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읽을거리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투자용어] 주당현금흐름(CFPS)
[정의]
영업현금흐름은 회계장부상의 이익인 당기순이익과는 달리, 실제로 영업을 통해 창출된 현금을 말합니다.
'당기순이익 + 비현금비용 - 비현금수익 ± 순영업자산 변동분' 으로 계산합니다.
각 계정을 대략 파악하면,
비현금비용 :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유형자산 감가상각비, 무형자산 상각비, 지분법손실 및 각종 환산, 평가이익 등)
비현금수익 : 현금유입이 없는 수익(지분법이익 및 각종 환산, 평가이익 등)
순영업자산 변동 : 각종 영업활동 자산부채의 증감분으로, 영업자산의 증가분은 덜어내고 영업자산의 감소분은 더하며, 영업부채의 증가분은 더하고 영업부채의 감소분은 제외합니다.
위 계정별로 계산하여 나온 영업현금흐름을 발행주식총수로 나누면 주당현금흐름이 됩니다.
위 공식을 풀어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주당현금흐름
= (당기순이익 + 현금유출 없는 비용 - 현금유입 없는 수익 ± 순영업자산 변동분) / 발행주식총수
[활용]
당기순이익은 회계상의 이익이라는 한계를 지니므로 실제로 영업활동을 통해 기업이 창출하는 현금흐름을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기업이 분식회계 등을 통해 당기순이익을 좋게 만들더라도 실제 현금흐름이 좋지 않으면 유의해야 합니다. 작게 보면 단기적인 실적 부풀리기 정도지만, 크게 보면 숨겨진 부실로 인해 향후 기업이 부도가 날 수 있다는 신호가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현금흐름으로는 기업의 실질 부채상환 능력, 그리고 설비확장을 위한 자체 사업에서의 자금조달능력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업의 이익창출능력을 보려면 주당순이익과 더불어 주당현금흐름의 추이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계산]
어떤 기업의 당기순이익이 100억원, 감가상각비가 10억원, 외화환산손실이 12억원, 지분법이익이 30억원이라고 가정합니다. 또한 매출채권이 15억원 늘었고 매입채무가 5억원 줄었습니다. 이 기업의 발행주식총수가 100만주라고 한다면 주당현금흐름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주당현금흐름
= (당기순이익 + 현금유출 없는 비용 - 현금유입 없는 수익 ± 순영업자산 변동분)/ 발행주식총수
= (100억 + 10억 + 12억 - 30억 - 15억 - 5억원) / 100만주
= 7200원
[비고]
주당현금흐름은 시설투자가 많은 장치산업, 지분법이익 비중이 높은 지주회사 등 기업이 속한 산업이나 업종에 따라서 주당순이익과 지속적으로 차이가 많이 나거나 일시적으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당현금흐름 수치를 유의미하게 해석하려면
1) 기업이 속한 산업/업종의 사이클(대개 5~7년) 정도의 기간에 걸쳐 해당 기업의 주당순이익과 주당현금흐름 수치를 장기적으로 비교해야 하고
2) 주당현금흐름과 주당순이익이 차이가 나는 항목이 위 공식 중 어느 항목인지 가려내야 하며
3) 산업 혹은 업종 내의 다른 기업과 비교하여 현금흐름의 상대적 안정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주가수익배수 및 주당현금흐름배수를 참고하여 주당현금흐름에 비해서 주가가 과대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영업현금흐름은 회계장부상의 이익인 당기순이익과는 달리, 실제로 영업을 통해 창출된 현금을 말합니다.
'당기순이익 + 비현금비용 - 비현금수익 ± 순영업자산 변동분' 으로 계산합니다.
각 계정을 대략 파악하면,
비현금비용 :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유형자산 감가상각비, 무형자산 상각비, 지분법손실 및 각종 환산, 평가이익 등)
비현금수익 : 현금유입이 없는 수익(지분법이익 및 각종 환산, 평가이익 등)
순영업자산 변동 : 각종 영업활동 자산부채의 증감분으로, 영업자산의 증가분은 덜어내고 영업자산의 감소분은 더하며, 영업부채의 증가분은 더하고 영업부채의 감소분은 제외합니다.
위 계정별로 계산하여 나온 영업현금흐름을 발행주식총수로 나누면 주당현금흐름이 됩니다.
위 공식을 풀어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주당현금흐름
= (당기순이익 + 현금유출 없는 비용 - 현금유입 없는 수익 ± 순영업자산 변동분) / 발행주식총수
[활용]
당기순이익은 회계상의 이익이라는 한계를 지니므로 실제로 영업활동을 통해 기업이 창출하는 현금흐름을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기업이 분식회계 등을 통해 당기순이익을 좋게 만들더라도 실제 현금흐름이 좋지 않으면 유의해야 합니다. 작게 보면 단기적인 실적 부풀리기 정도지만, 크게 보면 숨겨진 부실로 인해 향후 기업이 부도가 날 수 있다는 신호가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현금흐름으로는 기업의 실질 부채상환 능력, 그리고 설비확장을 위한 자체 사업에서의 자금조달능력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업의 이익창출능력을 보려면 주당순이익과 더불어 주당현금흐름의 추이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계산]
어떤 기업의 당기순이익이 100억원, 감가상각비가 10억원, 외화환산손실이 12억원, 지분법이익이 30억원이라고 가정합니다. 또한 매출채권이 15억원 늘었고 매입채무가 5억원 줄었습니다. 이 기업의 발행주식총수가 100만주라고 한다면 주당현금흐름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주당현금흐름
= (당기순이익 + 현금유출 없는 비용 - 현금유입 없는 수익 ± 순영업자산 변동분)/ 발행주식총수
= (100억 + 10억 + 12억 - 30억 - 15억 - 5억원) / 100만주
= 7200원
[비고]
주당현금흐름은 시설투자가 많은 장치산업, 지분법이익 비중이 높은 지주회사 등 기업이 속한 산업이나 업종에 따라서 주당순이익과 지속적으로 차이가 많이 나거나 일시적으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당현금흐름 수치를 유의미하게 해석하려면
1) 기업이 속한 산업/업종의 사이클(대개 5~7년) 정도의 기간에 걸쳐 해당 기업의 주당순이익과 주당현금흐름 수치를 장기적으로 비교해야 하고
2) 주당현금흐름과 주당순이익이 차이가 나는 항목이 위 공식 중 어느 항목인지 가려내야 하며
3) 산업 혹은 업종 내의 다른 기업과 비교하여 현금흐름의 상대적 안정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주가수익배수 및 주당현금흐름배수를 참고하여 주당현금흐름에 비해서 주가가 과대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