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 중에 실적에 비해 주가가 덜 오른 기업을 소개합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동원F&B는 2000년 11월 동원산업으로부터 분할·설립된 식품 제조업체다. 최대주주인 동원엔터프라이즈가 특수관계인을 포함 지분 71.27%를 보유하고 있다.올해 1분기 기준 동원F&B는 조미식품을 만드는 동원홈푸드 포함 연결대상 종속회사 8곳을 보유하고 있다. 동원F&B와 연결대상 종속회사의 사업부문은 일반식품부문, 유통부문, 조미식품부문, 사료사업부문으로 나뉠 수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매출비중은 일반식품 77%, 유통 12.4%, 조미식품 6.7%, 사료 3.9%다.

동원F&B는 일반식품사업만 한다. 일반식품사업은 참치통조림, 햄통조림, 김 등을 만든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에 따르면 동원F&B 올해 1분기 기준 국내 참치통조림 시장에서 점유율 75.2%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 통조림 참치, 김 등도 20% 이상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동원F&B의 주력 제품은 참치통조림으로 전체 매출의 25% 가량을 담당한다. 이외 제품의 매출비중은 3%~6%다.
▷ 매출액 꾸준히 성장, 이익은 원재료 따라 증감

안정적인 매출과 달리 이익의 등락폭은 크다. 원재료인 참치 가격 영향이다. 동원F&B는 원양어업 업체로부터 수산물을 공급받아 가공해 참치통조림을 만든다. 이에 따라 참치가격에 영향을 받는다. 즉 통조림용 참치인 가다랑어 가격이 오르면 원가율이 상승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반대의 경우 수익성이 개선된다.
실제 제품가격인 통조림과 원재료인 수산물 가격의 차이(스프레드)와 영업이익률을 비교해보면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1년에는 스프레드 감소 폭이 컸지만 영업이익은 소폭 올랐다. 원유 가격이 오르면서 우유 등 제품가격을 올린 점, 판매수수료가 발생하지 않게된 점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동원F&B의 재고자산회전일수는 59일~114일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즉 원재료를 사온 뒤 약 2개월~4개월 뒤 제품으로 만들어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올해 2분기 원재료로 반영될 참치는 올해 2월~4월 사이에 구입됐다고 유추할 수 있다. 국제 참치정보 제공 사이트인 에이튜나닷컴(atuna.com)에 따르면 올해 2월~4월 참치가격 지수는 150 수준으로 2010년 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 당좌자산으로
이익축적지수를 보면 동원F&B의 유형자산은 2009년 말과 올해 1분기에 크게 늘었다. 2009년엔 토지가 재평가된 영향이다. 올해엔 동원데어리푸드를 합병하면서 유형자산이 늘었다. 반면 투자자산은 줄었다. 재평가와 합병 외엔 유형자산의 별다른 변동이 없어 매년 감가상각비 정도의 설비투자만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좌자산은 등락이 있지만 대체로 늘어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11년부터 크게 늘었다. 2010년 1048억원이던 당좌자산은 올해 1분기 2173억원으로 늘었다. 당좌자산에서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이 가장 큰 비중(62%)을 차지하고 있다. 동원F&B의 매출채권회전일수는 27일~68일을 유지하고 있어 매출채권 회수에 문제가 없어 보인다.
▷ 지난해부터 순이익 개선, 주가도 함께 상승
동원F&B의 주당순이익은 지난해부터 꾸준히 늘었다. 2012년 말 5484원까지 내려갔던 주당순이익은 올해 1분기 1만1035원으로 늘었다. 주가도 함께 상승 중이다. 약 1년 동안 주가상승률은 88%에 달한다.
다만 지난해 4월~10월 이익 증가에도 주가는 반대로 움직여 하락한 바 있다. 이처럼 이익증가, 주가하락이 동시에 일어날 때가 동원F&B에 관심을 가지기 좋은 시기가 된다.


같은 기간 자기자본이익률(ROE) 또한 5.3%에서 9.7%로 높아졌다. ROE 상승과 함께 지난해 초반 주가순자산배수(PBR)도 1.29배까지 올랐지만 0.96배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이후 다시 회복해 전일(29일) 기준 PBR은 1.86배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산업 및 수산물 가공업]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최근 세계적으로 육류 소비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수산물 수요가 늘고 있어 장기적으로 성장이 가능한 산업으로 분류된다. 또한 국내 원양 어업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수산업은 수산물 어획(원양어업, 근해어업, 연안어업 등), 양식, 기공 등에 관한 산업을 말하며, 농업 및 축산업과 함께 안정적인 식량공급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다만 일본 방사능 누출로 인한 수산물 기피 현상으로 최근 돈육 및 육계에 비해 고전하고 있다.
원양어업 경기는 생산량, 환율, 선진국의 소비 경기에 영향을 받는다. 주가는 광우병이나 구제역 발생시 단기 급등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편승하는 단기적 시각 보다는 장기적인 트렌드를 이해하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원양어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동원산업이 24%로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고, 신라교역, 사조산업, 동원수산 등이 각각 10% 안팎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관련기업]
원양어업: 동원산업, 신라교역, 사조산업, 동원수산, 한성기업, 사조오양
수산물 가공: 신라에스지, 동원F&B, 사조대림, CJ씨푸드, 사조씨푸드
수산업은 수산물 어획(원양어업, 근해어업, 연안어업 등), 양식, 기공 등에 관한 산업을 말하며, 농업 및 축산업과 함께 안정적인 식량공급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다만 일본 방사능 누출로 인한 수산물 기피 현상으로 최근 돈육 및 육계에 비해 고전하고 있다.
원양어업 경기는 생산량, 환율, 선진국의 소비 경기에 영향을 받는다. 주가는 광우병이나 구제역 발생시 단기 급등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편승하는 단기적 시각 보다는 장기적인 트렌드를 이해하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원양어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동원산업이 24%로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고, 신라교역, 사조산업, 동원수산 등이 각각 10% 안팎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관련기업]
원양어업: 동원산업, 신라교역, 사조산업, 동원수산, 한성기업, 사조오양
수산물 가공: 신라에스지, 동원F&B, 사조대림, CJ씨푸드, 사조씨푸드
[수산업 및 수산물 가공업] 관련종목
주가 : 7월 30일 오후 12시 59분 현재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동원산업 | 333,500원 | ▲1,000원 (0.3%) | 1,535 | -14 | 111 | 19 | 1.76 | 9.3% |
신라교역 | 25,050원 | ▼500원 (-2%) | 682 | 14 | 11 | 27.6 | 1.00 | 3.6% |
사조산업 | 36,950원 | ▼100원 (-0.3%) | 868 | 5 | -27 | N/A | 0.71 | -2.1% |
동원수산 | 7,800원 | ▼140원 (-1.8%) | 244 | 1 | 8 | N/A | 0.74 | -20.8% |
신라에스지 | 3,680원 | ▲40원 (1.1%) | 179 | 4 | 2 | 19.2 | 0.75 | 3.9% |
동원F&B | 201,500원 | ▼3,500원 (-1.7%) | 3,489 | 216 | 184 | 18.6 | 1.81 | 9.7% |
한성기업 | 7,180원 | ▼100원 (-1.4%) | 652 | 13 | 12 | 16.2 | 0.60 | 3.7% |
사조대림 | 14,100원 | ▲400원 (2.9%) | 884 | 22 | 24 | 65 | 0.57 | 0.9% |
CJ씨푸드 | 2,680원 | ▲15원 (0.6%) | 387 | 21 | 16 | 15.2 | 2.08 | 13.7% |
사조오양 | 8,630원 | ▼60원 (-0.7%) | 266 | -24 | -27 | 10 | 0.52 | 5.2% |
사조씨푸드 | 5,070원 | ▼60원 (-1.2%) | 593 | 20 | 10 | 16.6 | 0.56 | 3.4% |
* 기간 : 2014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동원F&B]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국내 참치캔 시장 1위의 종합식품 회사 |
---|---|
사업환경 | ▷ 국민식생활의 서구화, 1인 가족 증가로 식품산업은 꾸준히 성장 중 ▷ 웰빙 트렌드와 신흥국의 식생활 다변화로 수산물 수요 지속 증가하는 추세 ▷ 업계는 원가절감, 제품차별화, 판매가 인상을 통해 성장을 도모하고 있음 |
경기변동 | 경기변동에 둔감한 편임 |
주요제품 | ▷ 일반식품: 참치통조림 외 (55%, 통조림 판매단가 한캔당 11년 1835원 → 12년 2137원 → 13년 2228원 ) ▷ 유제품(16%, 고칼슘 900ml 개당 11년 960원 → 12년 1136원 → 13년 1082원) ▷ 유통: 식재유통 외 (12%) * 괄호 안은 매출 비중 및 판매단가 추이 |
원재료 | ▷ 일반식품 원재료 (58%, 수산물 매입단가 11년 kg당 2316원 → 12년 2657원 → 13년 2624원) ▷ 유통 상품 및 원재료 (19%) ▷유제품 원재료 (12%, 원유 매입단가 11년 kg당 911원 → 12년 968원 → 13년 993원) * 괄호 안은 매입 비중 및 매입단가 추이 |
실적변수 | ▷ 참치 등 수산물 소비 증가시 매출 성장 ▷ 제품가 인상시 원재료가 하락시 수익성 개선 ▷ 원/달러 환율 하락시 수혜 |
리스크 | ▷ 업체간 경쟁심화로 수익성 저하 ▷ 원재료 가격 상승시 수익성 하락 |
신규사업 | 인삼 및 건강식품사업을 성장 사업으로 추진 중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동원F&B의 정보는 2014년 04월 14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동원F&B]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동원F&B] 주요주주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주)동원 엔터프라이즈 | 최대주주 | 보통주 | 2,749,618 | 71.25 | 2,749,618 | 71.25 | - |
조영삼 | 특수 관계인 | 보통주 | 821 | 0.02 | 821 | 0.02 | - |
김해관 | 특수 관계인 | 보통주 | 1,832 | 0.05 | 1,832 | 0.05 | - |
계 | 보통주 | 2,752,271 | 71.32 | 2,752,271 | 71.32 | - | |
우선주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