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선진은 배합사료사업 및 식육사업을 한다. 2011년 1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배합사료 및 식육사업부를 인적 분할해 신설 법인으로 설립됐다. 매출비중은 올해 상반기 배합사료가 52%, 식육제품이 48%다. 배합사료 시장은 농협이 시장점유율 30%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선진 등 기타 15여개 업체가 2%~7%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선진의 시장점유율은 2.9%로 8위다. 배합사료는 광고보다는 대인판매체계로 배합사료 품질 및 서비스 등에 영향을 받는다. 선진은 전국적인 판매망을 구축하고 물류비 감소를 위해 전국 5개소 물류센터를 운용하고 있다. 배합사료의 원재료는 옥수수, 소맥, 대두박으로 대부분 미국, 중국, 남미 등에서 수입한다. 따라서 환율변동에 영향을 받는다.
식육사업은 돈육브랜드 ‘선진포크’를 현대백화점,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매장에 납품하고 있다. 선진은 사료공급, 양돈, 식육유통에 이르기까지 수직적 계열화를 구축, 관련농장의 돼지를 약 70% 사용해 고급화를 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업체는 일반 농장과 계약한 돼지를 사용한다.
▷ 점유율 상승으로 실적 성장
선진의 실적은 꾸준히 성장했다. 점유율을 높인 덕분으로 보인다. 선진의 배합사료 시장 점유율은 2011년 1.6% → 2012년 2.4% → 2013년 2.9%로 꾸준히 높아졌다. 식육사업 부문에서도 점유율을 꾸준히 높여나갔다. 2011년 돈육 브랜드육에서 13%를 차지하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22%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생산량이 늘었다. 2011년 27만톤이던 배합사료 생산량은 지난해 41만톤으로, 같은 기간 식육제품 생산량은 3만톤에서 6만톤으로 늘었다. 생산량 증가가 판매량 증가로 이어지면서 2011년 2547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 5221억원으로,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53억원에서 285억원으로 늘었다.


한편, 선진의 순이익은 환율에 영향을 받는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0% 오르면 61억원 가량 손실이, 원/유로 환율이 10% 상승하면 1억5000만원 가량 손실이 발생한다.


▷ 높은 가동률에 따라 시설투자 꾸준 & 매출채권 회전일수↓
선진의 배합사료 공장 가동률은 90% 이상이며, 식육 공장 가동률은 125%로 100%를 넘는다. 이에 따라 선진은 꾸준히 시설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2010년 말부터 2012년 7월 말까지는 경북 칠곡군에 235억원 규모의 시설투자를 단행했고, 2012년 4월 말부터 지난해 말까지는 전북 군산시에 250억원 규모의 공장을 신설했다. 전북 군산의 투자규모는 올해 8월 말까지로 미뤄졌으며, 투자규모 또한 330억원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까지 군산에 투자된 금액은 299억원이다. 이에 따라 2011년 292억원이던 유형자산은 올해 2분기 말 688억원으로 늘었다.


선진은 당좌자산도 많이 보유하고 있다. 올해 2분기 말 선진의 당좌자산은 1726억원으로, 전체 자산의 52%에 해당한다. 당좌자산은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이 824억원(당좌자산의 48%), 단기금융자산이 566억원(33%), 현금및현금성자산 337억원(19%)으로 구성돼있다. 당좌자산에서 가장 비중이 큰 매출채권은 잘 회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분기 79일까지 높아졌던 매출채권 회전일수는 올해 2분기 말 53일로 감소했다.
▷ 영업이익으로 이자 갚을 수 있는 능력 ‘충분’
올해 2분기 말 선진의 차입금은 1198억원으로,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6.4%다. 부채비율은 101.9%로 100%를 넘는다. 다만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인 이자보상배율은 24.6배로 높은 편이다.


▷ 이익과 함께 주가 상승
선진의 이익이 증가하는 것과 함께 주가도 상승했다. 현재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4.98%로 2012년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가순자산배수(PBR)는 2.03배, 주가수익배수(PER)는 8.13배로 사상 최고치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닭고기, 육류 및 배합사료업]
[한국투자교육연구소] 닭고기 소비는 매년 10% 이상 성장해, 돼지고기나 소고기 성장률을 크게 앞서며 미래 식품으로 자리 잡아 나가고 있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특히 하림, 마니커, 동우는 사료에서 종계, 도계, 육계, 가공 판매까지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를 통해 수익성이 개선, 안정화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육계는 여름철 대표 보양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월드컵, 올림픽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시 매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며 웰빙 문화 트렌드로 매년 수요량이 5% 이상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조류 독감이나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이 발생하면 도살 처분해야 하는 리스크가 있다. 관련 질병 소식에 따라 해당기업의 주가가 급등락 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육류 및 배합사료업 주요 기업]
육류 : 하림, 마니커, 동우, 선진
사료 : 팜스코, 우성사료, 팜스토리, 고려산업, 한일사료, 이지바이오
육계는 여름철 대표 보양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월드컵, 올림픽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시 매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며 웰빙 문화 트렌드로 매년 수요량이 5% 이상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조류 독감이나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이 발생하면 도살 처분해야 하는 리스크가 있다. 관련 질병 소식에 따라 해당기업의 주가가 급등락 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육류 및 배합사료업 주요 기업]
육류 : 하림, 마니커, 동우, 선진
사료 : 팜스코, 우성사료, 팜스토리, 고려산업, 한일사료, 이지바이오
[닭고기, 육류 및 배합사료업] 관련종목
주가 : 10월 31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하림 | 4,255원 | ▼55원 (-1.3%) | 3,483 | -24 | -7 | 21.8 | 1.13 | 5.2% |
마니커 | 568원 | ▼8원 (-1.4%) | 1,319 | -72 | -85 | N/A | 0.61 | -5.2% |
동우 | 3,300원 | ▼5원 (-0.2%) | 963 | 2 | -30 | 17.3 | 0.64 | 3.7% |
선진 | 38,000원 | ▼1,100원 (-2.8%) | 2,831 | 162 | 185 | 7.8 | 1.95 | 25% |
팜스코 | 16,600원 | ▲100원 (0.6%) | 4,035 | 167 | 193 | 14 | 2.26 | 16.1% |
팜스토리 | 1,480원 | ▲10원 (0.7%) | 2,040 | 141 | 124 | 4.8 | 0.93 | 19.5% |
고려산업 | 2,365원 | ▼80원 (-3.3%) | 896 | 65 | 64 | 6.1 | 0.83 | 13.7% |
한일사료 | 1,620원 | ▲185원 (12.9%) | 654 | 17 | 46 | 4.8 | 0.79 | 16.6% |
이지바이오 | 5,640원 | ▲90원 (1.6%) | 597 | 115 | 275 | 7.3 | 1.13 | 15.5% |
* 기간 : 2014년 1월~6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선진]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배합사료·식육·육가공으로 수직 계열화된 축산 기업 |
---|---|
사업환경 | ▷ 배합사료 : 90년대 10%대 외형성장 지속, 97년 기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 현재 정체 상태 ▷ 식육 : 중소규모 회사들 난립으로 경쟁심화, 이회사는 시설현대화와 수직계열화로 경쟁력 확보 ▷ 돈육브랜드 '선진포크' 보유, 1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 |
경기변동 | ▷ 배합사료 : 경기 영향 받지 않는 편이나 계절에 따라 동물의 식욕저하 요인이 있음 ▷ 식육 : 경기 영향 받지 않음 |
주요제품 | ▷ 배합사료(52%) 가격(원/톤) : '12년 57만606원 → '13년 55만5078원 → '14년 2분기 54만4667원 ▷ 식육제품(48%) 가격(원/Kg) : '12년 4167원 → '13년 3701원 → '14년 2분기 4340원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원재료 | ▷ 배합사료 원재료(36%) : 옥수수 등 옥수수 가격(원/톤) : '12년 36만3000원 → '13년 32만2000원 → '14년 2분기 26만3000원 ▷ 식육제품 원재료(64%) : 육돈 외 비육돈 가격(원/톤) : '12년 288만1000원 → '13년 265만3000원 → '14년 2분기 329만6000원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실적변수 | ▷ 옥수수·소맥·대두박·비육돈 등의 원재료 가격 하락시 수혜 ▷ 원재료 대부분을 수입함으로 환율 하락시 수혜 |
리스크 | ▷ 원재료 가격 및 환율 상승 ▷ 부채비율 97%, 차입금 비중 36% 상회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선진의 정보는 2014년 09월 25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선진]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선진] 주요주주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제일홀딩스(주) | 최대주주 | 보통주 | 4,028,456 | 49.49 | 4,028,456 | 49.49 | - |
계 | 보통주 | 4,028,456 | 49.49 | 4,028,456 | 49.49 | - | |
우선주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