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 나의 포트폴리오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펀드(아내) 2025-01-31

2025-01-31 (아이투자에 공개 - 펀드(아내))

 

시장 지수 및 투자 실적 비교

펀드(아내)

지수:

2024-12-31

2025-01-31

 변동 (연간)

연 수익률

지수 대비

Kospi:

2,399.49

2,517.37

117.88

4.9%

1.2%

-3.7%

Kosdaq:

678.19

728.29

50.10

7.4%

-6.1%

 

1. 2025년 1월 평가

1-1. 숙향에게 행복했던 2024년을 보내고 맞은 2025년은 첫 달부터 가혹합니다.

- 펀드(아내)의 1월 평가수익률은 + 1.2% + 4.9% 상승한 시장에 3.7% 뒤졌습니다.

- 2025년은 우리 시장은 많이 오르겠지만 숙향은 시장 수익률에 미치지 못할 거라 예상했고

- 그래서 나름 각오도 했지만 그렇다고 피곤한 마음이 덜어지지는 않겠지요^^

 

그래서 최근 15년 1월은 어땠는지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연도

1월 실적

당해 연도 실적

Kospi

숙향

대비

Kospi

숙향

대비

2010

-4.8%

-1.5%

3.3%

21.9%

26.7%

4.8%

2011

0.9%

-1.8%

-2.7%

-11.0%

-0.3%

10.7%

2012

7.1%

5.7%

-1.4%

9.4%

17.5%

8.1%

2013

-1.8%

3.2%

5.0%

0.7%

25.6%

24.9%

2014

-3.5%

-2.5%

1.0%

-4.8%

32.6%

37.4%

2015

1.8%

2.0%

0.2%

2.4%

25.9%

23.5%

2016

-2.5%

-3.4%

-0.9%

3.3%

5.7%

2.4%

2017

2.0%

0.5%

-1.5%

21.8%

9.6%

-12.2%

2018

4.0%

12.1%

8.1%

-17.3%

10.7%

28.0%

2019

8.0%

5.2%

-2.8%

7.7%

14.3%

6.6%

2020

-3.6%

-2.6%

1.0%

30.8%

15.1%

-15.7%

2021

3.6%

-1.8%

-5.4%

3.6%

21.4%

17.8%

2022

-10.6%

-2.9%

7.7%

-24.9%

-7.6%

17.3%

2023

8.4%

3.3%

-5.1%

18.7%

16.6%

-2.1%

2024

-6.0%

2.4%

8.4%

-9.6%

25.3%

34.9%

평균(*)

0.2%

1.2%

1.0%

3.5%

15.9%

12.4%

2025

4.9%

1.0%

-3.9%

 

 

 

* 최근 15년(2010~2024)을 단순 평균해서 살펴봅니다.

 

* 1월은 시장이 0.2% 상승했고 숙향의 투자자산은 1.2% 늘어남으로써 시장을 1.0% 이겼습니다.

- 1월만을 보면 숙향이 시장에 뒤진 해 7번, 이긴 해는 8번으로 차이가 없지만

- 연간 실적으로 따지면 시장에 뒤진 해는 3번, 이긴 해는 12번으로 압도적입니다.

- 1월에 시장에 가장 많이 뒤진 해는 2021년 5.4%였는데, 연간으로는 오히려 17.8% 이겼습니다.

* 다만 시장에 뒤진 3개연도의 1월 실적으로 보면 두 번 졌고 한 번은 이겼습니다.

- 66.7% 확률로 올해는 시장에 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1-2. 외국인은 2024년 8월 이후 6개월 연속해서 매도하고 있습니다.

- 설 연휴 전까지 순매수 중이었는데, 월말 하루에만 1.2조원을 순매도함으로써 매도금액이 더 많았는데요.

- 설 연휴 때 ‘딥시크’라는 중국발 AI 등장으로 미국의 NVIDIA에 큰 악재로 작용했고 우리 증시에서는 ‘하이닉스’를 중심으로 반도체 관련주에 외국인 매물이 쏟아졌습니다.

- 중소형 가치주에 집중된 숙향의 포트폴리오는 오히려 하락폭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Kospi시장 매매 주체 2025-01-01 ~ 01-31 (단위: 조원)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년1월

외국인

-24.9

-22.5

-9.3

6.0

2.3

-0.9

국내기관

-22.9

-36.3

-11.8

-1.4

1.5

-0.4

개인

45.4

62.2

20.8

-5.6

-6.3

3.0

 

1-3. 시장이 상승할 때면 하게 되는 넋두리

-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할 때고 이들의 매매 대상이 대형주이므로 당연히 대형주들의 주가가 상승하고

- 반대로 그들의 관심 밖인 중소형주는 소외될 수밖에 없습니다.

- 중소형주는 일부 남아 있는 가치주 펀드 말고는 개인 투자자의 영역인데

- 그들 대부분은 한국을 떠났고

- 남은 자들은 돈은 없고 주식만 들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 남은 자들은 시장이 좋지 않을 때는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상대적으로 덜 빠지므로 버틸 수 있었는데

- 시장이 오르는 분위기가 만들어지면 마음이 급해집니다.

- 숙향처럼 단순한 사람은 (마음은 엄청 힘듦에도)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들고 버틸 테지만

- 적잖은 보유자들은 탈출을 꿈꾸게 되고, 탈출할 여건은 좀처럼 만들어지질 않습니다.

- 지금이라도 매도하고 금방 먹여줄 것 같은 뭔가를 사고 싶은데 말입니다.

 

- 중소형 가치주는 지금처럼 거래량이 빈곤할 때가 매수할 시기고

- 주가가 오르면서 거래량이 크게 불어날 때는 매도 시기가 됩니다.

- 시장이 알려주는 매수/매도 시점이 그렇습니다.

 

- 지금은 매수할 때지 매도할 때가 아닌데, 언제나 그랬듯 대부분의 시장 참가자들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 지금은 그들이 영리해 보일지 모르지만 우직하게 자리를 지키는 이들이 결국 승리자가 됩니다.

- AI 등으로 대표되는 바뀐 생태계에서 뭔 헛소리를 하고 있나 싶긴 한데, 숙향이 아는 게 그뿐이라 달리 방법을 찾지 못하고 하던 대로 하고 있습니다. 늘 그랬듯이 투덜대면서 말이죠^^

 

 

2. 보유주식 현황 (2025-01-31)

     

     

보유 주식 평가

보유 비중

평가손익률

처분 손익

수 량

매수단가

매 수 금 액

현재가

평가 액

농심홀딩스

200

70,110

14,022,090

63,700

12,740,000

3.4%

-9.1%

 

대덕

2,000

6,529

13,057,060

6,810

13,620,000

3.7%

4.3%

 

메가스터디

3,000

11,939

35,818,320

10,670

32,010,000

8.6%

-10.6%

 

모토닉

1,500

8,102

12,152,580

8,430

12,645,000

3.4%

4.1%

 

미창석유

200

49,499

9,899,832

89,500

17,900,000

4.8%

80.8%

 

부국증권()

1,000

21,950

21,950,000

22,150

22,150,000

5.9%

0.9%

 

서원인텍

2,000

5,633

11,265,930

5,370

10,740,000

2.9%

-4.7%

 

신영증권

740

62,002

45,881,220

75,900

56,166,000

15.1%

22.4%

 

이지홀딩스

3,442

2,625

9,035,880

2,680

9,224,560

2.5%

2.1%

 

진양홀딩스

10,000

3,616

36,156,868

3,125

31,250,000

8.4%

-13.6%

 

코리안리

3,240

4,426

14,341,258

8,240

26,697,600

7.2%

86.2%

 

코텍

2,200

8,557

18,826,260

8,040

17,688,000

4.7%

-6.0%

 

한국자산신탁

10,000

3,448

34,478,535

2,780

27,800,000

7.5%

-19.4%

 

GS()

100

13,193

1,319,310

36,600

3,660,000

1.0%

177.4%

 

HS애드

7,000

6,680

46,757,770

6,410

44,870,000

12.0%

-4.0%

 

KPX홀딩스

300

63,500

19,050,000

52,700

15,810,000

4.2%

-17.0%

 

SNT홀딩스

700

8,327

5,829,060

25,800

18,060,000

4.8%

209.8%

 

현금 (R/P)

 

 

4,824

 

4,824

0.0%

0.0%

3,047

 

 

349,846,797

 

373,035,984

100.0%

6.6%

3,047

 기초:

368,457,487

평가손익률:

1.24%

주식:

100.0%

평가손익금:

4,578,497

현금:

0.0%

종 목

수 량

단 가

 

수수료

금 액

정 산

잔 액

 

예탁금 이자

3,047

1

3,047

0

3,047

3,047

4,824

 이자

 

매매

1월 중 매매는 없었습니다.

 

3. 1월에 있었던 일

- 보유하고 있는 주식 중에서 2개 기업이 실적을 공시했습니다.

- 또한 공개하지 않는 포트폴리오에 소량 보유하고 ‘인포바인’에서는 재미있는 사건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HS애드

- 1/15, 전기 대비 당기순이익이 40%나 늘어난 실적을 공시했음에도 주가는 잠잠했습니다.

- 공시한 실적 기준으로 PER: 4.58 / PBR: 0.51 / PDR: 7.8%(전기 대비 50원 늘어날 것으로 추정한 500원 기준)

 

SNT홀딩스

- 1/24, 자회사들의 훌륭한 실적과 배당 증액 공시가 이어졌습니다.

- 전기 대비 당기순이익이 50% 증가

- 배당금은 전기 500원 -> 1,300원으로 / 중간배당 300원을 더하면 800원 -> 1,600

- 공시한 실적 기준으로 PER: 2.87 / PBR: 0.30 / PDR: 6.2% - 추정한 지분법이익으로 계상

- 주가는 공시 당일 + 7.0%, 이튿날 + 6.0% 상승했는데, 크게 늘린 배당금이 주가에 영향을 준 듯!

 

인포바인

2024-12-19, 주주명부 열람 가처분 신청이 허용되었다는 공시가 있었습니다. ? 주가: 19,960

- 다음날 주가는 19,960원 -> 21,250원으로 1,290원(6.5%) 상승했고 이후 잠잠했는데

- 올해 들어 1/16부터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주가는 확연히 강세(21,350 -> 23,300)를 보였고

- 이후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면서 28,600원까지 상승

 

2025-01-23, 장 마감 후 자사주 37만주(발행주식의 11.6%)를 매수해서 소각한다는 공시가 있었습니다.

- 기 보유 자사주 32.9%(1,050,332)를 차감하고 계산한 시가총액은 666억 보유 현금은 950억원

- 추정 실적 기준으로 PER: 7.24 / PBR: 0.59 / PDR: 2.9%

* 시가총액보다 현금이 더 많은 기업들이 주목 받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은 있지만

- 동사는 대주주 지분율이 17.4%에 불과했다는 점에서 일어날 일이 일어난 케이스!

 

대통령 윤석열 구속 수감 & 기소

- 당연한 일을, 계속 반발하는 통에

- 그의 지지자들이 법원에 침입해서 기물을 파손하는 난동까지 벌렸는데

- 4년 전 미국에서 트럼프가 선거 결과에 불복하면서 벌어진 사건과 유사한 흐름

- 당분간 정치 상황이 경제, 증시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겠지만 결국 ‘이 또한 지나가리라

 

 

4. 마무리

그레이엄의 방식과는 꽤 다르지만 그의 가르침에 벗어나지 않는 전통적인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숙향에게는 힘든 1월이었습니다.

- 투덜거리면서도 지금의 투자방식을 유지하는 이유는 게으른 숙향에게 이 방식이 가장 낫기 때문입니다.

- 그동안의 실적으로 증명되었고요.

- 더구나 지금처럼 싼 주식이 널려있는 우리 시장에서는 투자방법을 바꿔야 할 어떤 근거도 없습니다.

 

숙향의 포트폴리오는 가치에 비해 싼 것은 당연하고 배당수익률이 상당히 높은 주식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주가가 지금처럼 낮은 상태를 지속하면 3월부터 입금될 배당금으로 싼 가격에 매수하면 됩니다.

- 이렇게 늘어난 주식은 내년에 더 많은 배당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 내년에도 주가가 낮은 상태로 놓여있다면 올해 했던 행위를 반복합니다.

- 미래 언젠가 시장이 가치에 어울리는 주가를 만들어주면 그때 자본차익을 챙기겠지요.

- 시장, Mr. Market은 저를 결코 바꾸거나 지금의 투자 방법을 포기하게 만들 수 없습니다.

 

시장에 대해서는 관망하는 일이 일상이라 목표량을 월 4권으로 줄인 독서량은 오히려 10권이나 읽었습니다.

추천사도 썼던 [투자도 인생도 복리처럼]을 1년 반 만에 다시 읽었는데, 두툼하지만 알찬 내용은 투자자에게는 보물창고와 같은 책인데요. 버핏이 양적 투자와 질적 투자에 대해 한 말씀을 옮기면서 1월을 마감합니다.

 

투자 세계는 숙향이 추구하는, 심층 가치주 deep value 진영적절한 가격의 성장주 growth at a reasonable price 진영이 확연히 나뉘는 것처럼 보인다.

- 훌륭한 기업을 적절한 가격에 매수해서 이를 장기간 보유하는 일을 잘하는 투자자들도 많은 반면

- 평범하거나 그저 그런 기업을 싼 가격에 매수해서 주가가 적정가치로 상승하면 이를 팔고 다시 이 과정을 되풀이하는 것을 선호하는 투자자들도 있다.

- 이들이 사용하는 투자 방법은 다르지만 목적은 정확히 일치한다.

- 실제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주식을 사거나 리스크가 아주 작은 주식을 찾으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버핏은 양적 결정과 질적 결정으로 구분해서 얘기합니다.

- 1967년 투자조합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 얘기라 지금 생각은 질적 결정으로 완전 기울었죠!

 

흥미롭게도 나는 내 자신이 기본적으로 양적 학파에 속한다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 수년에 걸쳐 알게 된 정말 놀라운 점은, 내가 ‘개연성 높은 통찰’을 갖고 있던 질적인 측면으로 크게 기울어졌다는 것입니다.

- 실제로 돈을 벌어주는 것은 질적인 것에 대한 통찰입니다.

- 그러나 통찰이 보통 그런 것처럼 이런 일이 자주 있는 일은 아닙니다.

- 양적인 측면에서는 어떤 통찰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 그냥 숫자에 치이게 됩니다.

- ‘정말 큰돈’은 질적으로 옳은 결정을 한 투자자가 버는 경향이 있습니다.

- 그러나 ‘보다 확실한 돈’은 명확한 양적 결정으로 버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투자의 전설 앤서니 볼턴 개정판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댓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스탁 투나잇
  • 투자의 전설 앤서니 볼턴 개정판 - 부크온
  • 예측투자 - 부크온

제휴 및 서비스 제공사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
  • 키움증권
  • 한국투자증권
  • 유진투자증권
  • 하이투자증권
  • 교보증권
  • DB금융투자
  • 신한금융투자
  • 유안타증권
  • 이베스트증권
  • NH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VIP자산운용
  • 에프앤가이드
  • 헥토이노베이션
  • IRKUDOS
  • naver
  • LG유플러스
  • KT
  • SK증권
  • 이데일리
  •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