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16개의 백화점과 8개의 아울렛을 운영하고 있다. 면세점은 무역센터점, 동대문점, 인천공항점 3개를 보유하고 있다. 또, 2025년에 현대시티아울렛 청주점(가칭)을 출점할 계획을 하고 있다.
1분기기준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백화점 50.5%, 면세점 29.3%, 가구 제조 20.2%다.
현대백화점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으며, 최근 그 증가폭이 커진 모습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20년 4분기 저점으로 반등했다가. 최근 조정을 받는 흐름을 보인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6%, 2.7%다. 두 이익률은 계속 하락하는 모습이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최근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3개 분기 연속 상승했다. 반대로, 판관비율은 3개 분기 연속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1분기 연환산기준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각각 35.4%, 58.6%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9%다. 이는 5년 평균 4%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ROE는 2020년 4분기 저점을 찍은 후 반등해 2022년 2분기 4.7%까지 상승했다. 이후 다시 하락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12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26배로, 5년 평균 0.42배에 비해 낮다. PBR은 계속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4]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자. 순이익률은 하락세를 지속한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상승했다. 특히, 재무레버리지의 상승폭이 큰 점이 특징이다.
[그래프5]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현대백화점은 배당을 꾸준히 지급해 왔다. 주당 배당금은 2020년 1000원 → 2021년 1100원 → 2022년 1300원으로 증가했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2.2%다.
[그래프6]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배당성향은 2020년 31% → 2021년 13% → 2022년 20%로 변화했다.
[그래프7]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87.8%, 82.1%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인 기업 재무구조를 튼튼하다고 평가한다. 이에 현대백화점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아쉬운 편이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가 가진 차입금은 증가했다. 이에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25.7%까지 올랐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이자보상배율은 3.6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지수가 최근 크게 하락한 가운데, 주가는 하락세를 지속하는 모습이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 5일 한화투자증권 이진협 연구원은 현대백화점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했다. 이 연구원은 "그간 실적의 부담으로 작용하던 대전점이 6월 12일 1차 재개장 예정이다"며, "백화점의 (실적)반등이 주가에 중요한 구간이라 판단하는데, 대전점의 재개장이 힘을 보탤 수 있을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책 자세히 보기 (YES24)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