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랭킹스탁] 미인주(고성장 저평가) 10선-화학업종
[아이투자 투자정보팀]
화학업종 성장주 중에서 PER(주가수익배수) 기준으로 가장 저평가된 종목은 KPX케미칼52,400원, ▼-500원, -0.95%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7일 종가 기준, 화학업종 성장주 중 대표적인 저평가 지표인 PER이 낮은 종목 10개를 선정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화학업종 성장주의 기준은 화학주 중 ROE(자기자본이익률)가 15~30% 이내이고, PBR(주가순자산배수)이 2배 미만인 종목들이다. 이런 기준으로 선정한 10개 종목은 PER이 5.1배~8.8배 사이에 해당됐다.
이 가운데 KPX케미칼52,400원, ▼-500원, -0.95%은 PER이 5.1배로 화학업종 성장주 중에서 가장 낮았다. ROE는 16.4%, PBR은 0.83배였다.
KPX케미칼52,400원, ▼-500원, -0.95%외 삼영화학, 미원에스씨138,800원, ▲4,500원, 3.35%, 케이피케미칼, 진양산업6,860원, ▲120원, 1.78%, 미원화학87,100원, 0원, 0%, 미원상사145,700원, ▲900원, 0.62%, OCI58,600원, ▲1,300원, 2.27%, 동성하이켐, 이엔에프테크놀로지43,250원, ▲150원, 0.35%가 10선에 포함됐다. 순이익은 IFRS 개별기준이다.
LG화학은 이날 5.6% 상승 순위에서 제외됐다. 대신 이엔에프테크놀로지가 편입됐다. 10선중 올해 1분기 실적이 반영된 종목은 미원에스씨, 미원화학, 미원상사다.
10선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가 최근 1주일간 순매수한 종목은 케이피케미칼을 포함 총 3종목이다. 지분증가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케이피케미칼로 31만6546주를 순매수해 지분을 0.32%p 늘렸다.
아래 리스트는 성장주 기준으로 사용한 ROE(15~30%)와 PBR(2배 미만) 요건을 만족하는 화학주를 골라낸 후, 이를 PER이 낮은 순으로 정렬한 것이다.
[랭킹스탁] 화학업종 성장주 중 저평가 종목(17일)

* 외인 순매수는 주식 수 기준
(자료: 아이투자)
화학업종 성장주 중에서 PER(주가수익배수) 기준으로 가장 저평가된 종목은 KPX케미칼52,400원, ▼-500원, -0.95%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7일 종가 기준, 화학업종 성장주 중 대표적인 저평가 지표인 PER이 낮은 종목 10개를 선정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화학업종 성장주의 기준은 화학주 중 ROE(자기자본이익률)가 15~30% 이내이고, PBR(주가순자산배수)이 2배 미만인 종목들이다. 이런 기준으로 선정한 10개 종목은 PER이 5.1배~8.8배 사이에 해당됐다.
이 가운데 KPX케미칼52,400원, ▼-500원, -0.95%은 PER이 5.1배로 화학업종 성장주 중에서 가장 낮았다. ROE는 16.4%, PBR은 0.83배였다.
KPX케미칼52,400원, ▼-500원, -0.95%외 삼영화학, 미원에스씨138,800원, ▲4,500원, 3.35%, 케이피케미칼, 진양산업6,860원, ▲120원, 1.78%, 미원화학87,100원, 0원, 0%, 미원상사145,700원, ▲900원, 0.62%, OCI58,600원, ▲1,300원, 2.27%, 동성하이켐, 이엔에프테크놀로지43,250원, ▲150원, 0.35%가 10선에 포함됐다. 순이익은 IFRS 개별기준이다.
LG화학은 이날 5.6% 상승 순위에서 제외됐다. 대신 이엔에프테크놀로지가 편입됐다. 10선중 올해 1분기 실적이 반영된 종목은 미원에스씨, 미원화학, 미원상사다.
10선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가 최근 1주일간 순매수한 종목은 케이피케미칼을 포함 총 3종목이다. 지분증가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케이피케미칼로 31만6546주를 순매수해 지분을 0.32%p 늘렸다.
아래 리스트는 성장주 기준으로 사용한 ROE(15~30%)와 PBR(2배 미만) 요건을 만족하는 화학주를 골라낸 후, 이를 PER이 낮은 순으로 정렬한 것이다.
[랭킹스탁] 화학업종 성장주 중 저평가 종목(17일)

* 외인 순매수는 주식 수 기준
(자료: 아이투자)
[KPX케미칼]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폴리우레탄 원료인 PPG가 주력 제품. 국내 시장 점유율 60%로 1위 |
|---|---|
| 사업환경 | PPG는 석유화합공업계 중간 제품으로 대규모 시설 필요. 감가상각 금액과 비중이 다른 산업보다 큼 |
| 경기변동 |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지만 계절적 영향은 미미 |
| 실적변수 | 중국법인 실적, 신수종 사업인 반도체 연마제와 LCD 세정제 부문의 성장세, 국제 유가 시세 |
| 신규사업 | 전자재료, 친환경 소재 개발 확대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KPX케미칼]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