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전망도 긍정적이다. 증권가에서는 KH바텍의 3분기 매출이 1,526억원, 영업이익은 124억원에 달해 전년 대비 각각 65.3%, 79.6%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갤럭시 Z 폴드7의 판매 호조와 힌지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향후 전망은 신규 폼팩터와 글로벌 고객사 확대에 달려 있다. 삼성전자가 폴더블 모델 중심으로 전략을 강화하면서 KH바텍의 안정적 성장 궤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중 폴딩과 슬라이더블 등 신제품 출시와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채택이 예상되면서 힌지 매출 다변화도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 성장세도 우호적이다. 시장조사업체들은 올해 전 세계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2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 속에서 폴더블 기기의 차별화된 폼팩터가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KH바텍 역시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투자 의견도 대체로 긍정적이다. 주요 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1만7천~1만8천 원대로 제시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만3천원 안팎으로, 향후 신제품 출시에 따른 실적 모멘텀과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 성장에 힘입어 주가 재평가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V차트 분석
- '25년 2분기 연결 재무 (연환산 차트)
1. 실적 차트: 2분기 연환산 매출액은 3,526억원, 영업이익은 255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부터 우상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매출원가율 & 판관비율 차트 : 매출원가율은 80% 중반대를 오르내리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판관비율이 기존 10%대 수준에서 8%초반까지 하락했다.

3. 주가 & 영업이익지수 : 22년부터 주가가 꾸준히 하락했으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영업이익지수가 반등하면서 주가도 함께 우상향으로 방향을 바꾼 모습이다.

4. 부채비율과 유동비율 : 부채비율이 100% 이하를 유지하고 있어 재무 건전성에 문제가 있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유동비율은 12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5. PBR : PBR(주가순자산배수)는 21년 3분기 3.5배를 초과하기도 했지만, 그 후 꾸준한 조정을 거쳐 지금은 1.17배 수준이다. 순자산대비 크게 고평가되었다고 보긴 힘들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