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차트 우량주 분석

[V차트 우량주] 유니퀘스트, 영업익과 순익이 벌어진 이유는?

[아이투자 강현정]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유니퀘스트는 비메모리반도체 솔루션 공급업체로, 해외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사의 국내 대리점 역할을 한다. 제품 뿐 아니라 기술지원, 교육 등의 종합적인 솔루션도 공급한다. 디지털가전, 통신기기 및 네트워크, 무선단말기, 컴퓨터, 차량 및 산업 등 다양한 전방산업을 두고 있다. 올해 2분기 말 유니퀘스트는 연결대상 종속회사 7곳, 관계기업 4곳을 보유하고 있다.

▷ 영업이익하고 순이익 차이...왜?

2011년 이전 유니퀘스트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연결 지배기준)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영업이익과 순이익 차이는 대폭 늘었다. 올해 2분기 연환산(최근 4개분기 합산) 기준 영업이익은 102억원, 순이익은 226억원이다. 순이익이 영업이익의 2배가 넘는다.



영업외손익률 그래프를 보면 영업외손익에 크게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는 없다. 따라서 자회사 영향임을 유추할 수 있다. 2011년 부터 IFRS 도입으로 연결 재무제표에 자회사 실적이 합산돼 작성되고 있기 때문에 영업외손익률 그래프에 따로 표시되지 않는다.

특히 관계회사 가운데 드림텍이 영업익과 순이익 차이를 벌린 것으로 보인다. 유니퀘스트은 지난 2007년 4월 '드림텍' 지분 45%(현재 43.5%)를 90억원에 취득해 자회사로 편입했다. 2011년부터 드림텍의 매출액과 순이익이 크게 늘어나기 시작했다. 스마트폰 보급이 늘어나면서 드림텍의 주요 제품인 PBA(Printed Board Assembly Print Board, 가공 처리된 회로기판)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PBA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 모터, 스피커, 터치, 터치센서 등을 탑재한 제품이다. 키패드 혹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중앙연산장치나 메인보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경량화, 고기능이 부각되면서 PBA의 수요도 덩달아 늘었다.

이 결과 드림텍의 매출액은 2010년 2319억원에서 지난해 7521억원으로, 같은 기간 순이익은 59억원에서 583억원으로 증가했다. 이 결과 유니퀘스트의 지분법평가손익도 늘었다. 2010년 34억원이던 지분법평가손익은 지난해 246억원으로 증가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의 실적은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유니퀘스트의 연결 기준 실적에 반영되며, 관계회사는 보유한 지분율만큼 순이익만 지분법으로 계상된다.



다만 올해 들어 스마트폰 시장 성장이 둔화되면서 드림텍의 실적도 꺾였다. 올해 상반기 드림텍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 줄어든 3047억원을, 순이익은 52% 급감한 149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에 따라 관계기업평가손익은 63억원으로 54% 감소했다.

▷ 순이익률 따라 ROE 등락

유니퀘스트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순이익률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자산회전율, 재무레버리지, 순이익률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ROE의 상승, 혹은 감소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2011년 2분기 4.12%까지 하락했던 유니퀘스트의 ROE는 이후 꾸준히 높아져 2012년 3분기 18.48%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률이 1.78%에서 10.18%까지 높아졌다. 하지만 최근 실적 부진으로 순이익률이 하락하면서 ROE 또한 낮아지고 있다. 올해 2분기 연환산 기준 ROE는 13.91%로 2011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주가순자산배수(PBR)는 0.67배이며, 2011년 비슷한 ROE를 기록할 당시 PBR은 0.5배 수준을 기록했다.



▷ 차입금 거의 없어...재무구조 우량

유니퀘스트의 자산구조지수를 보면 기자본 - 기자본 - 정자산 순서로 배열돼 있으며, 장기자본과 자기자본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장기자본과 자기자본이 거의 차이가 없다. 이는 비유동부채(장기부채)를 별로 쓰지 않고, 자기자본 만으로도 고정자산 투자를 감당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유니퀘스트는 차입금이 거의 없다. 올해 2분기 말 차입금은 113억원으로,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다.

▷ 주식MRI 상위 9%

아이투자가 개발한 주식MRI로 분석한 유니퀘스트의 투자 매력도 종합 점수는 25점 만점에 17점으로 전체 상장기업 중 149위(상위 9%)를 차지했다.

중장기적으로 이익 성장률이 시장평균으로 중간성장형 기업에 속하며 재무 안전성은 높아 안전한 편이다. 또한 소비자 독점력이 높아 경기 변동에 관계 없이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민연금 보유기업]

[한국투자교육연구소] 국민연금이 증시 '큰손'으로 주목받으면서 국민연금이 투자하는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다.

국민연금이 운용하는 자산총액은 2014년 4월말 기준 435조7000억원이다. 자산의 19%인 84조원을 국내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국내외 주식투자와 대체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며 2018년에는 국내 주식투자 20% 이상, 해외 주식투자를 10%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국민연금이 2014년 4월말 기준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기업은 260개다.

국민연금은 3개월마다 보유내역과 변동사항을 공시한다. 보고마감일은 분기가 끝난 다음 달(1월, 4월, 7월, 10월) 10일까지다. 5% 이상 신규 보유 등 개별종목에 대한 보고의무가 발생해도 바로 공시하지 않고, 해당 분기 보고일에 한꺼번에 공시한다.

이는 보유종목이 많은 국민연금에 보고 특례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세부 변동내역에서 매매단가를 생략할 수 있다.

국민연금은 2013년 8월 말 '10%'룰'이 완화됐다. 기존엔 국민연금이 개별기업의 지분율을 10% 이상으로 확대할 경우 매매내역을 5일 이내에 공시의무가 있어 지분율을 10% 이상 늘리기 꺼려했다. 하지만 이젠 10일 이내에 공시하면 돼 국민연금의 지분 10% 확보가 많이질 것으로 보인다.

[신규 보고 및 5% 미만 보고 종목과 지분율 - 2014년 1분기]

5% 신규 : 엑세스바이오KDR 8.34%, KNB금융지주 7.32%, 삼기오토모티브 7.22%, LG생활건강 7.18%, 백산 6.15%, 가온전선 6.11%, 씨티씨바이오 6.08%, 서부T&D 5.20%, MDS테크 5.19%, 삼천리자전거 5.15%, 오스템임플란트 5.10%, 삼양식품 5.07%, 두산인프라코어 5.06%, 신세계푸드 5.06%, 경인양행 5.04%, 현대비앤지스틸 5.04%, KJB금융지주 5.02%, 신원 5.02%, 코라오홀딩스 5.02%, 한전기술 5.02%, 대상홀딩스 5.01%, 스카이라이프 5.01%, 한화케미칼 5.01%, 파이오링크 5.00%

5% 미만: KH바텍 3.55%, 모두투어 4.06%, 나노신소재 4.02%, 테크윙 4.11%, DGB금융지주 3.93%, ITX시큐리티 3.95%, 일진디스플 3.98%, 대덕전자 4.02%, S-Oil 4.01%, 파라다이스 4.28%, 와이지엔터테인먼트 4.32%

[보유 지분율 상위 30종목 - 2014년 1분기 기준]

코스맥스비티아이 13.57%, 종근당 13.53%, 한솔케미칼 13.51%, 하나투어 13.50%, 대림산업 13.49%, AJ렌터카 13.26%, 삼성물산 13.22%, 한솔제지 13.04%, 만도 12.95%, 유니퀘스트 12.81%, LG이노텍 12.70%, 동양기전 12.66%, CJ제일제당 12.64%, SBS 12.63%, 현대건설 12.63%, 이지바이오 12.61%, 대상 12.56%, 동아에스티 12.46%, SKC 12.45%, 한솔테크닉스 12.45%, NHN엔터테인먼트 12.33%, 롯데푸드 12.28%, 풍산 12.21%, LS 12.20% , 현대위아 12.16%, 애경유화 12.00%, LG하우시스 11.86%, LG상사 11.86%, 한섬 11.79%, 유니드 11.78%

[국민연금 보유기업] 관련종목

주가 : 11월 12일 오전 10시 8분 현재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코스맥스비티아이 45,950원 ▼1,150원 (-2.4%) 18 -4 41 38.5 12.08 31.4%
종근당 64,800원 ▲100원 (0.2%) 0 0 N/A 14.5 1.91 13.2%
한솔케미칼 33,700원 ▼250원 (-0.7%) 1,364 126 91 22.4 1.91 8.5%
하나투어 70,300원 ▲900원 (1.3%) 1,534 147 138 26.4 4.36 16.6%
대림산업 72,100원 ▼1,500원 (-2%) 37,824 1,036 769 N/A 0.53 -2.8%
AJ렌터카 17,450원 ▼100원 (-0.6%) 2,402 208 87 20.4 1.96 9.6%
삼성물산 76,600원 ▲900원 (1.2%) 91,715 2,057 2,572 35.8 1.10 3.1%
한솔제지 9,100원 ▲110원 (1.2%) 6,587 286 3 N/A 0.52 -2.2%
한라홀딩스 70,200원 ▼300원 (-0.4%) 16,309 701 1,110 3.6 0.34 9.5%
유니퀘스트 8,360원 ▲220원 (2.7%) 1,265 60 108 4.9 0.68 13.9%
LG이노텍 94,100원 ▲700원 (0.8%) 26,459 728 600 29.4 1.36 4.6%
동양기전 8,010원 0원 (0%) 3,416 185 206 7.3 0.73 10%
CJ제일제당 352,000원 ▲5,500원 (1.6%) 21,818 1,790 771 29.6 1.58 5.3%
SBS 26,000원 0원 (0%) 3,919 -141 -68 52.1 0.87 1.7%
현대건설 45,100원 ▼750원 (-1.6%) 54,274 2,574 2,172 10.9 0.98 9.1%
이지바이오 5,090원 ▼20원 (-0.4%) 597 115 275 6.7 1.04 15.5%
대상 38,150원 ▲800원 (2.1%) 7,831 649 565 10 1.76 17.5%
동아에스티 81,500원 ▼1,500원 (-1.8%) 0 0 N/A 19 1.36 7.2%
SKC 25,950원 ▲900원 (3.6%) 9,879 723 403 13.4 0.76 5.7%
한솔테크닉스 11,900원 ▲800원 (7.2%) 2,808 9 -29 N/A 1.40 -7%
NHN엔터테인먼트 70,000원 ▼1,600원 (-2.2%) 1,300 142 171 30.5 1.08 3.6%
롯데푸드 641,000원 ▼2,000원 (-0.3%) 8,092 388 327 13 1.09 8.4%
풍산 25,950원 ▲50원 (0.2%) 0 0 N/A 11 0.72 6.6%
LS 58,400원 ▼1,000원 (-1.7%) 712 507 426 11.2 0.80 7.1%
현대위아 181,500원 ▲3,000원 (1.7%) 34,111 2,420 2,176 10.3 1.89 18.3%
애경유화 77,900원 ▼1,500원 (-1.9%) 4,475 247 192 7.2 1.43 19.8%
LG하우시스 157,500원 ▼1,500원 (-0.9%) 12,561 733 590 17.2 1.75 10.2%
LG상사 25,650원 ▼350원 (-1.4%) 20,793 623 -124 N/A 0.71 -2.3%
한섬 29,750원 ▼450원 (-1.5%) 2,303 201 173 19.8 1.00 5%
유니드 59,500원 ▲500원 (0.9%) 2,689 267 334 8.2 0.76 9.3%
* 기간 : 2014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유니퀘스트]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비메모리 반도체 유통 및 솔루션 제공업체
사업환경 ▷ IT기기의 소형화, 고급화 등으로 메모리 및 비메모리 반도체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
▷ 무선통신과 멀티미디어 산업의 발전 또한 반도체 수요를 늘리는 요소
경기변동 ▷ 반도체산업은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거시경제 순환 사이클과 연관성이 비교적 큼
주요제품 ▷ 상품매출: 반도체IC 및 기타전기 및 영상관련부품 등 (99%)
*괄호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비메모리 반도체 유통 및 솔루션 제공회사라 원재료가 없음
실적변수 ▷ 전방산업(IT) 경기호황시 수혜
▷ 비메모리 반도체 기술향상시 수혜
▷ 자회사의 실적 호조시 수혜
리스크 ▷ 메모리 산업은 경기변동 및 수요·공급에 따른 실적 변동이 큰 편
신규사업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유니퀘스트의 정보는 2014년 04월 14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유니퀘스트]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6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1,265 2,112 1,994 2,230
영업이익 60 69 81 92
영업이익률(%) 4.7% 3.3% 4.1% 4.1%
순이익(연결지배) 108 270 191 132
순이익률(%) 8.5% 12.8% 9.6% 5.9%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4.85
이시각 PBR 0.68
이시각 ROE 13.91%
5년평균 PER 6.38
5년평균 PBR 0.77
5년평균 ROE 12.49%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유니퀘스트] 주요주주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임 창 완 본인 보통주 5,987,500 45.19 5,987,500 44.55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율 감소
이 혜 숙 친인척 보통주 75,922 0.57 75,922 0.56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율 감소
김 태 욱 임원 보통주 38,610 0.29 0 0.00 임원 사임으로 특수관계인 제외
앤드류김 임원 보통주 21,960 0.17 51,960 0.39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소유주식수 증가
이 근 배 임원 보통주 0 0.00 30,000 0.22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소유주식수 증가
보통주 6,123,992 46.22 6,145,382 45.72 -
우선주 0 0.00 0 0.00 -
[2013년 12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