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은 지난 2001년 LG화학에서 분할 신설된 회사다. 치약, 세제, 주방용품 등의 생활용품과 화장품 사업을 주력으로 성장했다. 생활용품 부문에서는 국내 1위, 화장품에서는 아모레퍼시픽에 이어 2위를 점유하고 있다. 그러던 중 지난 2007년 코카콜라음료(옛 한국코카콜라보틀링) 인수를 시작으로 다이아몬드샘물, 더페이스샵, 해태음료, 더봄 등을 잇따라 인수하면서 몸집을 키웠다. 현재 음료 부문에서도 롯데칠성에 이어 국내 2위를 달리고 있다.
▷ 잇따른 M&A, 지배지분 순이익 > 영업이익...배당금도 순이익 따라 ↑
지난 2008년 1조3546억원이던 LG생활건강의 매출액은 지난해 2조2382억원으로 5년간 65% 성장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535억원에서 2381억원으로 55% 늘었다. 순이익(연결 지배지분 기준)도 1193억원에서 3573억원으로 199% 증가했다. 자회사의 실적이 반영되면서 순이익의 성장 폭이 상대적으로 컸고, 지난 2010년부터는 영업이익을 상회했다.
이처럼 이익이 늘어남에 따라 배당금도 덩달아 증액됐다. 지난 10년간 25%~35% 수준의 꾸준한 배당성향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지난 2004년 750원이던 배당금은 지난해 2750원으로 늘었다. 다만 주가도 오르면서 과거 최고 2.7%를 기록했던 시가배당률은 최근 1% 미만으로 낮아졌다. 지난해 시가배당률은 0.7%다.
▷ 자산구조, 투자자산 증가세 돋보여
잇따른 M&A(인수합병)를 진행함에 따라 LG생활건강의 자산 중에서 투자자산의 증가폭이 두드러진다. V차트의 이익축적지수를 보면 투자자산이 계단식으로 상승하는 점을 살펴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당좌자산과 유형자산의 변동 폭은 미미하다.
투자자산은 지난 2006년 347억원에 불과했으나 점진적으로 늘어나 지난2분기 1조3552억원으로 증가했다.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5%에서 52.5%로 확대됐다. 지난해 말 투자자산이 감소한 것은 코카콜라음료의 유상감자 영향이다.
▷ 차입금 적극 활용, 차입금 비중 43.5%...이자보상배율 7배
LG생활건강은 지분 인수에 차입금을 활용했다. 이에 따라 차입금은 지난 2007년 이후 증가세다. 차입금 비중도 함께 상승해 과거 20% 미만이었던 차입금 비중은 2분기 말 43.5%를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차입금 비중이 높지만 이자보상배율은 7배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상환하는데는 무리가 없는 수준이다. 부채비율 97%, 유동비율 155%로 단기적인 부채 상환능력도 양호한 편이다.
차입금 활용 내역은 현금흐름표에서도 드러난다. 과거 굵직한 투자 시점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를 기록하는 점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때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큰 폭의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다. 영업활동에서는 꾸준히 플러스(+)를 유지했다. 최근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를 기록한 것은 투자자산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 코카콜라음료 유상감자에 따라 현금이 유입됐기 때문이다.
▷ ROE & PBR 같이 하락세, PBR 5.22배
최근 수익성이 둔화되고 있는 점은 리스크다. 듀퐁분석으로 살펴보면 순이익률은 꾸준히 개선됐지만 재무레버리지와 자산회전율이 낮아지면서 자기자본이익률(ROE)이 2010년 30% 수준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다. 2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실적 기준 ROE는 22.7%다. 이처럼 ROE가 하락함에 따라 PBR도 종전보다 낮아졌다. 2일 종가 기준 LG생활건강의 PBR은 5.22배로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G생활건강]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화장품, 생활용품, 음료 사업을 하는 LG계열사 |
---|---|
사업환경 | ▷ 생활용품시장은 물량 기준 포화상태인 가운데 샴푸, 헤어케어, 바디케어 등 프리미엄 제품의 질적 성장이 이뤄지는 추세 ▷ 기능성화장품과 한방 및 자연주의 화장품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웰빙 열풍으로 관련 음료 시장 성장 전망. 커피와 생수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경기변동 | ▷ 전형적인 내수업종으로 국내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 화장품 (40%) 영업이익률 15% ▷ 생활용품 (36%) 영업이익률 12% ▷ 음료 (13%) 영업이익률 7%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
원재료 | ▷ 음료 (37%) ▷ 생활용품 (32%) ▷ 화장품 (31%)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
실적변수 | ▷ 제품 가격 인상시 수혜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
[LG생활건강]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LG생활건강] 주요주주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주)LG | 최대주주 | 보통주 | 5,315,500 | 34.03 | 5,315,500 | 34.03 | - |
차석용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22,000 | 0.14 | 22,000 | 0.14 | - |
차석용 | 특수관계인 | 우선주 | 10,000 | 0.48 | 10,000 | 0.48 | - |
계 | 보통주 | 5,337,500 | 34.17 | 5,337,500 | 34.17 | - | |
우선주 | 10,000 | 0.48 | 10,000 | 0.4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