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읽을거리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전성기에 생긴 빨리 파는 버릇
지금도 그리 많은 나이는 아니지만 2005년이면 벌써 주식 투자 경력 10년차로 접어 듭니다. 초보 투자자, 학생 투자자를 거쳐 현재는 아예 투자를 직업으로 삼고 있게 되었는데 예전과 지금의 차이랄까요...이런 걸 얘기하고 싶어져서 이 코너에 글쓰기 버튼을 눌렀습니다.
스스로 생각해보면 2000~2001년이 전성기였던 것 같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IT버블이 끝나고 장이 내리 꽂을 때였습니다. 바텀업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신나는 시기였죠. 그냥 좋은 주식들이 싼 값에 널려 있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아이디어도 무지 많이 떠올랐습니다. 주위에 널린 아이디어들이 모두 투자로 이어졌을 정도였습니다.
2% 부족할 때가 팔리는 걸 보고 발견했던 롯데칠성, 현대그룹 왕자의 난으로 억울하게 주가가 액면가 근처였던 현대백화점, 전통주 우려로 주가가 지지부진하던 국순당, 회사가 바뀌고 있는데 불과 주가가 18000원의 고배당주 성격이 매우 강했던 태평양, 여성복의 강자였지만 투자자들이 뭐 하는 회사인줄도 잘 몰랐던 한섬, 분기 실적 한번 잘못 나왔다고 공모 후에 주가가 박살나던 유일전자, 말도 안 되는 가격에 거래되던 동서, 온미디어가 자회사로 있는지도 사람들이 몰랐던 오리온(당시 동양제과) 등 주옥 같은 종목들이 정말 말도 안되던 가격에 있었고 사거나 레포트를 내기만 하면 주가도 오해가 금방 풀려 가치가 빨리 반영되던 시기였습니다.
그러나 이때 아주 안 좋은 버릇이 생겼습니다. 바로 빨리 파는 버릇입니다. 롯데칠성은 8만원에 사서 18만원에, 현대백화점은 6000원에 사서 13000원에, 국순당은 16000원에 사서 23000원에, 태평양은 18000원에 사서 30000원에, 한섬은 2700원에 사서 8000원에, 유일전자는 6000원에 사서 13000원에 팔았습니다. 이중 동서와 오리온은 예외적으로 상당히 오래 가지고 있었고 모두 4배 정도 올라 수익률도 컸습니다만, 다른 종목들은 지금 현재가격을 생각하면 매수 가격도 터무니 없지만 매도 가격 또한 터무니 없습니다. 한 마디로 지나치게 빨리 판 겁니다. 99년 IT주가 날아갈 때도 신세계 붙잡고 1년 동안 3배의 수익을 거두는 뚝심이 있었는데 오히려 머리가 핑핑 돌아가는 전성기 때 안 좋은 버릇과 다소의 자만심이 생긴 겁니다.
당시에는 이런 생각이 있었습니다. 저평가 된 종목은 많고, 아이디어는 넘치니 무슨 문제가 있겠느냐....이 정도 수익률이면 만족해야지..하고 말입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하면 수익률을 떠나서 실수 내지 오판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아이디어가 넘치는 게 아니라 당시가 가치투자자들에게 호기회라고 할 정도로 싸고 좋은 주식이 넘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이런 종목이 있기 때문에 투자를 계속 하는 것이지만 당시에 비하면 새발에 피입니다. 시간이 지나고보니 버핏이 얘기한대로 환상적인 투자 아이디어는 매년 그리 많이 나오지 않더군요. 오히려 자산운용을 업으로 하게 된 지금.....단 하나의 환상적인 아이디어가 얼마나 소중한지 모릅니다. 그만큼 희소하다는 것이겠죠. 이게 예전이랑 지금이랑 달라진 점입니다. 그리고 그 차이를 이제서야 깨달았습니다.
이때 생긴 빨리 파는 버릇은 아직도 가끔 실수를 만듭니다. 내가 나무를 일찍 심었다는 이유로 열매를 한번만 거둬도 다음 열매를 맺기 보단 다른 나무를 심어보고 싶은 욕심이 드는 것과 같습니다. 사실은 그런 좋은 나무가 많지 않은데도 말이죠. 보유가 새로운 매수보다 좋을 때도 있다는 점이 젊은 혈기에 좀 가려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존 네프의 책을 읽어보니 위안은 되더군요. 이 양반은 목표가에 도달해 60~70% 수익만 나도 금방 팔아버리고 다른 종목을 찾아나섭니다. 이렇게 장기간에 걸쳐 놀라운 수익을 만들어 냈습니다. 버핏 책을 보면 항상 느끼는 압박감에서 조금은 자유로워진 느낌입니다. 버핏은 알면 알수록 참 힘든 부분이 많습니다. 초보 투자자 때는 버핏이 그렇게 친밀할 수 없었으나 지금은 오히려 버핏에게 약간의 거리감이 느껴집니다.
물론 장기투자 자체가 교조적이 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단지 올랐다는 이유만으로 그 당시의 기업 가치를 다시 체크해보지 않는 것은 게으름이고, 수익을 확정하기 위해 혹은 다른 투자 아이디어에 도전해보기 위해 기업 가치 증가분과 상관없이 파는 일은 나쁜 버릇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투자 경력 10년차 그리고 남의 돈을 맡아 운용하는 자산운용자로서 좀더 성숙한 그리고 좀더 유연성 있는 투자가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004년의 끝에서 반성과 함께 새로운 다짐을 해봅니다.
스스로 생각해보면 2000~2001년이 전성기였던 것 같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IT버블이 끝나고 장이 내리 꽂을 때였습니다. 바텀업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신나는 시기였죠. 그냥 좋은 주식들이 싼 값에 널려 있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아이디어도 무지 많이 떠올랐습니다. 주위에 널린 아이디어들이 모두 투자로 이어졌을 정도였습니다.
2% 부족할 때가 팔리는 걸 보고 발견했던 롯데칠성, 현대그룹 왕자의 난으로 억울하게 주가가 액면가 근처였던 현대백화점, 전통주 우려로 주가가 지지부진하던 국순당, 회사가 바뀌고 있는데 불과 주가가 18000원의 고배당주 성격이 매우 강했던 태평양, 여성복의 강자였지만 투자자들이 뭐 하는 회사인줄도 잘 몰랐던 한섬, 분기 실적 한번 잘못 나왔다고 공모 후에 주가가 박살나던 유일전자, 말도 안 되는 가격에 거래되던 동서, 온미디어가 자회사로 있는지도 사람들이 몰랐던 오리온(당시 동양제과) 등 주옥 같은 종목들이 정말 말도 안되던 가격에 있었고 사거나 레포트를 내기만 하면 주가도 오해가 금방 풀려 가치가 빨리 반영되던 시기였습니다.
그러나 이때 아주 안 좋은 버릇이 생겼습니다. 바로 빨리 파는 버릇입니다. 롯데칠성은 8만원에 사서 18만원에, 현대백화점은 6000원에 사서 13000원에, 국순당은 16000원에 사서 23000원에, 태평양은 18000원에 사서 30000원에, 한섬은 2700원에 사서 8000원에, 유일전자는 6000원에 사서 13000원에 팔았습니다. 이중 동서와 오리온은 예외적으로 상당히 오래 가지고 있었고 모두 4배 정도 올라 수익률도 컸습니다만, 다른 종목들은 지금 현재가격을 생각하면 매수 가격도 터무니 없지만 매도 가격 또한 터무니 없습니다. 한 마디로 지나치게 빨리 판 겁니다. 99년 IT주가 날아갈 때도 신세계 붙잡고 1년 동안 3배의 수익을 거두는 뚝심이 있었는데 오히려 머리가 핑핑 돌아가는 전성기 때 안 좋은 버릇과 다소의 자만심이 생긴 겁니다.
당시에는 이런 생각이 있었습니다. 저평가 된 종목은 많고, 아이디어는 넘치니 무슨 문제가 있겠느냐....이 정도 수익률이면 만족해야지..하고 말입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하면 수익률을 떠나서 실수 내지 오판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아이디어가 넘치는 게 아니라 당시가 가치투자자들에게 호기회라고 할 정도로 싸고 좋은 주식이 넘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이런 종목이 있기 때문에 투자를 계속 하는 것이지만 당시에 비하면 새발에 피입니다. 시간이 지나고보니 버핏이 얘기한대로 환상적인 투자 아이디어는 매년 그리 많이 나오지 않더군요. 오히려 자산운용을 업으로 하게 된 지금.....단 하나의 환상적인 아이디어가 얼마나 소중한지 모릅니다. 그만큼 희소하다는 것이겠죠. 이게 예전이랑 지금이랑 달라진 점입니다. 그리고 그 차이를 이제서야 깨달았습니다.
이때 생긴 빨리 파는 버릇은 아직도 가끔 실수를 만듭니다. 내가 나무를 일찍 심었다는 이유로 열매를 한번만 거둬도 다음 열매를 맺기 보단 다른 나무를 심어보고 싶은 욕심이 드는 것과 같습니다. 사실은 그런 좋은 나무가 많지 않은데도 말이죠. 보유가 새로운 매수보다 좋을 때도 있다는 점이 젊은 혈기에 좀 가려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존 네프의 책을 읽어보니 위안은 되더군요. 이 양반은 목표가에 도달해 60~70% 수익만 나도 금방 팔아버리고 다른 종목을 찾아나섭니다. 이렇게 장기간에 걸쳐 놀라운 수익을 만들어 냈습니다. 버핏 책을 보면 항상 느끼는 압박감에서 조금은 자유로워진 느낌입니다. 버핏은 알면 알수록 참 힘든 부분이 많습니다. 초보 투자자 때는 버핏이 그렇게 친밀할 수 없었으나 지금은 오히려 버핏에게 약간의 거리감이 느껴집니다.
물론 장기투자 자체가 교조적이 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단지 올랐다는 이유만으로 그 당시의 기업 가치를 다시 체크해보지 않는 것은 게으름이고, 수익을 확정하기 위해 혹은 다른 투자 아이디어에 도전해보기 위해 기업 가치 증가분과 상관없이 파는 일은 나쁜 버릇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투자 경력 10년차 그리고 남의 돈을 맡아 운용하는 자산운용자로서 좀더 성숙한 그리고 좀더 유연성 있는 투자가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2004년의 끝에서 반성과 함께 새로운 다짐을 해봅니다.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