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미니분석] 이엘케이, 나홀로 '어닝 쇼크'…회복 언제?
[아이투자 박동규] 스마트 기기 부품업체들이 개선된 실적을 내놓은 가운데, 적자를 기록한 이엘케이가 관심을 끈다. 이엘케이는 지난 15일 올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 넘게 줄고 순이익은 적자로 돌아섰다고 공시했다. 이후 주가도 7% 가량 하락, 1만원선을 내주며 현재 9280원을 기록 중이다. 이엘케이가 실적과 주가를 다시 회복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제이엘케이4,260원, ▲80원, 1.91%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쓰이는 터치패널 제조업체다. 터치패널이란 사용자가 스크린을 직접 눌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투명 스위치 패널을 의미한다. 이엘케이가 제조하는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터치' 방식으로 기기의 미미한 전류와 인체에서 나오는 정전기를 이용해 터치 지점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2009년 터치패널 중 정전용량 방식은 21%에 불과했으나 스마트 기기 대부분이 이 방식을 택하면서 2011년 54%까지 증가했다. 업계에선 2013년에는 70%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엘케이는 매출의 90% 가량을 터치패널로부터 벌어들이고 있다. 주요 공급처는 LG전자, 모토로라, 시냅틱스, 소니 등으로 이들의 모바일 제품 판매량이 늘면 이엘케이는 수혜를 입는 구조다.
◆ 고객사들의 부진으로 1분기 '어닝 쇼크'…재도약 할까?
스마트 기기 시장이 성장하면서 부품업체들은 호황을 맞았다. 그러나 이엘케이는 시장에서 예상했던 것보다 저조한 실적을 발표했다. 어닝 쇼크를 맞은 것이다. 이엘케이의 올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한 38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91% 줄어든 6억2300만원, 순이익은 -7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업계에서는 이엘케이의 실적 악화 원인을 공급처들의 판매 부진으로 꼽는다. 대표 공급처인 LG전자와 모토롤라가 스마트 기기 시장에서 맥을 못추면서 이엘케이의 납품도 덩달아 줄었다는 평이다. 또한 고객사 내 점유율까지 감소하면서 매출 하락폭은 더 컸다고 설명한다.
이에 이엘케이는 최근 고객사 다변화에 주력하고 있다. 북미 복합기 시장 선두 기업인 렉스마크, HP 등의 신규업체에도 터치 패널을 공급 중이거나 양산 준비중에 있다. 업계에선 신규 거래선 확보와 공급 여부에 따라 실적의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부품 내재화도 주목할 만하다. 이엘케이는 현재 터치패널 제조에는 글라스 1장에 ITO필름 2장을 붙여 터치센서를 만드는 필름전극타입(GFF) 방식이 이용한다. ITO필름은 터치패널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하는 중요한 원재료로 주로 일본에서 수입한다.
이엘케이는 ITO필름에 대한 원가부담을 해소하고, 두께는 얇으면서 화면이 선명한 스크린의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대체 필름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왔다. 업계에서는 이엘케이가 2분기 중에 대체 필름인 메시(mesh)필름을 상용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메시필름은 나노(㎚10억분의1m)급 구리선을 필름 위에 촘촘히 입히는 ‘메탈 메시’(Metal Mesh)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화면에 구리선이 남지 않고, 열 손가락 터치를 인식하는 등 ITO필름을 대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재무 안전성은 '불안'
이엘케이의 재무 안전성은 불안한 수준이다. 기업의 지급능력 지표인 유동비율은 138%로 양호한 편이지만, 타인자본 의존도 지표인 부채비율은 158%로 다소 높다.
이자 지급이 필요한 부채 규모를 나타내는 차입금 비중은 50%로 전체 자산의 절반을 차지한다. 이는 위험 수준인 40%를 넘어선다. 차입금이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에 있다는 것으로 경영 환경이 다소 불안하다는 것을 뜻한다.
◆ ROE 8.4%, PBR 1.3배…PBR 최저 수준
이엘케이의 연환산 (최근 12개월 합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4%로 나타났다. 2009년 최고치인 35%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하락세다. 주가순자산배수(PBR)도 1.3배로 상장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 중이다.
ROE와 PBR은 정의 관계를 갖는다. ROE가 오르면 기업의 수익가치가 상승한다는 의미로, 이에 따라 가격지표인 PBR도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ROE 개선에도 불구하고 PBR이 상승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좋은 기업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엘케이의 경우 PBR이 최저 수준이긴 하나, ROE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투자시 주의가 필요하다.

[터치스크린]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를 이용해 직접 입력이 가능한 화면이다. 압력을 가하면 터치한 위치가 인식되는 저항막 방식과 손가락 정전기를 이용한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한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에 적용된 정전용량 방식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터치스크린 업계는 더 가볍고 얇게 만드는 기술을 경쟁 중이다. 기술은 GFF(ITO필름 2장사용)→GF1(ITO필름 1장사용)→일체형(TOC, ITO필름 필요없음)으로 진화될 전망이다. ITO필름은 터치패널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하는 중요한 원재료다. 주로 일본에서 수입한다. 기술이 발전해 필름 숫자가 줄어들수록 두께는 얇아지고, 화면은 선명해지며 원가는 줄어든다.
기술진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강화유리, ITO필름, 터치센서칩 등 주요부품 내재화로 원가절감에 성공한 업체를 중심으로 실적이 차별화될 전망이다.
[주요 기업]
멜파스: 국내 유일 터치센서 칩 원천기술 보유
이엘케이: 강화유리 내재화. 터치스크린 최대 생산능력 보유업체로 모토로로, LG전자 등에 공급
일진디스플레이: ITO센서 공정 원가경쟁력 확보. 삼성 갤럽시탭 주요 공급사
에스맥: ITO센서 내재화 성공. 삼성전자 주요 공급사
유아이디: 국내 유일의 ITO 코팅(일체형) 전문 기업
태양기전: ITO센서, 강화유리 내재화. 2010년 하반기 삼성전자 터치패널 업체로 등록
디지텍시스템: ITO필름, 강화유리 등 핵심부품 내재화 추진
시노펙스: 삼성전자 터치모듈 공급사
모린스: 삼성전자에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 공급.
켐트로닉스: 디지털 가전용 터치 IC와 모듈 생산
터치스크린 업계는 더 가볍고 얇게 만드는 기술을 경쟁 중이다. 기술은 GFF(ITO필름 2장사용)→GF1(ITO필름 1장사용)→일체형(TOC, ITO필름 필요없음)으로 진화될 전망이다. ITO필름은 터치패널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하는 중요한 원재료다. 주로 일본에서 수입한다. 기술이 발전해 필름 숫자가 줄어들수록 두께는 얇아지고, 화면은 선명해지며 원가는 줄어든다.
기술진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강화유리, ITO필름, 터치센서칩 등 주요부품 내재화로 원가절감에 성공한 업체를 중심으로 실적이 차별화될 전망이다.
[주요 기업]
멜파스: 국내 유일 터치센서 칩 원천기술 보유
이엘케이: 강화유리 내재화. 터치스크린 최대 생산능력 보유업체로 모토로로, LG전자 등에 공급
일진디스플레이: ITO센서 공정 원가경쟁력 확보. 삼성 갤럽시탭 주요 공급사
에스맥: ITO센서 내재화 성공. 삼성전자 주요 공급사
유아이디: 국내 유일의 ITO 코팅(일체형) 전문 기업
태양기전: ITO센서, 강화유리 내재화. 2010년 하반기 삼성전자 터치패널 업체로 등록
디지텍시스템: ITO필름, 강화유리 등 핵심부품 내재화 추진
시노펙스: 삼성전자 터치모듈 공급사
모린스: 삼성전자에 저항막 방식 터치패널 공급.
켐트로닉스: 디지털 가전용 터치 IC와 모듈 생산
[터치스크린] 관련종목
|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 멜파스 | 18,000원 | ▲300원 (1.7%) | 2,562 | 146 | 149 | 33.6 | 2.24 | 10.6% |
| 이엘케이 | 9,280원 | ▲30원 (0.3%) | 2,342 | 189 | 128 | 15.3 | 1.26 | 12.8% |
| 일진디스플 | 11,900원 | ▲100원 (0.8%) | 3,244 | 363 | 307 | 8.6 | 3.60 | 34.2% |
| 에스맥 | 11,700원 | ▲150원 (1.3%) | 4,700 | 342 | 336 | 5.2 | 2.39 | 41.8% |
| 디지텍시스템 | 12,350원 | ▲250원 (2.1%) | 1,379 | 67 | 45 | 37.9 | 1.51 | 4% |
| 시노펙스 | 2,360원 | ▼80원 (-3.3%) | 3,678 | 103 | 104 | 13.6 | 1.28 | 10.8% |
| 태양기전 | 13,200원 | ▲300원 (2.3%) | 1,440 | 38 | 25 | 39.8 | 1.50 | 3.8% |
| 모린스 | 5,420원 | ▼10원 (-0.2%) | 194 | -200 | -229 | N/A | 1.92 | -57.5% |
| 켐트로닉스 | 10,600원 | ▲620원 (6.2%) | 2,260 | 162 | 75 | 11.2 | 1.47 | 15.6% |
| 유아이디 | 5,400원 | ▲270원 (5.3%) | 581 | 111 | 81 | 7.9 | 2.33 | 29.5% |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2011년 1월~12월 누적, 단위는 억원, K-IFRS 개별 재무제표 기준.
[이엘케이] 투자 체크 포인트
| 기업개요 | 휴대폰 키패드용 터치패널 제조 전문기업 |
|---|---|
| 사업환경 | 세계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시장 규모 확대에 힘입어 터치패널 시장 수요는 꾸준히 성장할 전망 |
| 경기변동 | 경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산업으로 전방산업(휴대폰기기 제조) 경기에 직접적 영향을 받음 |
| 실적변수 | 전방산업 경기 호황시 수혜, 환율 상승시 수혜 |
| 신규사업 | 해당사항 없음 |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이엘케이]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