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재무분석 도구인 'V차트'를 통해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코프라는 지난 1997년 설립돼 2010년 상장한 고기능성 폴리머 소재 제조사다. 고기능성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불리는 산업용 화학소재다. 자연에서 얻는 천연수지와 원유에서 얻을 수 있는 모노머(Monomer, 단량체)를 합성해 폴리머(Polymer, 합성수지)가 만들어지고, 이 폴리머에 여러가지의 보강재나 첨가제 등을 섞으면 목적에 알맞는 고기능성 폴리머가 생산된다.회사는 제품을 작은 알갱이인 칩 형태로 공급한다. 이를 받아서 소재 가공업체가 압출, 사출 등의 성형을 거치면 최종 제품이 완성된다. 코프라의 주요 제품은 폴리아미드(PA)와 폴리프로필렌(PP) 소재다. 이 2개 품목이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폴리아미드 소재의 비중이 전체 매출의 80% 가량으로 높다. 폴리아미드는 지난 1939년 미국 듀폰사가 섬유분야에 적용하면서 산업용으로 쓰이게 된 소재다. 마찰과 마모에 강하고, 내열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경량성을 갖고 있어 다양한 산업에 활용된다.

코프라는 자동차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03년 현대기아차의 제품 승인을 시작으로 다양한 자동차 부품용 소재 개발과 승인을 진행했고, 현재 매출의 80%를 자동차 관련 산업에서 거둔다. 폴리아미드 소재는 자동차 분야에서 소음방지를 위한 엔진 헤드커버, 변속기, 내장재, 라디에이터 탱크 등에 주로 쓰인다. 기존 금속소재 대비 가벼워 경량화 소재로 활용된다.
▷ 차량경량화 추세로 실적 개선세
자동차 생산량 확대 및 차량경량화 추세로 최근 폴리아미드 소재 수요가 증가했고, 코프라의 매출도 늘었다. 지난해 매출액은 913억원으로 상장 첫해인 2010년 683억원 대비 33.6%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성장세는 이어졌다. 22일 발표된 잠정 실적에 따르면 상반기 누적 매출액(연결 기준)은 51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5% 늘었다.
매출 증가와 더불어 이익도 늘었고 원가율 하락으로 이익률은 종전보다 높아졌다. 코프라의 영업이익은 지난 2010년 51억원에서 2013년 93억원으로 82%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원가율은 84.7%에서 82.9%로 낮아졌고, 영업이익률은 7.5%에서 10.2%로 올랐다. 원가율 개선에는 원재료 가격 하락이 주로 반영됐다. 화학업황 부진으로 코프라의 주요 원재료 PA66, PA6 등의 가격이 약세를 보인 것이다. PA66가격은 지난해 평균 2885원으로 2012년 대비 13% 내렸다.


▷ 2010년 대규모 증설, 현재 해외공장 설립중
코프라는 지난 2010년 경기도 화성에 신공장을 짓고, 생산능력을 연간 6만1500톤으로 종전(3만톤)보다 2배 이상 확대했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 유형자산 투자 없이 매출을 확대할 수 있었다. 지난해 말 기준 가동률(생산실적/생산능력)은 51.6%, 올해 1분기에는 58.9%로 현재 시설만으로도 추가적인 매출 확대 여력이 있다.
그러나 회사는 미국 해외법인을 설립하고 해외에서도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공장을 짓고있다. 이에 따라 최근 유형자산과 투자자산이 소폭 늘었다. 1분기 투자자산은 25억원으로 지난해말보다 17억원 늘었고, 유형자산은 183억원으로 14억원 증가했다. 자회사 투자시 개별기업의 유형자산에는 변화가 없고 투자자산만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회사측에 따르면 유형자산 증가는 미국 자회사에 설치할 기계장치를 국내서 매입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이를 미국으로 보내게 되면 투자자산으로 분류가 바뀔 것으로 보인다.

▷ 운영자금 조달 목적 BW발행, 영향은?
대규모 유형자산 투자가 없어 코프라는 이익잉여금을 대부분 당좌자산으로 쌓았다. 자산구조도 장기자본-자기자본-유형자산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과거 큰 차이가 없이 붙어있었던 장기자본과 자기자본이 지난해 벌어지게 됐다. 이는 지난해 7월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하면서 비유동부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BW발행 규모는 100억원, 목적은 운영자금 조달이다. 1분기 말 기준 신주인수권의 행사가액은 8413원, 행사가능주식수는 118만8636주다. 발행주식총수의 13.6%에 해당한다. 행사 기간은 2014년 7월 24일부터 2017년 6월 24일까지다.


BW발행과 자회사 투자 등으로 코프라의 현금흐름은 영업활동현금흐름과 재무활동현금흐름이 플러스(+), 투자활동현금흐름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투자활동에서 마이너스(-) 폭이 커지고 있다. 영업으로 번 돈에 차입금까지 보태 투자를 한 것으로 성장기 기업의 형태다.
재무구조도 우량하다. 1분기 말 기준 코프라의 유동비율은 363%, 부채비율은 48%다. 전체 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15%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은 100% 이상, 부채비율은 100% 미만이면 단기적인 재무 안전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한다.

▷ 주식MRI, 상위 16%...밸류에이션 매력은 낮아
투자지표는 과거 평균치보다 높은 상황이다. 21일 종가 기준 코프라의 주가수익배수(PER)는 12.6배, PBR은 2.06배다. 2010년 상장 이후 평균 PER 10.3배, PBR 1.52배를 모두 상회한다. 이에 따라 주식MRI 밸류에이션 점수도 0점을 기록하고 있다.

주식MRI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실시간 종목분석 도구다. MRI 종합 점수는 수익성장성과 재무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업의 이익 지속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업독점력과 적정주가 수준까지 함께 고려해 판단한다. 주식MRI 종합 점수는 25점이 최고 점수이며 높을수록 저평가 우량 기업이다. 또한 종합점수가 높을수록 5각형 모양의 도형 내부가 가득찬 그물 형태로 나타난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코프라]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자동차 경량화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고기능성 폴리머 소재 전문 기업 |
---|---|
사업환경 | ▷ SK케미칼, 코프라 지분 10.33% 투자 (2012년 10월15일) ▷ 고기능성 폴리머 소재는 내열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경량성을 지니고 있어 자동차, IT, 일반산업에 걸쳐 두루 사용 ▷ 자동차 경량화 추세로 고기능성 폴리머 소재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 |
경기변동 | ▷ 자동차, IT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 PA66 (57%) : 자동차 팬쉬라우드, 자동차 팬쉬라우드. 가격(11년 3726원 → 12년 3801원 → 13년 3516원) ▷ PA6 (25%) : 자동차 엔진커버, FEM 캐리어. 가격(11년 3630원 → 12년 3674원 → 13년 3516원) ▷ PP(15%) : 자동차 히터용 케이스. 가격(11년 1574원 → 12년 1563원 → 13년 1595원)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제품 가격 |
원재료 | ▷ PA66 : 신일테크 등에서 구입(9%), ASCEND 등에서 수입(23%) - 수입 가격(11년 4604원 → 12년 3911원 → 13년 4604원) ▷ PA6: 케이피켐텍 등에서 구입(29%), ATT 등에서 수입(3%) - 내수 가격(11년 3653원 → 12년 3027원 → 13년 2790원) ▷ PP(12%) : 삼성토탈 등에서 구입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원재료 가격 |
실적변수 | ▷ 완성차 판매 증가 시 수혜 ▷ 차량 경량화 수혜 ▷ 환율 하락 시 영업외 수익 발생 |
리스크 | ▷ 완성차 업체의 납품단가 인하 압력 ▷ 미행사 신주인수권 118만8636주(발행주식 수의 13.6%) - 행사가액 8413원, 행사가능기간 14.07.24~17.06.24 |
신규사업 | ▷ 진행중인 신규 사업 없음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코프라의 정보는 2014년 07월 21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코프라]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코프라] 주요주주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한상용 | 최대주주 본인 | 보통주 | 1,799,860 | 20.69 | 1,799,860 | 20.69 | - |
조영호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497,384 | 17.21 | 1,287,956 | 14.80 | - |
조인선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1,197,907 | 13.77 | 1,197,907 | 13.77 | - |
이연구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598,953 | 6.88 | 598,953 | 6.88 | - |
계 | 보통주 | 5,094,104 | 58.55 | 4,884,676 | 56.14 | - | |
우선주 | 0 | 0 | 0 | 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