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서원인텍은 지난 1983년 설립된 휴대폰 부품업체다. 과거 휴대폰용 키패드를 주력으로 생산했다. 하지만 스마트폰 보급으로 터치스크린 채택률이 확대되면서 관련 실적이 감소했다. 이에 서원인텍은 스마트폰 측면 키부품과 고무, 스폰지 소재 부품 등 부자재 비중을 확대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 비중은 부자재 56%, 키패드 18%, 액세서리 11%다.서원인텍은 지난 2013년부터 스마트폰용 부자재 매출이 늘면서 가파른 실적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 2012년 1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실적 기준 매출액은 1781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는 3481억원으로 9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4억원에서 227억원으로 255% 늘었다.

서원인텍은 신사업인 악세서리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지난 2013년 구미 1·2공장을 증설했다. 이에 따라 유형자산은 지난 2012년 말 194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말 302억원으로 늘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적용한 정품인식칩 적용 확대와 주요 고객사의 태블릿PC용 북커버 시장 성장으로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


서원인텍은 증설에 따른 자금을 차입금으로 조달했다. 지난 2013년 2분기 말 46억원이던 차입금은 3분기 말 108억원으로 늘었다. 이후 일부 상환하면서 지난해 3분기 기준 차입금은 84억원으로 감소했다. 다만, 자산총계 대비 차입금의 비중은 4.2%에 불과해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 비중이 40%를 초과하면 재무 안전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한다. 서원인텍의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49.6%다. 부채총계 648억원 중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매입채무가 608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서원인텍의 주가는 지난 2011년말까지 주당순자산(BPS) 아래에서 거래됐다. 이후 주당순이익(EPS)이 상승하면서 주가도 함께 올랐다. 지난 2011년 4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기준 EPS는 537원에서 지난해 3분기 연환산 기준 1718원으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주가는 3340원에서 1만2850원까지 올랐다.


또한, 서원인텍은 지난 2004년부터 10년간 꾸준히 배당을 실시했다. 주당배당금과 배당성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난 2011년부터 꾸준히 주당배당금을 상승시키고 있다. 지난 2011년에는 150원, 2012년은 200원, 2013년에는 400원씩 배당했다. 지난해에도 주당 500원의 배당금을 책정했다.

다만, 지난해 3분기 매출액은 6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줄고, 영업이익은 45% 감소한 30억61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주요고객사인 삼성전자의 모바일 사업이 부진했던 영향이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 모바일부문 매출액은 26조29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서원인텍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원인텍]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스마트폰 부속 부품, 휴대폰 키패드, 2차전지 보호회로, 외이브로 단말기 제조업체 |
---|---|
사업환경 | ▷ 스마트폰 보급 확대로 관련 부속품 수요가 늘어난 반면, 키패드 등 피처폰 부품 수요는 감소 추세 ▷ 스마트폰 수요 성장률이 최근 둔화되는 것은 리스크 요인임 |
경기변동 |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 휴대폰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 부자재:(35%, 11년 24.1원 → 12년 35.9원 → 13년 57원) ▷ 키패드 : 입력장치(21%, 11년 728원 → 12년 470원 → 13년 335원) ▷ SCM:과전류 방지(16%, 11년 4314원 → 12년 4226원 → 13년 3847원) ▷ 악세사리: 플립커버, 북커버 외 (15%)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판매단가 추이 |
원재료 | ▷ 키패드 원재료 : 통라바, SUS 및 금속단조물 등(41%) ▷ 부자재 : 라바, 스폰지, 사출, 스프레이, 외주가공 등(32%) ▷ 회로물/기구물 원재료 : 보호회로 및 와이브로 회로물 등 (19%)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실적변수 | ▷ 삼성전자 휴대폰 판매량 증가시 수혜 ▷ 신흥국의 피처폰 수요 증가시 키패드 부문 수혜 |
리스크 | ▷ IT 부품 제조업의 특성상 고객사 완제품 판매량에 따른 실적 변동성이 매우 클 수 있음 ▷ 키패드 수요 축소 추세 |
신규사업 | ▷ 휴대폰, 태블릿PC 보호용 커버 제조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서원인텍의 정보는 2014년 04월 15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서원인텍]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서원인텍] 주요주주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김재윤 | 본인 | 보통주 | 6,300,000 | 33.87 | 6,300,000 | 33.87 | - |
김영환 | 부친 | 보통주 | 2,410,000 | 12.96 | 2,410,000 | 12.96 | - |
최영애 | 모친 | 보통주 | 630,000 | 3.39 | 630,000 | 3.39 | - |
김지현 | 형제 | 보통주 | 630,000 | 3.39 | 630,000 | 3.39 | - |
김재희 | 형제 | 보통주 | 630,000 | 3.39 | 630,000 | 3.39 | - |
강동우 | 임원 | 보통주 | 42,000 | 0.23 | 42,000 | 0.23 | - |
계 | 보통주 | 10,642,000 | 57.21 | 10,642,000 | 57.21 | - | |
우선주 | 0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