다. 반면 네패스는 꾸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사업으로 잉여현금흐름이 항상 넉넉할 수는 없는 구조다.

◆ PBR 2.5배…5년 평균치보다 높아
네패스의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5배로 5년 평균치인 1.9배보다 30% 높은 수준이다. 10년간 최대치는 6.1배, 최저치는 0.4배다. PBR은 시가총액을 자본총계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그 주식은 저평가 된 것으로 판단한다.
◆ 큰 손들도 보유 중
네패스는 큰 손들이 공통으로 보유하고 있는 종목 중 하나다. 최근 공시일 기준 국민연금공단은 네패스의 지분 7.43%를 보유하고 있으며, BNP파리바자산운용도 지난달 21일 네패스의 지분 5.73%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세이에셋코리아도 현재 4.78%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반도체 투자확대 수혜]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시스템반도체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반도체로 시스템LSI(대규모 집적회로)라고도 불린다. 컴퓨터의 CPU는 대표적인 시스템반도체다. 표준화된 메모리와 달리 다품종 소량생산 구조며 회로 설계가 중요하다.
2010년 기준 시스템반도체 시장규모는 1803억 달러(약 200조원)로 전체 반도체시장의 61%를 차지한다. IT시장 조사기관 가트너는 2012년 반도체 시장이 올해 대비 2% 성장한 3900억 달러로 전망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성장으로 관련 시스템반도체 시장도 커졌다. 스마트기기에서 CPU역할을 하는 모바일AP와 휴대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인 CIS, 스마트폰용 심(SIM)카드가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2012년 7조원 이상을 시스템반도체에 투자할 계획이다. SKT에 인수된 하이닉스의 투자계획도 주목된다. 정부의 정책 지원으로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한 팹리스, 패키징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수혜기업]
종합 반도체 업체(IDM): 삼성전자, 하이닉스
파운드리(생산 전문): 동부하이텍
장비 및 부품: 네패스, 리노공업, 고려반도체, 에스앤에스텍, 디아이, 에프에스티
팹리스(설계 전문): 실리콘웍스, 넥스트칩, 아이앤씨, 아나패스, 씨앤에스, 어보브반도체, 알파칩스
패키징: STS반도체, 시그네틱스, 하나마이크론, 한미반도체, 세미텍
테스트하우스: 아이테스트, 아이텍반도체
2010년 기준 시스템반도체 시장규모는 1803억 달러(약 200조원)로 전체 반도체시장의 61%를 차지한다. IT시장 조사기관 가트너는 2012년 반도체 시장이 올해 대비 2% 성장한 3900억 달러로 전망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성장으로 관련 시스템반도체 시장도 커졌다. 스마트기기에서 CPU역할을 하는 모바일AP와 휴대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인 CIS, 스마트폰용 심(SIM)카드가 대표적이다.
삼성전자는 2012년 7조원 이상을 시스템반도체에 투자할 계획이다. SKT에 인수된 하이닉스의 투자계획도 주목된다. 정부의 정책 지원으로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한 팹리스, 패키징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수혜기업]
종합 반도체 업체(IDM): 삼성전자, 하이닉스
파운드리(생산 전문): 동부하이텍
장비 및 부품: 네패스, 리노공업, 고려반도체, 에스앤에스텍, 디아이, 에프에스티
팹리스(설계 전문): 실리콘웍스, 넥스트칩, 아이앤씨, 아나패스, 씨앤에스, 어보브반도체, 알파칩스
패키징: STS반도체, 시그네틱스, 하나마이크론, 한미반도체, 세미텍
테스트하우스: 아이테스트, 아이텍반도체
[시스템반도체 투자확대 수혜]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SK하이닉스 | 22,400원 | 0원 (0%) | 101,882 | 5,115 | 1,291 | 120.4 | 1.90 | 1.6% |
| 동부하이텍 | 7,370원 | 0원 (0%) | 5,343 | -400 | -931 | N/A | 1.12 | -31.9% |
| 네패스 | 18,550원 | ▲150원 (0.8%) | 2,158 | 221 | 153 | 26.4 | 2.57 | 9.7% |
| 리노공업 | 21,100원 | ▼100원 (-0.5%) | 172 | 67 | 55 | 8.6 | 1.65 | 19.3% |
| 고려반도체 | 5,900원 | ▲30원 (0.5%) | 175 | 52 | 44 | 5.8 | 2.15 | 37.2% |
| 에스앤에스텍 | 2,700원 | ▼60원 (-2.2%) | 501 | 74 | 50 | 8.5 | 0.67 | 7.9% |
| 디아이 | 1,430원 | ▲45원 (3.3%) | 453 | -12 | -31 | N/A | 0.43 | -3% |
| 에프에스티 | 2,360원 | ▲5원 (0.2%) | 183 | 23 | 22 | 4.9 | 0.81 | 16.3% |
| 실리콘웍스 | 24,550원 | ▼250원 (-1%) | 860 | 78 | 92 | 11.7 | 1.79 | 15.2% |
| 넥스트칩 | 6,780원 | ▲180원 (2.7%) | 458 | 50 | 63 | 23.9 | 1.38 | 9.7% |
| 씨앤에스 | 3,285원 | ▲185원 (6%) | 195 | -119 | -131 | N/A | 3.52 | -53.4% |
| 아나패스 | 10,800원 | ▲100원 (0.9%) | 235 | 38 | 36 | 6.3 | 1.45 | 23% |
| 아이앤씨 | 3,915원 | ▼40원 (-1%) | 64 | 11 | 16 | 9.4 | 0.60 | 6.4% |
| 어보브반도체 | 2,765원 | ▲125원 (4.7%) | 109 | 3 | 2 | 15.1 | 0.96 | 6.4% |
| 알파칩스 | 4,020원 | 0원 (0%) | 40 | -3 | -2 | 16.2 | 1.30 | 8% |
| STS반도체 | 5,720원 | ▼100원 (-1.7%) | 4,225 | 266 | 141 | 17.6 | 1.17 | 6.6% |
| 시그네틱스 | 3,280원 | ▲20원 (0.6%) | 623 | 22 | 24 | 21.7 | 1.79 | 8.3% |
| 하나마이크론 | 8,720원 | ▼470원 (-5.1%) | 2,936 | 164 | 99 | 18.3 | 1.17 | 6.4% |
| 한미반도체 | 5,160원 | ▲70원 (1.4%) | 246 | 32 | 23 | 8.4 | 0.79 | 9.4% |
| 세미텍 | 4,040원 | ▲45원 (1.1%) | 271 | 0 | -6 | N/A | 1.42 | -0.7% |
| 아이테스트 | 3,000원 | ▲35원 (1.2%) | 248 | 31 | 29 | 48.1 | 1.50 | 3.1% |
| 아이텍반도체 | 2,800원 | ▲5원 (0.2%) | 238 | 18 | 5 | 27.7 | 0.59 | 2.1%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1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네패스]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반도체용 화학 부품소재 전문업체 |
|---|---|
| 사업환경 | 비메모리에 대한 투자가 확대, 비메모리 반도체·FLASH메모리·SDRAM등의 성장세 지속 |
| 경기변동 | 경기변동에 매우 민감 |
| 실적변수 | 반도체 경기 호황시 수혜, 삼성전자/LG디스플레이/하이닉스/동부전자 등 실적 및 설비 증설시 수혜 |
| 신규사업 | 반도체용 절연물질 등 신제품 개발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네패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