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투자 뉴스 > 전체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즉시분석] 피제이메탈, 배당금 '인상'
배당성향을 꾸준히 높여온 피제이메탈3,105원, ▼-145원, -4.46%이 올해 배당금을 전년 대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이 회사는 올해 결산 배당으로 주당 90원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75원과 비교해 15원 오른 것이다. 현재 주가 기준 예상 배당수익률은 4.8%다. 현재 주요 은행의 1년 정기예금금리가 2% 내외로 낮아진 점을 고려하면 시중 금리에 비해 매력이 있는 편이다.
피제이메탈은 배당성향(총배당금/순이익)을 꾸준히 높여 왔다. 상장 첫해인 2010년 15%였던 배당성향은 지난해 67%로 높아졌다.
실적이 최근 개선세를 나타낸 점도 눈길을 끈다. 피제이메탈의 지난 3분기 매출액은 약 2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줄었지만, 영업이익이 962% 증가한 21억3000만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분기 연속으로 개선세를 지속했다.
매출 감소에도 이익이 개선된 것은 투입된 원재료 비용이 줄어든 덕이다. 비용의 성격별 분류에 따르면 3분기 원재료 비용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3.1%로 전년 동기 대비 6.7%p 낮아졌다.
수입업협회에 따르면 피제이메탈의 주요 원재료인 알루미늄 스크랩의 10월 수입가는 톤당 146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와 지난해 4분기에 비해 각각 10.6%와 9.1% 내린 것이다. 이에 따라 원재료 매입비용 절감은 4분기 들어서도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피제이메탈은 알루미늄 탈산제를 생산하는 회사다. 대한전선의 계열사인 알덱스에서 인적분할돼 설립됐으며, 지난 2010년 12월 13일 코스닥시장에 재상장 후 풍전비철에 인수됐다. 알루미늄 탈산제는 제강공정의 필수 원료로 용해된 철 속에 들어있는 산소를 제거해 철의 강도를 높인다.
▷ 주식MRI 분석 결과, 26%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피제이메탈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3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454위(상위 26%)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보통으로 위험은 높지 않은 편이다.
소비자 독점력은 보통으로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밸류에이션 점수는 2점으로 낮은 편이다. 현재 주가수익배수(PER)이 11.6배로 과거 5년 평균과 비슷한 점 등이 반영된 결과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2014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22일 이 회사는 올해 결산 배당으로 주당 90원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75원과 비교해 15원 오른 것이다. 현재 주가 기준 예상 배당수익률은 4.8%다. 현재 주요 은행의 1년 정기예금금리가 2% 내외로 낮아진 점을 고려하면 시중 금리에 비해 매력이 있는 편이다.
피제이메탈은 배당성향(총배당금/순이익)을 꾸준히 높여 왔다. 상장 첫해인 2010년 15%였던 배당성향은 지난해 67%로 높아졌다.
실적이 최근 개선세를 나타낸 점도 눈길을 끈다. 피제이메탈의 지난 3분기 매출액은 약 2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줄었지만, 영업이익이 962% 증가한 21억3000만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분기 연속으로 개선세를 지속했다.
매출 감소에도 이익이 개선된 것은 투입된 원재료 비용이 줄어든 덕이다. 비용의 성격별 분류에 따르면 3분기 원재료 비용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3.1%로 전년 동기 대비 6.7%p 낮아졌다.
수입업협회에 따르면 피제이메탈의 주요 원재료인 알루미늄 스크랩의 10월 수입가는 톤당 146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와 지난해 4분기에 비해 각각 10.6%와 9.1% 내린 것이다. 이에 따라 원재료 매입비용 절감은 4분기 들어서도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피제이메탈은 알루미늄 탈산제를 생산하는 회사다. 대한전선의 계열사인 알덱스에서 인적분할돼 설립됐으며, 지난 2010년 12월 13일 코스닥시장에 재상장 후 풍전비철에 인수됐다. 알루미늄 탈산제는 제강공정의 필수 원료로 용해된 철 속에 들어있는 산소를 제거해 철의 강도를 높인다.
▷ 주식MRI 분석 결과, 26%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피제이메탈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3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454위(상위 26%)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보통으로 위험은 높지 않은 편이다.
소비자 독점력은 보통으로 산업내 경쟁이 심화되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밸류에이션 점수는 2점으로 낮은 편이다. 현재 주가수익배수(PER)이 11.6배로 과거 5년 평균과 비슷한 점 등이 반영된 결과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피제이메탈]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국내 1위 알루미늄 탈산제 회사 (점유율 53.9%, 포스코 광양제철소에 공급) |
---|---|
사업환경 | ▷ 과점체제를 형성. 중국의 공급과잉,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철강 경기는 바닥을 지나고 있음 |
경기변동 | ▷ 매년 포스코 납품이 일정 부분 정해져 있어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둔감 |
주요제품 | ▷ 탈산제 95%, 상품 2%, 조재제 2% |
원재료 | ▷ 국제시세(LME가격) 및 국내 수급상황에 따라 가격 변동 있음 ▷ 탈산제/조재제 INGOT 가격 (국내 11년 1544원/kg → 12년 1162원/kg → 13년 1941원/kg → 14년 1분기 1764원/kg) SCRAP 가격 (국내 11년 1635원/kg → 12년 1417원/kg → 13년 1568원/kg원 → 14년 1분기 1511원/kg원) CHIP 가격(국내 11년 786원/kg → 12년 60원/kg → 13년471원/kg → 14년 1분기 395원/kg) |
실적변수 | ▷ 포스코의 제강 생산량 증가시 수혜, 알루미늄 가격 상승시 수혜, 환율 하락시 수혜 |
리스크 | ▷ 미행사 신주인수권 총 312만3373주(발행주식수의 16.7%) - 행사가액 1653원, 행사가능기간 14.04.12~16.04.12 |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피제이메탈의 정보는 2014년 07월 17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피제이메탈]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피제이메탈] 주요주주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주)풍전비철 | 최대주주 | 보통주 | 11,377,444 | 52.38 | 11,377,444 | 52.38 | - |
(주)피제이켐텍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403,375 | 6.46 | 1,403,375 | 6.46 | - |
송동춘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689,844 | 7.78 | 1,689,844 | 7.78 | - |
최병혁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372 | 0 | 372 | 0 | - |
계 | 보통주 | 14,471,035 | 66.62 | 14,471,035 | 66.62 | - | |
우선주 | - | - | - | - | - |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