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실적기준 품목별 매출 비중은 스프링 44.5%, 소재가공 52.9%, 기타 2.6%다. 회사는 전체 매출 중 국내시장에서 54.2%, 수출에서 45.8%를 벌었다.
회사의 매출액은 2012년부터 2020년까지 감소했다가, 2021년부터 반등해 성장을 이어온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매출액 증감과 함께 하는 모습이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연간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4.5%, 3.6%를 기록했다. 두 이익률은 2022년 1분기부터 현재까지 상승세를 이어온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은 92~93%를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다. 또, 이 비율을 통해 비용에서 매출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판관비의 비중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매출원가를 이루는 가격을 살펴보면 기업분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판관비율은 2020년 2분기 4.2%를 기록한 후 하락세를 시작해 2022년 4분기 3.6%를 기록했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2021년 4분기 17%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하향세를 시작해 작년 4분기 13.5%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해 연간 실적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5.6%를 기록했다. 이는 5년 평균 4.8%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ROE는 오랜기간 하락세를 이어오다 2020년 4분기부터 서서히 상승했으며, 최근 그 상승폭이 커졌다.
17일 시가총액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56배로, 5년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다. PBR은 2020년 1분기까지 하락세를 이어오다 2021년 2분기 0.7배로 상승했다. 이후 다시 하락을 시작해 현재 수준에 이르렀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하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면, 최근 ROE의 상승은 3가지 지표 모두 오른 것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순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의 상승폭이 커 ROE 상승이 더 매력적으로 보인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배당을 꾸준히 지급했다. 다만, 주당 배당금은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 아쉽다. 주당 배당금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115원이었다. 그리고 2020년부터 2022년까지 105원을 지급했다. 작년 연간기준 시가배당률은 3.9%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배당성향을 보면 2020년 51%로 최고점을 달성한 후 2021년 47%, 2022년 32%로 하락했다. 이를 통해 작년 순이익이 증가했지만 배당성향이 줄어 주당 배당금이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래프8] 배당성향&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주가는 2021년 4월 4105원을 기록한 후 하락세로 전환했다. 그리고 2022년 9월 2390원을 저점으로 반등해 현재까지 상승세를 이어온다. 순이익 지수는 2020년 3분기를 저점으로 현재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그래프9] 주가&순이익 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삼원강재는 지난 15일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1분기 매출로 874억원을 올렸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한 것이다.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30.5% 감소한 26억원을 벌었다. 당기순이익은 작년 같은기간 대비 9.4% 증가한 35억원을 기록했다.
☞ 내 관심 종목도 V차트로 분석해보기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