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읽을거리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i레터] 권교수의 가치투자 이야기와 대형주 20선
‘권교수의 가치투자 이야기’는 가치투자에 관한 헷갈리기 쉬운 개념과 오해를 문답 형식으로 알기 쉽게 풀어낸 책입니다. 저자 권용현 교수는 카이스트에서 기업재무를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전문가로 이 책에서 투자 성과를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한 지식과 그렇지 않은 지식을 구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투자 방법을 제시하고 국내 증시 상황에 맞춰 현실적으로 설명합니다. 책의 문답 내용을 일부 정리해 봤습니다.
1. 가치투자자와 그렇지 않은 투자자의 구분 방법은?
▶ 기업의 가격과 구분되는 기업의 가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믿고 기업의 가격이 기업의 가치로 끌려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믿는 사람들을 기준으로 구분
2. 가치투자는 시드머니가 어느 정도 모였을 때 하는 것이고, 금액이 작을 경우 ‘단타’를 통해 시드머니를 불려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의견은?
▶ 가치투자는 시드머니의 크기와는 상관없다. 시드머니가 작을수록 오히려 ‘안전마진’에 대해서는 더욱 엄격해야 한다. 이는 장을 보러 나갔는데 지갑에 돈이 없다면 오히려 고를 때 더더욱 신중해야 함과 같다.
3. 가치투자는 결국 우량주를 사서 오래 보유하라는 의미인가?
▶ 기업을 신중하게 고르고 그다음이 오래 보유하는 것이 순서다. 적어도 뭘 하는 기업인지는 정확히 알아야 신뢰를 갖고 주가가 위아래로 움직이더라도 기다려줄 수 있다.
4. 장기투자자와 가치투자자와의 관계에 대한 설명
▶ 가치투자자라고 장기투자를 좋아할 필요는 없다. 기업의 가치와 가격이 가까워지는 데 대체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투자 기간이 길어지는 것이다. 즉, 가치투자자가 장기투자를 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투자를 무서워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가장 적절한 표현이다.
5. 예상은 지나치게 멀리 예측하고 투자는 지나치게 짧게 하는 경향성에 대해
▶ 가끔 인터넷 게시판을 보면 위화감을 느낄 때가 있다. 상당히 주관적인 의견이나 광범위한 경제적 변수나 매크로 변수에 기반해서 투자를 진행하는 데 비해 투자 기간은 매우 짧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주로 인구노령화 등 굉장히 장기적인 시야를 갖고 투자를 하는 것같이 말하면서 실제 투자 기간은 1주일에서 1개월을 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간은 사실상 ‘없는 변수’나 마찬가지다.
6. 가치와 가격을 비교해서 설명
▶ 편의점에서 파는 과자의 경우 ‘가격’은 편의점에서 붙여놓은 가격표에 이미 씌어있다. ‘가치’는 내가 생각하기에 그 과자에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이다.
7. 안전마진이 너무 크면 안 좋다는 것인가?
▶ 안전마진이 너무 크다는 것은 오히려 경계해야 할 요인일 수도 있다. 특히 시장이 전반적으로 엄청나게 하락한 상황이 아니라면 안전마진이 대단히 크게 나타난다는 것은 매우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봐야 한다. 만약 그 주식이 그 이하의 가격에 지금 팔리고 있다면 본질가치를 잘못 측정했을 확률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8. 주가가 10년 정도면 어느 정도 올라야 한다는 기준이 있는가?
▶ 대체로 10년 전에 비해서 2배 정도 올랐다면 다소 성장이 둔화된 기업으로 본다. 그러나 3배 정도 올랐다면 아직은 성장할 여지가 남아 있다. 오르지 않고 떨어졌다면 반드시 원인을 확인해야 한다. 실제로 기업가치가 떨어졌을 가능성이다. 만약 장기간에 걸쳐 줄어들었다고 하면 매우 조심해야 한다.
9. 손절매를 하지 않는 이유는?
▶ 손해를 봤다는 것이 팔아야 할 이유는 될 수 없다. 투자에서 손실은 항상 있을 수 있고 실제로 손실을 보고 파는 경우도 많다. 중요한 것은 파는 이유가 이미 손실을 보았기 때문이면 안 된다.
저자는 투자에 익숙하지 않거나 잘 모르는 초보 투자자들에게 우량주 투자를 권하고 있습니다. 우량주는 해당 기업이 최소한 어떤 일을 하는지 파악하기 쉽고 접근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이를 고려해서 우리가 일상에서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종목들로 구성된 대형주 20선을 정리했습니다.
※ 리스트 선정 방법
▶ 아이투자 워치리스트에서 주제를 '대형주' 선택
▶ 기본 필터: 순이익 필터 자동설정
▶ 항목별 필터: 시가총액 5조 이상 선택
▶ 정렬 방법: 밸류스코어
▶ 기준: 2024년 3분기 실적, 22일 종가 기준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 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1. 가치투자자와 그렇지 않은 투자자의 구분 방법은?
▶ 기업의 가격과 구분되는 기업의 가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믿고 기업의 가격이 기업의 가치로 끌려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믿는 사람들을 기준으로 구분
2. 가치투자는 시드머니가 어느 정도 모였을 때 하는 것이고, 금액이 작을 경우 ‘단타’를 통해 시드머니를 불려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의견은?
▶ 가치투자는 시드머니의 크기와는 상관없다. 시드머니가 작을수록 오히려 ‘안전마진’에 대해서는 더욱 엄격해야 한다. 이는 장을 보러 나갔는데 지갑에 돈이 없다면 오히려 고를 때 더더욱 신중해야 함과 같다.
3. 가치투자는 결국 우량주를 사서 오래 보유하라는 의미인가?
▶ 기업을 신중하게 고르고 그다음이 오래 보유하는 것이 순서다. 적어도 뭘 하는 기업인지는 정확히 알아야 신뢰를 갖고 주가가 위아래로 움직이더라도 기다려줄 수 있다.
4. 장기투자자와 가치투자자와의 관계에 대한 설명
▶ 가치투자자라고 장기투자를 좋아할 필요는 없다. 기업의 가치와 가격이 가까워지는 데 대체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투자 기간이 길어지는 것이다. 즉, 가치투자자가 장기투자를 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투자를 무서워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가장 적절한 표현이다.
5. 예상은 지나치게 멀리 예측하고 투자는 지나치게 짧게 하는 경향성에 대해
▶ 가끔 인터넷 게시판을 보면 위화감을 느낄 때가 있다. 상당히 주관적인 의견이나 광범위한 경제적 변수나 매크로 변수에 기반해서 투자를 진행하는 데 비해 투자 기간은 매우 짧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주로 인구노령화 등 굉장히 장기적인 시야를 갖고 투자를 하는 것같이 말하면서 실제 투자 기간은 1주일에서 1개월을 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기간은 사실상 ‘없는 변수’나 마찬가지다.
6. 가치와 가격을 비교해서 설명
▶ 편의점에서 파는 과자의 경우 ‘가격’은 편의점에서 붙여놓은 가격표에 이미 씌어있다. ‘가치’는 내가 생각하기에 그 과자에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이다.
7. 안전마진이 너무 크면 안 좋다는 것인가?
▶ 안전마진이 너무 크다는 것은 오히려 경계해야 할 요인일 수도 있다. 특히 시장이 전반적으로 엄청나게 하락한 상황이 아니라면 안전마진이 대단히 크게 나타난다는 것은 매우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봐야 한다. 만약 그 주식이 그 이하의 가격에 지금 팔리고 있다면 본질가치를 잘못 측정했을 확률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8. 주가가 10년 정도면 어느 정도 올라야 한다는 기준이 있는가?
▶ 대체로 10년 전에 비해서 2배 정도 올랐다면 다소 성장이 둔화된 기업으로 본다. 그러나 3배 정도 올랐다면 아직은 성장할 여지가 남아 있다. 오르지 않고 떨어졌다면 반드시 원인을 확인해야 한다. 실제로 기업가치가 떨어졌을 가능성이다. 만약 장기간에 걸쳐 줄어들었다고 하면 매우 조심해야 한다.
9. 손절매를 하지 않는 이유는?
▶ 손해를 봤다는 것이 팔아야 할 이유는 될 수 없다. 투자에서 손실은 항상 있을 수 있고 실제로 손실을 보고 파는 경우도 많다. 중요한 것은 파는 이유가 이미 손실을 보았기 때문이면 안 된다.
저자는 투자에 익숙하지 않거나 잘 모르는 초보 투자자들에게 우량주 투자를 권하고 있습니다. 우량주는 해당 기업이 최소한 어떤 일을 하는지 파악하기 쉽고 접근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이를 고려해서 우리가 일상에서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종목들로 구성된 대형주 20선을 정리했습니다.
※ 리스트 선정 방법
▶ 아이투자 워치리스트에서 주제를 '대형주' 선택
▶ 기본 필터: 순이익 필터 자동설정
▶ 항목별 필터: 시가총액 5조 이상 선택
▶ 정렬 방법: 밸류스코어
▶ 기준: 2024년 3분기 실적, 22일 종가 기준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 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