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V차트] 태광, 美 LNG 수주 증가로 성장 기대
태광21,950원, ▲550원, 2.57%의 올해 실적이 미국 LNG 터미널 프로젝트 확대에 힘입어 긍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증권가 전망치에 따르면 올해 태광은 전년 대비 13.1% 증가한 308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영업이익도 32.8% 증가한 572억 원(영업이익률 18.6%)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IBK투자증권 조정현 연구원은 미국 LNG 터미널 신규 인허가 재개가 태광의 밸류에이션 재평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연구원은 "현재 태광의 미국 시장 비중은 작년 3분기 누계 기준 27.1%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인 Bechtel이 시공을 맡은 루이지애나 LNG 프로젝트를 계기로 추가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수주액 증가도 긍정적이다. 메리츠증권 배기연 연구원은 올해 태광의 수주액이 3132억 원(전년 동기 대비 +16.3%), 내년 3286억 원(+4.9%)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며, 미국 LNG 수출 프로젝트의 증설이 피팅 산업 전체 수주 증가를 견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태광은 1982년 설립된 산업용 배관자재 전문 기업으로, 강관 제조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주요 제품은 석유화학, 원자력, 조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배관자재와 이음쇠류이며, 주요 고객층은 에너지 및 중공업 분야의 기업들로 구성된다.
■ V차트 분석
- '24년 3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 3분기 연환산 매출액은 2720억원, 영업이익은 377억원으로 '23년 3분기 이후 감소하는 추세다.
2. 재고자산 : 3분기 말 재고자산은 1180억원, 매출 대비 비중은 43%다. 재고자산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3. 차입금 : 3분기 말 기준 차입금(이자 발생 부채)은 29억 원으로, 총자산 대비 0.4%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채무 부담 없는 무차입 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4. 매출액 잉여현금흐름 비율 : 3분기 연환산 매출액 잉여현금흐름 비율은 15%다. 영업활동에 필요한 곳에 지출을 모두 하고도 매출의 15%를 현금으로 남긴다는 의미로 높은 현금성을 보여주고 있다.
5. 주가순자산배수(PBR) : 4일 종가 기분 PBR은 1.13배로 역대 PBR 밴드 상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IBK투자증권 조정현 연구원은 미국 LNG 터미널 신규 인허가 재개가 태광의 밸류에이션 재평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연구원은 "현재 태광의 미국 시장 비중은 작년 3분기 누계 기준 27.1%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인 Bechtel이 시공을 맡은 루이지애나 LNG 프로젝트를 계기로 추가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수주액 증가도 긍정적이다. 메리츠증권 배기연 연구원은 올해 태광의 수주액이 3132억 원(전년 동기 대비 +16.3%), 내년 3286억 원(+4.9%)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며, 미국 LNG 수출 프로젝트의 증설이 피팅 산업 전체 수주 증가를 견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태광은 1982년 설립된 산업용 배관자재 전문 기업으로, 강관 제조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주요 제품은 석유화학, 원자력, 조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배관자재와 이음쇠류이며, 주요 고객층은 에너지 및 중공업 분야의 기업들로 구성된다.
■ V차트 분석
- '24년 3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 3분기 연환산 매출액은 2720억원, 영업이익은 377억원으로 '23년 3분기 이후 감소하는 추세다.

2. 재고자산 : 3분기 말 재고자산은 1180억원, 매출 대비 비중은 43%다. 재고자산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3. 차입금 : 3분기 말 기준 차입금(이자 발생 부채)은 29억 원으로, 총자산 대비 0.4%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채무 부담 없는 무차입 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4. 매출액 잉여현금흐름 비율 : 3분기 연환산 매출액 잉여현금흐름 비율은 15%다. 영업활동에 필요한 곳에 지출을 모두 하고도 매출의 15%를 현금으로 남긴다는 의미로 높은 현금성을 보여주고 있다.

5. 주가순자산배수(PBR) : 4일 종가 기분 PBR은 1.13배로 역대 PBR 밴드 상단에 위치한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