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비중은 진단용 엑스레이 시스템 68%, 디지털 업그레이드 시스템 8.5%, 모바일 엑스레이 시스템 11.24%다. 또,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85%로, 해외 시장에서 벌어들이는 매출이 더 크다.
디알젬은 아이투자 스톡워치(stockwatch.co.kr)에서 제공하는 밸류스코어에서 100점 만점에 91.4점을 기록했다. 이는 상위 0.2%에 해당하는 높은 점수다.
밸류스코어는 5가지 지표로 기업을 평가한다. 디알젬은 성장성(100점), 수익성(90점), 최근 분기 실적(100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림] 밸류스코어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연환산 매출액은 2021년 1분기 1042억원에서 2021년 2분기 830억원으로 감소했다. 그 이후 꾸준히 증가해 작년 3분기 1083억원으로 매출액 최고치를 달성했다. 매출액 증감과 함께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함께 감소 후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프1] 실적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17.8%, 19%를 기록했다. 두 이익률은 2021년 2분기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래프2] 이익률 차트(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원가율과 판관비율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 매출원가율은 최대 72%에서 최소 62% 수준을 유지했다. 판관비율도 15~17% 사이에서 오르내리는 모습이다.
[그래프3] 매출원가율&판관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매출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2021년 1분기 19%를 기록한 후 작년 2분기까지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다 2022년 3분기 이전 분기 대비 하락한 29.9%를 기록했다.
[그래프4] 재고자산 추이(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7%다. 5년 평균 ROE 29%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편, 7일 기준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7배로, 5년 평균 2.8배에 비해 낮다.
[그래프5] ROE&PBR(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ROE를 3가지 지표로 분석해보는 듀퐁분석 차트를 보면, 순이익률이 2021년 2분기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총자산회전율은 2020년 4분기 이후 하락세다. 또, 재무레버리지는 2022년 1분기 이후 1.65배까지 낮아졌다.
[그래프6] 듀퐁분석(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주당 배당금은 2020년 200원 → 2021년 140원 → 2022년 317원으로 변했다. 특히, 작년 주당 배당금이 크게 증가해 시가배당률이 3%에 이르렀다.
[그래프7] 배당금&시가배당률(연간)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작년 3분기 기준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은 각각 65.1%, 191.8%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 유동비율은 100% 이상일 때 재무 구조가 튼튼하다고 말한다. 이에 디알젬의 재무 안전성 매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8]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의 차입금은 지난해 1분기 253억원으로 증가했다. 이에 차입금 비중은 23%까지 올랐다. 그러나, 이 비중은 재무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수준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입금 비중이 40%를 초과하면 재무 안전성에 빨간불이 커졌다고 한다.
[그래프9] 차입금과 차입금 비중(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또,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이자보상배율은 71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는데 이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래프10] 이자보상배율(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순이익 지수는 2021년 2분기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 후 반등해 상승세를 이어오는 모습이다. 다만, 주가는 2020년 7월 2만8000원을 기록한 후 지난해 9월 8230원까지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다 최근 주가는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고, 1만1500원까지 상승했다.
[그래프11] 주가&순이익지수(연환산)

(자료: 아이투자 스톡워치)
회사는 지난해 연간 기준 매출액 1102억원을 벌었다. 이는 전년 대비 28.5% 증가한 실적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68억원, 144억원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5%, 순이익은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 글은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에서 언급된 종목은 종목 추천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투자 판단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자ⓒ 가치를 찾는 투자 나침반, 아이투자(itooza.com)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