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차트 우량주 분석

[V차트 포인트] 락앤락, 구조조정 통한 체질 개선

단독 [아이투자 오진경 데이터 기자]
편집자주 | 기업의 모든 활동은 직·간접적으로 재무제표에 기록됩니다. 그림으로 보는 재무제표인 V차트를 통해, 기업 활동이 어떻게 재무제표에 나타났는지 포인트를 짚어봅니다.
락앤락은 사명을 브랜드로 내걸어 밀폐용기와 주방생활용품을 제조 및 판매한다. 경쟁사 대비 뛰어난 품질을 바탕으로 국내와 중국에서 밀폐용기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해왔다.

높은 시장 입지에도 불구하고, 락앤락은 2014년부터 2015년 5월까지 유통채널의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매출의 약 50%를 담당하던 중국 시장의 경쟁 심화와 경기 부진이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또한, 마진이 낮은 홈쇼핑 부문에 매출이 편중된 것도 개선점으로 대두됐다.

약 1년 반에 걸친 구조조정 기간동안 락앤락은 다소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2014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6% 감소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61%, 67% 줄었다.

이익 감소와 함께 주가도 하락했다. 2013년 한 때 2만8000원대까지 올랐던 주가는 2014년 1만원 내외로 하락했다. 불과 약 1년 만에 주가가 50% 이상 내린 셈이다.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동안 손익 구조에 다소 변동이 생겼다. 수익성 위주로 영업채널을 재편하면서, 중국 홈쇼핑 채널의 비중이 크게 하락했다. 홈쇼핑 채널은 중국 매출액에서 약 22%의 비중을 차지했으나, 높은 수수료와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마진이 낮은 편이었다.

락앤락은 홈쇼핑 채널을 정리하고 중국 시장의 화두로 떠오른 온라인 채널에 집중했다. 업계에 따르면 높은 인지도를 통해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T몰에서 20여개 이상의 도소매상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2013년 17%였던 온라인 채널 비중은 2015년 32%, 2016년 37%로 증가해 중국 내 주 수입원으로 성장했다. 반면, 홈쇼핑 채널의 비중은 3%로 전 채널 가운데 가장 낮아졌다.



중국에서 유통채널에 변화가 생기는 동안 국가별 매출 비중도 달라졌다. 국내와 중국 시장에 주력해온 과거와 달리 성장성이 높은 동남아, 특히 베트남 시장으로 시야를 넓혔다. 락앤락은 2014년 국내 아산공장과 중국 위해하나코비 법인을 가동 중단한 반면 베트남에서 특판과 할인점 등 다양한 채널을 확대했다.

현재 베트남은 락앤락의 영업 지역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중국 매출액은 전년 대비 8% 감소했으나 동남아 매출이 33% 늘었는데, 그 중에서 베트남 매출액 67% 가량 증가했다('15년 221억원→'16년 368억원).



락앤락은 유통채널 뿐만 아니라 재무구조 개선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구조조정 이전에 1200~1400억원 가량 보유했던 차입금은 올해 1분기 기준 199억원으로 감소했다.

이와 함께 자산 대비 차입금 비중은 약 15%에서 3%로 낮아졌다.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101배로, 영업이익을 통해 이자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상태다.



이러한 점들을 토대로 업계는 락앤락의 구조조정이 성공적인 마무리를 지었다고 평가한다.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소폭(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이 70% 늘면서 이익률이 크게 개선됐다. 2016년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5.5%p 상승한 14.2%를 기록했다.

늘어난 이익을 바탕으로 배당금도 2.5배 증가했다('15년 200원→'16년 500원). 연말 종가 기준 시가배당률은 1.6%에서 3.5%로 1.9%p 상승해, 배당률 3%대의 고배당주로 올라섰다. 만약 올해도 500원을 지급한다면 전일 종가(1만3250원) 기준 시가배당률은 3.8%다.



1분기 실적과 전일 종가를 반영한 주가수익배수(PER)는 15.6배, 주가순자산배수(PBR)는 1.18배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7.6%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락앤락]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update16.11/02

'락앤락' 밀폐용기, 주방생활용품 제조 및 유통회사
사업환경

update16.11/02

▷ 안전성이 확인된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다양한 주방생활용품을 제조 및 유통
▷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홈리빙 분야의 수요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
경기변동

update16.04/22

▷ 주방생활용품은 생활필수품으로 경기에 둔감한 편
주요제품

update16.11/02

▷ 저장용품(53.1%) : 락앤락 클래식, 락앤락 글라스, 락앤락비스프리 등
▷ 아웃도어(18.1%) : 락앤락아쿠아, 락앤락핫앤쿨 등
▷ 기타(28.8%) : 리빙용품 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update16.11/02

▷ 폴리프로필렌(PP), 유리 등 : 롯데케미칼, 한화토탈 등에서 매입('14년 1857원/kg → '15년 1503원/kg → '16년 반기 1314원/kg, PP 기준).
▷ 스티커, 박스 등: 세림피엔지, 이연산업 등에서 매입
* 괄호 안은 가격 추이
실적변수

update16.04/22

▷ 폴리프로필렌(PP) 가격 하락시 수혜
리스크

update16.04/22

▷ 원/달러 환율 상승시 영업외손실 발생
신규사업

update16.04/22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락앤락]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7.3월 2016.12월 2015.12월 2014.12월
매출액 400 2,044 1,835 1,941
영업이익 -1 121 15 23
영업이익률(%) -0.3% 5.9% 0.8% 1.2%
순이익(연결지배) 84 470 125 150
순이익률(%) 21% 23% 6.8% 7.7%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15.55
이시각 PBR 1.18
이시각 ROE 7.57%
5년평균 PER 37.59
5년평균 PBR 1.48
5년평균 ROE 5.71%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락앤락]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김준일본인보통주29,035,91952.7929,035,91952.79-
김창호특수관계인보통주5,925,34810.775,925,34810.77-
김성태특수관계인보통주58,2370.1158,2370.11-
신동훈특수관계인보통주11,9990.0200.00특수관계인 제외
임광빈특수관계인보통주8,0700.018,0700.01-
손장달특수관계인보통주7,1210.015,1210.01장내 매도
조미현특수관계인보통주2,4870.002,4870.00-
안진연특수관계인보통주1,7210.0000.00특수관계인 제외
함태욱특수관계인보통주7400.007400.00-
이상봉특수관계인보통주5500.005500.00-
노석주특수관계인보통주2140.0000.00특수관계인 제외
박익성특수관계인보통주60.0060.00-
보통주35,052,41263.7335,036,47863.70-
------

[2016년 06월 30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