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차트 우량주 분석

[V차트 우량주] LG하우시스, ROE 따라 PBR ↑

[아이투자 김구민]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LG하우시스는 지난 2009년 LG화학의 산업재 사업부문이 분할돼 설립된 회사다. 건축자재 및 자동차, 가전제품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기능성 소재를 생산한다. 주요 제품은 건축자재의 경우 창호, 인테리어 자재가 있다. 고기능 소재 부문은 고광택시트, 기능성 점접착제품, 자동차 부품 및 내장재 원단 등이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 비중은 건축자재 57%, 고기능 소재 41%, 공통부문 및 기타가 나머지를 차지한다.

▷ 생산능력 확대하며, 매출 성장

LG하우시스는 분할 이후 생산능력을 꾸준히 확대하면서 성장했다. 지난 2009년 분할 당시 연간 1조1650억원 규모였던 연간 생산능력은 지난해 1조9534억원으로 68% 확대됐다. 대규모 시설투자를 따로 공시하진 않았지만, 기계장치와 건물 등을 점진적으로 늘린 결과다.

지난 2009년 4419억원이던 LG하우시스의 유형자산은 지난해 6510억원으로 늘었다. 올해 2분기 말에는 7101억원으로 더욱 증가했다. 전체 자산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규모도 2009년 36%에서 올해 2분기 말 40.4%로 확대됐다.



이 기간 LG하우시스의 매출액은 1조4409억원에서 2조2860억원으로 59% 늘었다. 올해 들어서도 성장세는 이어졌다. 2분기 연환산(최근 4분기 합산) 매출액은 2조450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4% 증가했다.

▷ 원가율 개선으로 수익성 ↑

원가율이 개선되면서 수익성도 향상됐다. 지난 2010년 81.5%였던 매출원가율은 지난해 78.5%, 올해 2분기에는 77.5%까지 낮아졌다. 이에 따라 LG하우시스의 영업이익률은 2.8%에서 5.8%로 올랐다. 원가율 개선에는 원재료 가격 하락이 주로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LG하우시스 반기보고서에 기재된 주요 원재료 3개 품목의 가격 변동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2010년 이후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MMA의 경우 2011년 kg당 2588원에서 지난 2분기 2041원으로 21% 하락했다. 나머지 품목의 가격도 같은 기간 각각 20%, 13% 내렸다.



▷ ROE 따라 PBR 상승세...PBR 2.4배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LG하우시스의 순이익률도 올랐고, ROE(자기자본이익률)도 높아졌다. ROE를 듀퐁분석으로 분해하면 순이익률, 자산회전율, 재무레버리지로 구분된다. LG하우시스의 ROE개선은 순이익률 개선이 주로 반영됐다. 순이익률이 오르는 가운데 자산회전율과, 재무레버리지는 큰 변화가 없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수익성을 의미하는 ROE는 자산가치를 나타내는 PBR(주가순자산배수)과 관련성이 높다. ROE가 높을수록 PBR도 높은 경우가 많다. LG하우시스의 PBR은 ROE개선에 따라 주가가 오르면서 동반 상승하는 모습이다. 과거 6% 수준이던 ROE가 10%로 개선됐고, 1배 수준을 유지하던 PBR은 최근 2배를 넘어섰다. 25일 종가 기준 PBR은 2.41배다.

▷ 부채비율 100%↑, 이자 상환능력은 충분...현금흐름 우량

LG하우시스는 유형자산 투자에 차입금을 활용하고 있다. 2분기 말 기준 차입금 비중은 23%를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112%로 100%를 상회한다. 다만 유동비율은 138%로 100%를 넘어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많다. 또 이자보상배율이 7.3배로 영업이익만으로 이자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상황이다.



LG하우시스의 현금흐름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 투자활동과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각각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우량 기업의 형태다. 과거엔 차입금을 늘리면서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를 기록한 적도 있었다.



한편, 최근 LG하우시스는 4000만 달러(약 440억원)을 투자해 북미 자동차 원단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일정은 올해 7월부터 내년 12월 말까지다. 이를 통해 연간 600만제곱미터의 자동차원단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해 공급할 계획이다. 또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연구소를 신축한다. 여기에는 자기자본의 17.1%에 해당하는 1342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기간은 2014년 7월부터 2017년 5월까지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G하우시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건축자재 및 고기능소재 생산업체 (지난 2009년 LG화학에서 분할)
사업환경 ▷ 건축자재는 창호, 바닥재, 인조대리석 등을 생산,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제품에 집중
▷ 고기능소재는 가전표면재, 터치스크린 소재 등을 생산 최근 건축자재 부문 부진을 메꿔줌
▷ 주택 건설 및 부동산 시장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
경기변동 ▷ 건설경기 변동 및 정부 주택정책 등에 민감, 계절적인 요인에 영향 받음
주요제품 ▷ 건축자재 (57%) : 창호, 인테리어자재
▷ 고기능 소재, 부품 (41%) : 가전용 표면재, 공정용 접착재, 자동차 부품 등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원재료 ▷ 폴리염화비닐(PVC), 가소제 등 (100%): LG화학 등에서 매입
실적변수 ▷ 부동산 및 건설경기 활황시 수혜
▷ 주요 원재료(PVC, MMA등) 가격 하락시 수혜
리스크 ▷ 건설경기 부진시 제품 매출 감소
신규사업 ▷ 합작회사, 시공자회사, 해외공장 등 설립하며 사업다각화 진행 중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LG하우시스의 정보는 2014년 07월 02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LG하우시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6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12,561 22,860 20,740 20,625
영업이익 733 955 646 584
영업이익률(%) 5.8% 4.2% 3.1% 2.8%
순이익(연결지배) 590 732 290 466
순이익률(%) 4.7% 3.2% 1.4% 2.3%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23.91
이시각 PBR 2.44
이시각 ROE 10.20%
5년평균 PER 19.89
5년평균 PBR 1.27
5년평균 ROE 6.33%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LG하우시스]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주)LG최대주주보통주3,006,67330.073,006,67330.07-
오장수대표이사보통주5,6500.065,6500.06-
우선주-----
보통주3,012,32330.133,012,32330.13-
[2014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