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차트 우량주 분석

[V차트 우량주] 삼양제넥스, 옥수수가격 하락 '수혜'

단독 [아이투자 강현정]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 중에 실적에 비해 주가가 덜 오른 기업을 소개합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삼양제넥스는 전분 및 전분당 제조사다. 대상, CPK, CJ제일제당 등과 함께 국내 시장을 과점하고 있다. 1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삼양제넥스의 시장점유율은 28%다. 전분 시장은 소수업체가 시장을 선점하고 있고, 제품 생산을 위한 대규모 설비가 필요해 진입장벽이 높다.

삼양제넥스는 매출 전부를 전분과 전분당으로 올리고 있다. 과거 소맥분, 외식, 의약사업 매출 등이 연결로 반영됐지만 지난해 초 투자사업부를 분할하면서 삼양밀맥스(소맥분사업), 세븐스프링스(외식업), 삼양제넥스바이오(의약사업)를 지주사 삼양홀딩스에 편입시켰다. 현재는 전분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최대주주인 삼양홀딩스가 특수관계인을 포함 지분 55.06%를 보유 중이다.

▷ 설탕가격 따라 매출 증감, 원재료 가격 따라 이익 증감

전분은 설탕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대체재다. 따라서 설탕 가격에 영향을 받는다. 즉 설탕가격이 오르면 전분 수요가 늘어나고, 설탕가격이 내리면 반대 경우가 발생한다.

2008년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던 삼양제넥스의 매출액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꾸준히 늘었다. 설탕 가격이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제 설탕 가격은 브라질 등 주요 설탕 생산국가가 기상 악화로 공급이 줄어들면서 오르기 시작, 2010년 말에는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상품거래업체 인터컨티넨털익스체인지에 따르면 2011년 3월 인도분 원당 가격이 장중 한때 파운드당 34.71센트까지 치솟아 지난 30년간 최고 기록을 세웠다.

2012년부터 설탕 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되면서 설탕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했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삼양제넥스의 매출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매출액과 달리 이익의 등락폭은 심하다. 전분업체 특성상 원재료 가격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삼양제넥스는 미국, 중국, 남미 등으로부터 옥수수를 수입해 만든 전분을 주로 제과, 제빵, 음료 등 음식료 업체에 공급한다. 옥수수 수입액이 전체 원재료 매입액의 90% 이상을 차지해 국제 옥수수 가격이 하락해야 유리하다.



실제 삼양제넥스는 옥수수 수입가가 내렸을 때 수익성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 1분기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면서 영업이익률은 12%로 개선됐다. 삼양제넥스 영업이익률이 10%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06년 이후 8년만이다.

최근 옥수수 가격은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 따르면 2012년 8월 부셸당 8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 수준에 달했던 옥수수 선물 가격은 지난해 7월 중순 급락해 현재 5달러 아래에 머물고 있다. 전일 기준 가격은 3.63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5% 낮은 수준이다.

▷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은 대부분 당좌자산으로

삼양제넥스는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 대부분을 당좌자산으로 쌓았다. 올해 1분기 전체 자산 중 당좌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49%로 가장 많다. 이익축적지수에서 이익잉여금과 당좌자산이 함께 늘어남을 볼 수 있다. 특히 현금및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자산을 합친 비중이 41%다.

2011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IFRS)를 도입하면서 과거기업회계기준에서 인식한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의 일시적 차이에 대한 이연법인세부채를 취소하고 이익잉여금으로 재분류 한 결과 이익잉여금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 투자사업부를 분할하면서 전분사업을 제외한 기타 사업부문을 지주사 삼양홀딩스에 편입시킨 결과 2012년 2056억원을 기록했던 지분관련투자자산은 올해 1분기 267억원으로 대폭 줄었다.



삼양제넥스는 풍부한 현금을 바탕으로 지난 10년간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했다. 특히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시가배당률이 3%를 넘어서기도 했다. 지난해 배당금은 2000원, 시가배당률은 2.1%를 기록했다.

▷ 주당순이익, 주가 동반 상승..PER 8.6배

삼양제넥스의 주가는 대체로 주당순이익과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2012년부터 주당순이익과 함께 주가도 올랐다. 2012년 1분기 4864원이던 주당순이익은 올해 1분기 1만3931원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주가도 5만5000원 수준에서 13만원으로 높아졌다.

2010년~2013년까지 4년 동안 삼양제넥스는 주가순이익배수(PER) 5.5배~7.6배 사이에서 거래됐다. 현재 PER은 8.6배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소맥, 옥수수, 대두박 등 곡물가격 상승·하락 관련주]

[한국투자교육연구소] 곡물가 하락으로 미국 농부들이 울상 지을 때, 반대편 나라에선 웃는 이들이 있다. 바로 곡물을 원재료로 이용해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이다.

곡물 가격은 주요 곡물 생산 국가들의 작황에 따라 움직인다. 가뭄이나 자연재해로 생산량이 줄면 곡물 가격이 상승하고, 작황이 좋으면 생산량이 늘어 곡물 가격이 하락한다. 만약 가격이 오르면 곡물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기업들의 원가율이 상승해 수익성이 악화된다.

하지만 이후 곡물 가격이 하락하면 제품가는 그대로 유지돼 영업이익이 증가한다. 원재료 급등 → 제품가 인상 → 원재료가 하락 → 제품가 유지 → 이익 급증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현 시점의 곡물 선물 가격은 약 5~6개월 후 기업들의 원재료 매입단가에 반영된다.

최근 국내 기업들은 곡물 자급률이 내리면서 수입의존도가 과거보다 높아졌다. 환율을 더욱 눈여겨 봐야 하는 이유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사료곡물 포함)은 지난 1990년 43% 수준이었으나, 2000년 30%, 지난해 23%까지 하락했다. 쌀을 제외하면 고작 3.4%에 불과하다. 한국의 곡물자급률(쌀 포함)은 OECD 34개 국가 중 28위 수준이다.

[곡물 가격 관련주]
-사료 및 제분(옥수수, 소맥 등): 동아원
-제분(소맥): CJ제일제당, 대한제분
-전분당(옥수수): 삼양제넥스, 대상
-유지류(대우유 등): 롯데푸드, 사조해표

[소맥, 옥수수, 대두박 등 곡물가격 상승·하락 관련주] 관련종목

주가 : 7월 29일 오전 10시 18분 현재
종목명 현재가 전일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PER PBR ROE
대한제당 33,350원 ▼150원 (-0.5%) 2,727 88 62 15.9 0.56 3.6%
선진 33,750원 ▼850원 (-2.5%) 1,376 100 79 8.1 1.85 22.9%
고려산업 2,920원 ▲20원 (0.7%) 449 26 23 11 1.06 9.6%
영남제분 2,400원 ▼50원 (-2%) 194 -15 -25 N/A 1.14 -7.7%
한일사료 1,585원 ▲15원 (1%) 329 11 10 15.2 0.92 6.1%
우성사료 3,480원 ▼120원 (-3.3%) 706 20 9 16 0.65 4.1%
동아원 3,040원 ▼20원 (-0.7%) 1,164 39 -7 N/A 1.41 -0.5%
케이씨피드 2,365원 ▼35원 (-1.5%) 227 2 -10 39.2 0.61 1.6%
팜스토리 1,840원 ▼45원 (-2.4%) 1,017 74 40 11 1.25 11.4%
이지바이오 7,070원 ▲20원 (0.3%) 257 50 85 14.8 1.48 10%
팜스코 14,200원 ▼450원 (-3.1%) 1,979 63 34 26.4 2.13 8.1%
씨티씨바이오 13,650원 ▼400원 (-2.9%) 243 6 -3 N/A 2.64 -0.9%
삼양사 56,200원 ▼1,300원 (-2.3%) 3,069 69 76 11.3 0.59 5.2%
백광산업 3,130원 ▼60원 (-1.9%) 710 -64 -96 N/A 0.65 -28.3%
삼양제넥스 129,500원 ▼1,500원 (-1.2%) 910 111 85 8.6 0.74 8.6%
대상 48,000원 ▲300원 (0.6%) 3,896 395 311 13.4 2.30 17.2%
대한제분 195,000원 ▲1,000원 (0.5%) 943 100 108 10.9 0.54 5%
CJ제일제당 329,000원 ▼12,000원 (-3.5%) 11,509 1,032 503 34.2 1.54 4.5%
롯데푸드 742,000원 ▼6,000원 (-0.8%) 3,835 145 135 15 1.31 8.7%
사조해표 14,100원 ▼300원 (-2.1%) 1,656 63 65 4 1.00 0%
* 기간 : 2014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삼양제넥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전분·전분당 주력으로 생산하는 식품업체(시장점유율 28~29%)
사업환경 ▷ 전형적인 내수산업이며 장치산업
▷ 전분당 시장은 대상, CPK, CJ제일제당과 경쟁
▷ 시장 포화상태로 제품가와 원재료 값 차이에 따라 수익성 결정
▷ 최근 고유가에 따른 원가부담과 내수경기 침체 등으로 경쟁강도 심화
경기변동 생활필수품으로 소비재에 비해 경기변동에 비탄력적
주요제품 ▷ 식품: 전분, 전분당 등 (98%)
(전분당 톤당 11년 62만4000원 → 12년 62만5000원 → 13년 63만2000원 → 14년 1분기 58만3000원)
▷ 의약: 항암제 (1%)
*괄호안은 매출 비중 및 가격 추이
원재료 옥수수 : 전분 및 전분당 제조, 미국등에서 수입 (92%)
(옥수수 톤당 11년 329달러 → 12년 328달러 → 13년 335달러 → 14년 1분기 259달러)
실적변수 ▷ 옥수수 가력 하락시 수혜
▷ 환율 하락시 영업 외 수익 발생
리스크 원재료(옥수수) 가격 강세시 수익성 악화
신규사업 진행중인 신규사업 없음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삼양제넥스의 정보는 2014년 06월 25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삼양제넥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손익계산서 2014.3월 2013.12월 2012.12월 2011.12월
매출액 910 3,941 4,221 3,950
영업이익 111 219 175 251
영업이익률(%) 12.2% 5.6% 4.1% 6.4%
순이익(연결지배) 85 238 300 266
순이익률(%) 9.3% 6% 7.1% 6.7%
주요투자지표
이시각 PER 8.63
이시각 PBR 0.74
이시각 ROE 8.56%
5년평균 PER 7.48
5년평균 PBR 0.48
5년평균 ROE 6.55%

(자료 :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삼양제넥스] 주요주주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주)삼양홀딩스최대주주보통주927,01248.64927,01248.64-
수당재단특수관계인보통주39,7832.0939,7832.09-
김량최대주주 임원보통주7480.047480.04-
김영난특수관계인보통주14,8180.7814,8180.78-
김영주특수관계인보통주15,5450.8215,5450.82-
김원최대주주 임원보통주1,8010.091,8010.09-
김유주특수관계인보통주18,1360.9518,1360.95-
김윤최대주주 임원보통주1,9140.101,9140.10-
김정특수관계인보통주24,4861.2824,4861.28-
윤영섭특수관계인보통주5,0620.275,0620.27-
보통주1,049,30555.061,049,30555.06-
1,049,30555.061,049,30555.06-
[2014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주식수(주), 지분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