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급등! 저PBR주] 금강철강 7%↑···저PBR 1위 내줘
[아이투자 이래학] 개장 전까지 코스닥 철강업종 저PBR 1위를 차지했던 금강철강이 상승세다.
8일 오후 2시 20분 현재 금강철강3,995원, ▲60원, 1.52%은 7%(200원) 오른 3040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도 29만주를 기록, 전일 거래량의 11배를 넘어섰다.
주가가 올라 금강철강의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6배에서 0.7배로 올랐다. 이에 따라 코스닥 철강업종 저PER 순위가 두 단계나 하락했다. 현재 1위는 경남스틸2,680원, ▲30원, 1.13%, 2위는 삼현철강4,555원, ▼-5원, -0.11%이 차지하고 있다.
금강철강은 지난 한 달간 저PBR 1위를 차지한 종목이다. 포스코의 냉연대리점으로 자동차, 가전, 건설에 쓰이는 냉연코일을 가공·판매한다.
금강철강은 전방산업인 완성차 판매 증가로 실적 호조를 거뒀다.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289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47% 늘어난 124억원, 순이익은 42% 증가한 95억4500만원이다.
한편 금강철강의 최대주주인 주광남 회장은 지난해 12월 27일(변동일 기준) 아들인 주성호 전무이사에게 회사 주식 100만주(3.53%P)를 증여했다.
[저PBR주 투자] 이슈와 수혜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주가순자산배수(PBR)는 시가총액을 기업의 자본총계(순자산)로 나눠 구한다. 장기적인 주가는 주당순자산에 수렴한다. 따라서 장기적인 PBR 범위는 기업의 적정주가 수준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PBR은 ROE에 따라 달라진다. 유지가능한 ROE가 높으면 적정 PBR도 높아진다.
[성장성에 따른 적정 PBR 범위]
저성장기업(ROE 8% 이하): 0.3 < PBR < 1
중간성장기업(ROE 8%~12%): 0.7 < PBR < 1.2
고성장기업(ROE 12%~25%): 1 < PBR < 3
PBR은 업황에 따라 실적 변동이 큰 '경기변동형 기업'의 가치평가에 유용하다. 해당기업의 업황이 최악으로 PBR이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에 거래될 때 좋은 매수기회가 된다.
ROE가 한 자리수로 수익성이 낮은 기업도 PBR을 활용해 가치평가할 수 있다. PBR이 0.3배에 가까워지면 매수하고 1배에 근접하면 매도하는 전략이 유용하다. ROE가 꾸준히 유지되는 기업도 PBR을 활용할 수 있다. 5년 평균 PBR보다 20%~30% 낮은 PBR에 매수해 20%~30% 높은 PBR에 매도하는 투자법이 효과적이다.
한국투자교육연구소에서 저PBR 100선을 뽑아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수익률을 테스트한 결과, 연평균 45.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은 13.2%다.
PBR은 ROE에 따라 달라진다. 유지가능한 ROE가 높으면 적정 PBR도 높아진다.
[성장성에 따른 적정 PBR 범위]
저성장기업(ROE 8% 이하): 0.3 < PBR < 1
중간성장기업(ROE 8%~12%): 0.7 < PBR < 1.2
고성장기업(ROE 12%~25%): 1 < PBR < 3
PBR은 업황에 따라 실적 변동이 큰 '경기변동형 기업'의 가치평가에 유용하다. 해당기업의 업황이 최악으로 PBR이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에 거래될 때 좋은 매수기회가 된다.
ROE가 한 자리수로 수익성이 낮은 기업도 PBR을 활용해 가치평가할 수 있다. PBR이 0.3배에 가까워지면 매수하고 1배에 근접하면 매도하는 전략이 유용하다. ROE가 꾸준히 유지되는 기업도 PBR을 활용할 수 있다. 5년 평균 PBR보다 20%~30% 낮은 PBR에 매수해 20%~30% 높은 PBR에 매도하는 투자법이 효과적이다.
한국투자교육연구소에서 저PBR 100선을 뽑아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수익률을 테스트한 결과, 연평균 45.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 상승률은 13.2%다.
[금강철강]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