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HD현대건설기계 주요 제품

(자료: HD현대건설기계)
2분기 기준 주요 품목별 매출 비중은 건설기계 82.5%, 산업차량 9.4%, 부품 외 8.1%다. 회사 매출의 92% 수출로 발생한다.
회사 매출액은 2020년 4분기를 저점으로 반등해 증가세를 이어온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가운데 작년 3분기부터 현재까지 성장세를 이어온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7%, 4.8%다. 현재 두 이익률은 과거와 비교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81%, 12%다. 매출원가율은 작년 2분기 85.1%를 고점으로 하락반전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판관비율은 12% 수준을 유지했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과거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최고 32%에서 최저 24%를 오르내렸다. 이 비중은 2분기 연환산 기준 29.2%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1.4%다. 이는 5년 평균 4.8%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ROE는 4분기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9월 27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1배로, 5년 평균 0.67배에 비해 높다. PBR은 최근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은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재무레버리지는 꾸준히 하락했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93.5%, 206.8%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HD현대건설기계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7]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차입금 규모는 줄어드는 모습이다. 회사는 2분기 기준 차입금 9086억원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체 자산의 26.4%다.
[그래프8]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2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7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래프9]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주가는 상승 후 조정을 받는 흐름이다.
[그래프10]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달 25일 교보증권 안유동 연구원은 "HD현대건설기계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한 946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7월 북미지역 판가인상 효과에도 여름휴가와 명절 등으로 조업일수가 2주일 가량 빠지는 것과 상반기 딜러들이 재고부족으로 재고(Re-Stocking) 물량을 급하게 채우는 것에서 하반기부터는 순수하게 최종사용자(End-User)에게 넘어가는 물량으로 전환될 점을 고려해 전분기 대비로는 줄어들 것이다"고 분석했다.
이어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선진지역의 평균판매단가(ASP), 제품 믹스(Mix) 효과로 인해 고수익성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