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에버다임은 건설기계와 특수차량을 만드는 업체로 1994년 설립됐다. 사업 초기엔 중고 중장비 유통에 주력했지만, 이후 제조업체로 탈바꿈했다. 최대주주는 신한제2호사모투자전문회사로 특수관계인을 포함해 지분 54.2%(2014년 2분기 말 기준)를 보유하고 있다. 이외 5% 이상 주주로는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6.27%)이 있다.건설기계 부문은 어태치먼트, 타워크레인 등이 주력 품목이다. 어태치먼트는 굴삭기에 부착해 땅을 파거나 돌을 부술 때 사용하는 공구이며, 타워크레인은 중량물을 고층으로 운반하는 장비다. 특수차량은 콘크리트펌프트럭, 소방차가 대표적이다. 콘크리트펌프트럭은 콘크리트믹스를 고압으로 고층으로 쏘아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 암반이나 토사에 구멍을 뚫는 락드릴, 중고건설기계를 유통하는 중장비 사업도 운영한다. 반기 말 매출 비중은 건설기계 26%, 특수차량 48%, 중장비 유통 18%, 드릴 8%다.

▷ 2010년부터 매출액 꾸준히 성장
에버다임의 매출액은 2010년부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차량 부문 매출액이 크게 늘었다. 신흥국들이 고층빌딩을 짓기 시작하면서 콘크리트 펌프카의 수요가 증가한 결과로 보인다. 에버다임의 수출비중은 60%로 높다. 여기에 국내 소방법이 강화되며 소방차 수요가 늘어난 점도 차량부문 매출 증가에 보탬이 된 것으로 보인다.


올해에도 차량부문이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올해 상반기까지 차량 부문 매출액은 7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8%로 지난해 44% 대비 높아졌다. 전체 매출액은 1550억원으로 15% 증가했다.
매출액과 같이 개선되던 영업이익은 올해 2분기 감소했다. 매출원가가 더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올해 2분기 에버다임의 매출액은 7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억원(2%) 늘어난데 반해, 매출원가는 52억원(9%) 증가한 651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매출원가율(매출원가/매출액)은 78.1%에서 83.4%로 높아졌다.
매출액, 영업이익과 달리 순이익은 다소 변동이 심하다. 2008년~2009년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났음에도 파생상품 영향으로 순이익은 증가하지 못했다. 에버다임은 수출비중이 커 환율에 영향을 받는다. 판매대금을 외화로 받기 때문에 환율이 하락하면 외화관련 손실이 발생한다. 이에 환율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과거 키코(KIKO) 상품에 가입했었다. 키코는 환율이 일정 범위 안에 있을 때 미리 정한 환율에 약정금액을 팔 수 있는 상품이다. 환율이 정해진 상한선을 넘어서면 행사가로 계약금액의 2배~3배를 은행에 매도해야 해 손실 폭이 크게 늘어난다. 당시 환율이 오르면서 손실이 크게 발생했다.
이후엔 외환 부문이 순이익에 영향을 주고 있다. 에버다임은 외화자산이 외화부채보다 많이 환율이 오르면 손실이 발생한다. 올해 상반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순이익이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 3일 에버다임은 개선된 실적을 내놓았다.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액은 8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73억원으로 57.3% 늘었고, 지배지분 순이익은 66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상대적으로 마진이 높은 대형 제품 매출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환율이 오르면서 순이익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관련기사 ☞ [즉시분석] 에버다임,'급등'...3Q 실적, 예상치 '상회' ).
▷ 당좌자산↑...대부분 매출채권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은 대부분 당좌자산으로 쌓였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당좌자산은 902억원으로, 전체 자산의 33.7%다. 이 가운데 863억원이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이다. 2010년부터 매출채권 회전일수가 길어졌지만, 지난해부터 하락했다. 2분기 말 기준 매출채권 회전일수는 111일이다. 일반적으로 매출채권 회전일수가 90일 ~ 180일 경우 양호하다고 판단한다. 특히 매출채권 회전일수가 낮아진다는 것은 점점 매출채권이 현금으로 들어오기까지 기간이 짧아진다는 의미이므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에버다임은 지난 2006년부터 배당성향이 20%로 일정했다. 배당성향은 당기 순이익에서 얼마만큼을 배당금으로 지급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배당성향이 일정할 경우 순이익이 늘어나면 배당금이 증가한다. 실제 지난해 순이익이 늘어나면서 배당금도 170원에서 190원으로 늘었다.


▷ 현금창출력 확인 필요
다만 에버다임의 현금창출력 부문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지난해 3분기부터 에버다임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를 기록하고 있다. 매출액이 늘어나면서 매출채권이 증가한 결과다. 차입금이 늘어나면서 재무활동 현금흐름 또한 (+)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다시 차입금은 감소하고 있으며, 이자보상배율 또한 7.9배로 높은 수준이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설기계 부품 관련 기업]
[한국투자교육연구소] 건설기계란 건설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기계다. 굴삭기, 불도저와 같은 토공·기초기계와 크레인, 콘크리트펌프트럭과 같은 운반·하역기계로 나뉜다.
건설기계부품은 건설기계에 장착하는 부품으로 크게 1) 유압실린더, 2) 무한궤도식 하부주행체 부품, 3) 어태치먼트(Attachment), 4) 기타 특수용 부품으로 나눌 수 있다.
1) 유압실린더는 유압의 특성을 활용한 제품으로 '파고, 부수고, 뚫는' 작업을 할 때' 동력을 전달·제어하는 핵심 부품이다. 신제품 생산시 장착한 후 2~3년에 한 번씩 교체한다.
2) 하부주행체는 건설기계의 무게를 버티고 엔진구동력을 전달해 기계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한궤도식 하부주행체('탱크'식 바퀴) 부품에는 롤러, 링크, 트랙슈, 아이들러 등이 있다. 신제품 생산시 장착한 후 1~2년에 한 번씩 교체한다.
3) 어태치먼트는 도로를 깨거나 건물을 부술 때 사용하는 유압브레이커, 유압크러셔를 말한다. 유압실린더, 하부주행체 부품과 달리 건설기계 소유주가 필요할 때 따로 구매하는 부가품이다. 건설기계 생산량보다는 주택·토목 공사 활성화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다.
4) 기타 특수용 부품에는 트럭 크레인, 콘크리트펌프가 있다. 크레인은 고층으로 물건을 옮기는 장치고, 콘크리트펌프는 고층으로 콘크리트를 쏘아 올리는 장치다. 국내 트럭 크레인, 콘크리트펌프 업체들은 완성차 업체에서 트럭을 구매한 후 크레인과 콘크리트펌프를 장착해 완제품을 판매한다.
[관련 기업]
ㅇ 유압실린더 : 동양기전
ㅇ 하부주행체 부품 : 진성티이씨, 대창단조, 동일금속, 흥국
ㅇ 어태치먼트 : 수산중공업, 에버다임
ㅇ 기타 특수용 : 동양기전, 에버다임, 수산중공업
건설기계부품은 건설기계에 장착하는 부품으로 크게 1) 유압실린더, 2) 무한궤도식 하부주행체 부품, 3) 어태치먼트(Attachment), 4) 기타 특수용 부품으로 나눌 수 있다.
1) 유압실린더는 유압의 특성을 활용한 제품으로 '파고, 부수고, 뚫는' 작업을 할 때' 동력을 전달·제어하는 핵심 부품이다. 신제품 생산시 장착한 후 2~3년에 한 번씩 교체한다.
2) 하부주행체는 건설기계의 무게를 버티고 엔진구동력을 전달해 기계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한궤도식 하부주행체('탱크'식 바퀴) 부품에는 롤러, 링크, 트랙슈, 아이들러 등이 있다. 신제품 생산시 장착한 후 1~2년에 한 번씩 교체한다.
3) 어태치먼트는 도로를 깨거나 건물을 부술 때 사용하는 유압브레이커, 유압크러셔를 말한다. 유압실린더, 하부주행체 부품과 달리 건설기계 소유주가 필요할 때 따로 구매하는 부가품이다. 건설기계 생산량보다는 주택·토목 공사 활성화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다.
4) 기타 특수용 부품에는 트럭 크레인, 콘크리트펌프가 있다. 크레인은 고층으로 물건을 옮기는 장치고, 콘크리트펌프는 고층으로 콘크리트를 쏘아 올리는 장치다. 국내 트럭 크레인, 콘크리트펌프 업체들은 완성차 업체에서 트럭을 구매한 후 크레인과 콘크리트펌프를 장착해 완제품을 판매한다.
[관련 기업]
ㅇ 유압실린더 : 동양기전
ㅇ 하부주행체 부품 : 진성티이씨, 대창단조, 동일금속, 흥국
ㅇ 어태치먼트 : 수산중공업, 에버다임
ㅇ 기타 특수용 : 동양기전, 에버다임, 수산중공업
[건설기계 부품 관련 기업] 관련종목
주가 : 11월 7일 오전 10시 48분 현재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동양기전 | 7,720원 | ▲30원 (0.4%) | 3,416 | 185 | 206 | 7 | 0.70 | 10% |
진성티이씨 | 5,330원 | ▲310원 (6.2%) | 859 | 79 | 50 | 21.9 | 1.56 | 7.1% |
대창단조 | 43,800원 | ▲1,450원 (3.4%) | 1,012 | 95 | 80 | 6.2 | 0.70 | 11.4% |
동일금속 | 9,160원 | ▲140원 (1.6%) | 366 | 3 | 41 | 11.2 | 0.71 | 6.3% |
흥국 | 3,640원 | ▼15원 (-0.4%) | 320 | 20 | 19 | 8.1 | 0.49 | 6.1% |
수산중공업 | 1,345원 | ▲20원 (1.5%) | 588 | 46 | 51 | 12.7 | 0.79 | 6.2% |
에버다임 | 7,370원 | ▲100원 (1.4%) | 1,478 | 87 | 37 | 17.4 | 0.97 | 5.6% |
* 기간 : 2014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에버다임]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타워크레인, 콘크리트 펌프트럭, 유압브레이커 등 건설중장비 제조업체 |
---|---|
사업환경 | ▷ 2013년 1분기부터 중국, 미국, 일본 건설 중장비 판매량 완만하게 회복 추세 ▷ 중동, 동남아시아, 남미 등 신흥국가를 중심으로 성장하는 추세 |
경기변동 | ▷ 경기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으로 국내외 건설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 차량부문(48%) : 콘크리트 펌프트럭, 소방차. 콘크리트 펌프트럭 가격(11년 2.56억원 → 12년 2.55억원→ 13년 3억원→ 14년 2분기 3억원) ▷ 건설기계 부문(26%) : 유압브레이커, 유압크러셔, 타워크레인 등. 유압브레이커 가격(11년 1001만원→ 12년 1008만원→ 13년 843만원 → 14년 2분기 844만원) ▷ 중장비 : 락드릴 및 락툴 (18%)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원재료 | ▷ 실린더 ▷ 피스톤 ▷ 감속기 ▷ 모타 |
실적변수 | ▷ 환율 상승시 수혜 ▷ 국내외 부동산 경기 활성화 시 수혜 |
리스크 | ▷ 주력 제품이 모두 건설업과 직접적으로 연관돼 부동산 경기에 따른 실적 변동이 클 수 있음 |
신규사업 | ▷ 자회사(에버다임락툴) 통해 공압해머 생산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에버다임의 정보는 2014년 09월 24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에버다임]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에버다임] 주요주주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신한제2호사모투자전문회사 | 본인 | 보통주 | 6,944,444 | 38.76 | 6,944,444 | 38.76 | - |
에스에이치피이홀딩즈투 유한회사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147,548 | 6.41 | 1,147,548 | 6.41 | - |
전병찬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957,050 | 5.34 | 957,050 | 5.34 | - |
이창환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54,900 | 0.86 | 154,900 | 0.86 | - |
임종혁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88,016 | 0.49 | 88,016 | 0.49 | - |
박채규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73,609 | 0.41 | 73,609 | 0.41 | - |
유승종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70,656 | 0.39 | 70,656 | 0.39 | - |
조동현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66,628 | 0.37 | 66,628 | 0.37 | - |
임명진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62,621 | 0.35 | 62,621 | 0.35 | - |
강덕환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60,000 | 0.33 | 60,000 | 0.33 | - |
정평기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47,721 | 0.27 | 37,721 | 0.21 | 주1) |
최동현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22,000 | 0.12 | 22,000 | 0.12 | - |
박충수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20,000 | 0.11 | 20,000 | 0.11 | - |
계 | 보통주 | 9,715,193 | 54.2 | 9,705,193 | 54.2 | - | |
기타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