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읽을거리
아이투자 전체 News 글입니다.
[최준철의 가치투자론] #3. 가치투자가 되기 위한 요건들
가치투자가 되기 위한 요건들
버핏은 본인의 투자 방식을 책으로 쓰거나 주장한 적은 없다. 오직 버크셔 헤더웨이의 연차보고서를 통해서 1년에 한번 자신의 생각을 드러낼 뿐이다. 그간 알려진 그의 투자 방식은 대부분 다른 저술가들이 그의 연차보고서와 이미 드러난 투자 성과를 바탕으로 쓴 책에서 비롯된다. 국내에도 약 6권 남짓한 책이 소개되어 있는데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그의 투자 방식과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전망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자체에서 투자판단 근거를 찾는다. 시장과는 상관없이 저평가된 기업이 있으면 매수한다. 둘째 자기가 잘 아는 기업에만 투자한다. 그가 기술주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다. 셋째 업력이 오래되어 수익성이 검증된 기업에만 투자한다. 헛된 기업의 꿈에 동참하는 위험을 감당하지 않는다. 넷째 장기보유하면서 복리 효과를 최대한 활용한다. 팔지 않을 기업을 사고자 하고 실제로 오래 보유한다.
이를 종합해서 벤자민 그레이엄의 가치투자와 연결시켜 보면 가치투자가 되기 위한 요건들을 정리할 수 있다.
가치투자는 투자 판단의 근거를 기업에서 찾는다. 이것은 기업의 내재가치를 시장가치와 비교한다는 가치투자의 정의와도 일맥상통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치투자자들이 온갖 노력을 쏟는 부분이 기업분석, 기업발굴이다. 그레이엄도 버핏도 투자를 할 때 하는 대부분의 일은 연차보고서를 읽고 기업을 방문해보는 것이다. 그들은 사고 팔 때만 주식 시세판을 본다.
이것은 다시 철저하게 아는 기업에만 국한해서 투자한다는 것으로 연결된다. 이 부분이 그레이엄과 버핏이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레이엄은 숫자만 정확히 파악하면 어떤 종목이라도 투자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버핏은 숟가락 개수까지 알고 싶어한다. 하지만 투자판단 근거로서의 기업에 대해 숫자든 질적인 면이든 철저히 알아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관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그레이엄도 업력이 검증되지 않고 자료를 믿을 수 없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말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가치투자는 시장가치보다 높은 내재가치를 가진 기업을 사고 나서 기다리는 투자 방법이다. 물론 그레이엄과 버핏의 차이점이 있다. 그레이엄은 내재가치가 언제 가격에 반영될지 모르기 때문에 기다린다는 것이고 버핏은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계속 증진되고 가격이 이를 따라가기 때문에 기다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공통된 키워드가 있다. 주가가 언제 가치를 반영해줄지 모르기 때문에 기다릴 뿐이라는 겸손함과 주가는 반드시 가치를 반영한다는 믿음이다.
<다음 주에 계속…>
최준철 / VIP투자자문 대표
wallstreet@viptooza.com
버핏은 본인의 투자 방식을 책으로 쓰거나 주장한 적은 없다. 오직 버크셔 헤더웨이의 연차보고서를 통해서 1년에 한번 자신의 생각을 드러낼 뿐이다. 그간 알려진 그의 투자 방식은 대부분 다른 저술가들이 그의 연차보고서와 이미 드러난 투자 성과를 바탕으로 쓴 책에서 비롯된다. 국내에도 약 6권 남짓한 책이 소개되어 있는데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그의 투자 방식과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전망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자체에서 투자판단 근거를 찾는다. 시장과는 상관없이 저평가된 기업이 있으면 매수한다. 둘째 자기가 잘 아는 기업에만 투자한다. 그가 기술주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다. 셋째 업력이 오래되어 수익성이 검증된 기업에만 투자한다. 헛된 기업의 꿈에 동참하는 위험을 감당하지 않는다. 넷째 장기보유하면서 복리 효과를 최대한 활용한다. 팔지 않을 기업을 사고자 하고 실제로 오래 보유한다.
이를 종합해서 벤자민 그레이엄의 가치투자와 연결시켜 보면 가치투자가 되기 위한 요건들을 정리할 수 있다.
가치투자는 투자 판단의 근거를 기업에서 찾는다. 이것은 기업의 내재가치를 시장가치와 비교한다는 가치투자의 정의와도 일맥상통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치투자자들이 온갖 노력을 쏟는 부분이 기업분석, 기업발굴이다. 그레이엄도 버핏도 투자를 할 때 하는 대부분의 일은 연차보고서를 읽고 기업을 방문해보는 것이다. 그들은 사고 팔 때만 주식 시세판을 본다.
이것은 다시 철저하게 아는 기업에만 국한해서 투자한다는 것으로 연결된다. 이 부분이 그레이엄과 버핏이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레이엄은 숫자만 정확히 파악하면 어떤 종목이라도 투자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버핏은 숟가락 개수까지 알고 싶어한다. 하지만 투자판단 근거로서의 기업에 대해 숫자든 질적인 면이든 철저히 알아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관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그레이엄도 업력이 검증되지 않고 자료를 믿을 수 없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말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가치투자는 시장가치보다 높은 내재가치를 가진 기업을 사고 나서 기다리는 투자 방법이다. 물론 그레이엄과 버핏의 차이점이 있다. 그레이엄은 내재가치가 언제 가격에 반영될지 모르기 때문에 기다린다는 것이고 버핏은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계속 증진되고 가격이 이를 따라가기 때문에 기다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공통된 키워드가 있다. 주가가 언제 가치를 반영해줄지 모르기 때문에 기다릴 뿐이라는 겸손함과 주가는 반드시 가치를 반영한다는 믿음이다.
<다음 주에 계속…>
최준철 / VIP투자자문 대표
wallstreet@viptooza.com
더 좋은 글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 Start Slider - https://splidejs.com/ ?>
// End Slider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
// Start Slider Sources - https://splidejs.com/
// CSS는 별도로 처리함.
?>
// End Slider Sour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