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화금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다. 연환산 영업이익은 2021년 4분기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2022년 3분기 128억원까지 성장했다. 이후 영업이익은 조정을 받는 모습이다. 순이익은 영업이익과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2.4%, 16.2%다.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최근 조정을 받은 후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판관비율은 하락했다. 1분기 연환산 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77.6%, 10.1%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12%에서 15% 사이를 오르내렸다. 1분기 연환산 기준으로는 14.3%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3%다. 이는 5년 평균 7.4%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ROE는 2021년 2분기 5%를 저점으로 반등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4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9배다. 이는 5년 평균 1.09배보다 낮았다. PBR은 하락세를 지속하다 최근 반등했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 없이 기존과 같은 흐름을 이어갔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배당금을 꾸준히 지급했다. 그리고 작년 주당 배당금을 400원으로 늘렸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2.5%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배당성향은 2020년 24% → 2021년 25% → 2022년 21%로 변했다.
[그래프8]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19.6%, 288.9%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대정화금의 재무 안정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9]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가 보유한 차입금은 94억원이다. 이는 전체 자산의 5.3%다. 전체 자산 규모에 비해 차입금 보유량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10]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51.7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래프11]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회사는 1분기 기준 순현금으로 320억원 보유했다. 이는 재무 안전성 매력은 높이는 요소 중 하나다.
[그래프12] 순현금&시총대비 순현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주가는 하락세를 멈추고 최근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3]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