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 나의 포트폴리오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pbr, per에 대한 잡담
소금창고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더불어 제가 요즘 고민하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과연 저 per, 저 pbr 종목이 저평가된 종목인가? 이들 종목은 과연 안전마진이 확보된 종목인가?
저 따위가 감히 위대한 투자자 그레이엄의 투자론에 반론을 제기하는 것에 부담감을 느끼지만
금융시장이 선진화되면서 pbr, per을 사용하는 계량적 투자는 현 시점에서 어느정도 한계에 이르렀다고 생각합니다. 현대사회를 이끌고 있는 중추적기업 소위 말하는 블루칩들은 공장부지나 자산가치가 아니라 무형자산, 브랜드, 기술력으로 승부하는 회사가 대부분이고 이들 가치를
per, pbr로 산정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많기 때문입니다.
워렌버핏이 기업 전체를 생각하며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그레이엄 투자론의 정수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즉 우리가 공식처럼 이용하는 [순유동자산 2/3 > 시가총액 => 무조건매수]는 그레이엄 투자론의 일부분 그것도 '가치'가 아닌 '가격'에 초점이 맞춰진 기술적 부분에 국한될 뿐일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현명한 투자자를 보면 이 부분이 많이 강조되어 있기는 합니다.
요즘에도 흔히 말하는 IMF때 삼전이 5만원, 신세계가 2만원, 국민은행이 5천원이였다. 내가 그때 주식했으면 샀을텐데...라는 말 잊혀질 만하면 튀어나옵니다. 그러나 과연 pbr, per에 기반한 계량적 투자자들이 당시 이 종목을 살 수 있었을까요?
당시 위 세종목의 per은 40,60,무한대(적자)였습니다. IMF라는 외부요인으로 당기순이익이 급락했기 때문입니다. 아마 계량적 투자자들은 per이 50이나 된다, 적자기업이라는 이유로 매수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 때 매수한 외국인들은 당기순이익이 아니라 기업의 "펀더멘탈"을 주목했고 장래에 당기순이익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에 per이 50이 넘는 종목, 적자기업을 과감히 매수하고 오랜시간 홀딩할 수 있었습니다.
과연 언제가 매수적기인가?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는 경쟁력있는 기업이 일시적으로 당기순이익이 급락한 경우처럼, PER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가 매수적기 일수도 있습니다. 외국인들은 삼전의 per이 50에 매수하여 15로 떨어지자 적극적으로 이익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per이 낮다는 것은 역으로 가장 고평가되어 있는 시점일 수도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증가하
지만 주가는 그대로 또는 하향곡선을 그리는 경우는 시장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일은 아닙니다.
per이 낮아진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당기순이익이 최고조에 올랐을 때입니다. 이 시점에서는 per이 더 이상 낮아지기 힘들겠죠.. 어쩌면 우리 생각과는 달리 이 시점에 "꼭지"일수도 있습니다.
소금창고님이 말씀하신 "10루타"는 이처럼 시장의 오해와 편견 + 기업의 펀더멘탈개선 + 외부환경의 일정도움이 어우러질 때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런 저런 생각이 꼬리를 물어서 몇자 적어봤습니다.
더불어 제가 요즘 고민하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과연 저 per, 저 pbr 종목이 저평가된 종목인가? 이들 종목은 과연 안전마진이 확보된 종목인가?
저 따위가 감히 위대한 투자자 그레이엄의 투자론에 반론을 제기하는 것에 부담감을 느끼지만
금융시장이 선진화되면서 pbr, per을 사용하는 계량적 투자는 현 시점에서 어느정도 한계에 이르렀다고 생각합니다. 현대사회를 이끌고 있는 중추적기업 소위 말하는 블루칩들은 공장부지나 자산가치가 아니라 무형자산, 브랜드, 기술력으로 승부하는 회사가 대부분이고 이들 가치를
per, pbr로 산정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많기 때문입니다.
워렌버핏이 기업 전체를 생각하며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그레이엄 투자론의 정수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즉 우리가 공식처럼 이용하는 [순유동자산 2/3 > 시가총액 => 무조건매수]는 그레이엄 투자론의 일부분 그것도 '가치'가 아닌 '가격'에 초점이 맞춰진 기술적 부분에 국한될 뿐일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현명한 투자자를 보면 이 부분이 많이 강조되어 있기는 합니다.
요즘에도 흔히 말하는 IMF때 삼전이 5만원, 신세계가 2만원, 국민은행이 5천원이였다. 내가 그때 주식했으면 샀을텐데...라는 말 잊혀질 만하면 튀어나옵니다. 그러나 과연 pbr, per에 기반한 계량적 투자자들이 당시 이 종목을 살 수 있었을까요?
당시 위 세종목의 per은 40,60,무한대(적자)였습니다. IMF라는 외부요인으로 당기순이익이 급락했기 때문입니다. 아마 계량적 투자자들은 per이 50이나 된다, 적자기업이라는 이유로 매수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 때 매수한 외국인들은 당기순이익이 아니라 기업의 "펀더멘탈"을 주목했고 장래에 당기순이익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에 per이 50이 넘는 종목, 적자기업을 과감히 매수하고 오랜시간 홀딩할 수 있었습니다.
과연 언제가 매수적기인가?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는 경쟁력있는 기업이 일시적으로 당기순이익이 급락한 경우처럼, PER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가 매수적기 일수도 있습니다. 외국인들은 삼전의 per이 50에 매수하여 15로 떨어지자 적극적으로 이익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per이 낮다는 것은 역으로 가장 고평가되어 있는 시점일 수도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증가하
지만 주가는 그대로 또는 하향곡선을 그리는 경우는 시장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일은 아닙니다.
per이 낮아진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당기순이익이 최고조에 올랐을 때입니다. 이 시점에서는 per이 더 이상 낮아지기 힘들겠죠.. 어쩌면 우리 생각과는 달리 이 시점에 "꼭지"일수도 있습니다.
소금창고님이 말씀하신 "10루타"는 이처럼 시장의 오해와 편견 + 기업의 펀더멘탈개선 + 외부환경의 일정도움이 어우러질 때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런 저런 생각이 꼬리를 물어서 몇자 적어봤습니다.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