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와이파워의 매출액은 2019년 1분기까지 증가 후 2020년 3분기까지 감소세를 보였다. 그리고 같은해 4분기부터 다시 증가해 현재까지 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매출액 증감과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7.4%, 5.3%를 기록했다. 두 이익률은 최근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하는 모양새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비용구조를 보면, 1분기 연환산기준 매출원가율이 90%에 육박하며, 판관비율은 2.9%를 기록했다. 매출원가율은 80~90% 사이를 오르내리는 가운데, 판관비율은 최근 하락세를 이어온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연환산)은 2021년 4분기 15.3%로 고점을 찍은 후 하락해 올해 1분기 13%까지 하락했다. 이는 5개분기 연속 하락한 것이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최근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1%다. 이는 5년 평균 13%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ROE는 이번 분기 하락세를 마감하고 반등하는 모습이다.
19일 시가총액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56배로, 5년 평균 0.79배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PBR은 ROE와 그 흐름을 같이 하는 편이었는데, 최근 ROE는 반등한 가운데 PBR은 여전히 오르지 못하는 모습새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의 구조를 듀퐁분석으로 살펴보면, 순이익률은 최근 반등한 가운데 총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2015년부터 꾸준히 배당을 실시했다. 주당 배당금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작년에 감소했다. 주당 배당금의 변화 추이를 보면, 2020년 220원 → 2021년 300원 → 2022년 250원이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2%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배당성향의 변화를 살펴보면 2020년 10% → 2021년 11% → 2022년 15%다. 배당성향이 조금씩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 점이 특징이다.
[그래프8]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36.1%, 255%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디와이파워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9]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차입금이 계속해서 줄어드는 모습을 통해 재무 안전성 매력이 커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분기 연환산기준 차입금 비중은 6.4%다.
[그래프10]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1분기 연환산기준 이자보상배율은 37배다. 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프11]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주가와 순이익 지수는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 또, 최근 주가와 순이익 지수 모두 반등하는 모습이다.
[그래프12]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