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 | V차트(Value Chart) 우량주는 실적과 재무 안전성이 우량한 기업 중에 실적에 비해 주가가 덜 오른 기업을 소개합니다. V차트는 아이투자에서 자체 개발한 재무분석 도구로 재무제표를 차트로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1984년 담배 필터 제조사인 신평물산으로 설립된 이라이콤은 1990년 전자사업으로 진출했다. 다음해인 1991년 BLU(Back Light Unite) 개발에 성공했다. BLU란 말 그대로 ‘뒤에서 빛을 내는 광원’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디스플레이인 LCD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다. 때문에 그 뒷면에 광원을 둬 LCD화면을 밝힌다. BLU는 LCD의 광원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이라이콤은 2000년에 필터사업부를 분할해 신평을 설립했고, 2003년에 매각한 후 전자사업만 하고 있다.
이라이콤은 중소형 모바일 BLU 부문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20%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중소형 모바일 BLU 시장은 Omron(시장 점유율 22%), 이라이콤, MNB(19%) 3강 체제다. 이라이콤은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 54%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비슷한 사업을 하는 회사로는 KJ프리텍, 파인텍 등이 있다. 국내 2위권 업체의 점유율은 12%로 이라이콤과 격차가 크다.
▷ 스마트기기 팔릴수록 매출 증가
이라이콤의 매출은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선되기 시작했다. 애플에 납품하기 시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라이콤은 2010년부터 LG디스플레이를 통해 애플 아이폰에 공급하기 시작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애플 아이폰의 45%를 이라이콤이 담당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익도 개선됐다. 다만 2012년에 영업환경 악화로 LCM(액정표시장치 모듈) 사업부문을 중단한 결과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이라이콤의 실적은 다시 개선되기 시작했다. 태블릿PC 판매 증가 영향으로 보인다. 이라이콤은 삼성디스플레이를 통해 삼성전자 태블릿PC에 주로 BLU를 납품한다. 지난해 삼성전자 태블릿PC 판매량은 4250만대로 2012년 대비 156% 늘었다. 특히 태블릿PC에 들어가는 BLU 제품 가격은 지난해 말 기준 1만3900원 수준으로 피쳐폰, MP3 액정 등에 사용되는 일반 BLU와 스마트폰 BLU 가격 2400원 ~ 2700원 대비 매우 높다.
올해 1분기 실적도 개선됐다. 별도 기준 매출액은 17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늘었다. 영업이익은 63% 증가한 122억원을, 연결 지배기준 순이익은 100% 늘어난 103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 대부분 현금으로 쌓아
2010년부터 이익이 늘어나면서 당좌자산도 함께 늘어남을 알 수 있다. 이라이콤의 당좌자산은 현금 및 예금과 매출채권으로 대부분 구성돼 있다. 2010년 이후 매출채권회전일수가 늘곤 있지만, 여전히 3개월 미만을 기록하고 있어 현금 회수에 문제가 없어 보인다. 따라서 이라이콤은 벌어들인 이익 대부분은 시차를 두고 현금으로 쌓인다.


올해 1분기 기준 이라이콤의 당좌자산은 2047억원이다. 이 가운데 현금(현금및현금성자산 + 단기금융자산)은 716억원으로 차입금 138억원을 제외한 순현금은 578억원으로 전일(23일) 시가총액 대비 28.8% 규모다.
반면 제조업체임에도 유형자산은 적다. 이는 연결대상 종속기업인 중국법인과 베트남 법인이 대부분 생산하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기준 해외법인의 생산능력 비중은 90%이며, 생산실적 비중은 86%에 달한다.
한편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로 2009년 유형자산을 취득했다. 2010년 임대가 이뤄지면서 이라이콤은 유형자산 중 일부를 투자부동산으로 재분류했다.
▷ 이익은 ↑, 주가는 →
실적과 동반 상승하던 주가는 올해 들어 1만8000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다. 주력 고객사 중 하나인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영향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실적 부진에 이라이콤이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매출도 감소할 것이란 우려감이 반영된 결과다.

이런 가운데 애플이 올해 9월 신제품을 내놓는 점은 긍정적이다. 지난 25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오는 9월 4.7인치와 5.5인치 두 종류의 아이폰6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화면을 아이폰5의 4인치보다 확대한다.
증권가에선 작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불만 해소로 아이폰 판매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만약 전망이 현실로 이어진다면 이라이콤은 납품 물량 증가와 판매단가 인상 효과를 동시에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이라이콤이 만드는 백라이트 유닛(BLU)은 크기가 커질수록 판매단가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아이투자(www.itooz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마트폰, 태블릿PC 부품 기업]
[한국투자교육연구소] 스마트폰, 태블릿PC는 기존의 휴대전화와 PC를 대체하며 급성장하고 있다.
시장분석기관 가트너(Gartner)는 2012년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을 전년 대비 32% 증가한 5.2억 대로 예상했다. 이는 전체 휴대폰 판매량 중 37%에 해당한다. 태블릿PC 예상 판매량은 1억 3백만대로 2011년의 2배의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핵심 부품은 PCB, 특히 FPCB(연성PCB)이며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터치패널 관련 기술력 보유 업체도 수혜가 예상된다. 이외 카메라 모듈, 휴대폰용 필터, 휴대폰 패널 부품 업체들도 관심 대상이다. 2011년 3분기 스마트폰 점유율 1위에 오른 삼성전자의 판매량이 상승할 수록 부품 기업의 실적도 개선될 전망이다.
[스마트기기 부품 관련기업]
ㅇ LCD모듈 :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텍(중저가)
ㅇ 디스플레이 부품 : 실리콘웍스, 이라이콤, 우주일렉트로, 엘디티
ㅇ 프로세서 : 퀄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ㅇ D램, 낸드플래시, LDI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ㅇ 터치모듈 : 에스맥, 시노펙스, 멜파스, 일진디스플레이, 유아이디, 태양기전, 모린스
ㅇ 터치IC : ATMEL/Cypress, 멜파스
ㅇ 카메라모듈 완성품 : 삼성전기, 삼성광통신, 파트론, 캠시스, 엠씨넥스
ㅇ 카메라모듈 IR필터 : 옵트론텍, 나노스
ㅇ 카메로모듈 렌즈 : 세코닉스, 디지탈옵틱, 코렌
ㅇ 카메라모듈 AFA : 삼성전기, 하이소닉, 아이엠, 자화전자
ㅇ WiFi/GPS/Bluetooth : 삼성전기, Murata,TDK
ㅇ 안테나 : 파트론, 아모텍
ㅇ 아이솔레이터 : 파트론
ㅇ 필터/듀플렉서 : 와이솔, 이노칩
ㅇ 배터리 : 삼성SDI, LG화학
ㅇ 오디오IC : 삼성전기, 블루콤, 이엠텍(
ㅇ 커넥터 : 우주일렉트로닉스, 교세라, 마쯔시다
ㅇ 고다층기판(HDI) : 삼성전기, 대덕전자, 코리아써키트, 디에이피, 이수페타시스
ㅇ 연성회로기판(FPCB) : 인터플렉스, 대덕GDS, 플렉스컴, 비에이치, 액트
ㅇ 케이스: 인탑스, 신양, 모베이스, 피앤텔, 우전앤한단
ㅇ 금속물 : KH바텍
시장분석기관 가트너(Gartner)는 2012년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을 전년 대비 32% 증가한 5.2억 대로 예상했다. 이는 전체 휴대폰 판매량 중 37%에 해당한다. 태블릿PC 예상 판매량은 1억 3백만대로 2011년의 2배의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핵심 부품은 PCB, 특히 FPCB(연성PCB)이며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터치패널 관련 기술력 보유 업체도 수혜가 예상된다. 이외 카메라 모듈, 휴대폰용 필터, 휴대폰 패널 부품 업체들도 관심 대상이다. 2011년 3분기 스마트폰 점유율 1위에 오른 삼성전자의 판매량이 상승할 수록 부품 기업의 실적도 개선될 전망이다.
[스마트기기 부품 관련기업]
ㅇ LCD모듈 :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텍(중저가)
ㅇ 디스플레이 부품 : 실리콘웍스, 이라이콤, 우주일렉트로, 엘디티
ㅇ 프로세서 : 퀄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ㅇ D램, 낸드플래시, LDI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ㅇ 터치모듈 : 에스맥, 시노펙스, 멜파스, 일진디스플레이, 유아이디, 태양기전, 모린스
ㅇ 터치IC : ATMEL/Cypress, 멜파스
ㅇ 카메라모듈 완성품 : 삼성전기, 삼성광통신, 파트론, 캠시스, 엠씨넥스
ㅇ 카메라모듈 IR필터 : 옵트론텍, 나노스
ㅇ 카메로모듈 렌즈 : 세코닉스, 디지탈옵틱, 코렌
ㅇ 카메라모듈 AFA : 삼성전기, 하이소닉, 아이엠, 자화전자
ㅇ WiFi/GPS/Bluetooth : 삼성전기, Murata,TDK
ㅇ 안테나 : 파트론, 아모텍
ㅇ 아이솔레이터 : 파트론
ㅇ 필터/듀플렉서 : 와이솔, 이노칩
ㅇ 배터리 : 삼성SDI, LG화학
ㅇ 오디오IC : 삼성전기, 블루콤, 이엠텍(
ㅇ 커넥터 : 우주일렉트로닉스, 교세라, 마쯔시다
ㅇ 고다층기판(HDI) : 삼성전기, 대덕전자, 코리아써키트, 디에이피, 이수페타시스
ㅇ 연성회로기판(FPCB) : 인터플렉스, 대덕GDS, 플렉스컴, 비에이치, 액트
ㅇ 케이스: 인탑스, 신양, 모베이스, 피앤텔, 우전앤한단
ㅇ 금속물 : KH바텍
[스마트폰, 태블릿PC 부품 기업] 관련종목
주가 : 7월 24일 오전 10시 19분 현재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대비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PER | PBR | ROE |
---|---|---|---|---|---|---|---|---|
인터플렉스 | 12,250원 | ▲650원 (5.6%) | 1,792 | -260 | -171 | N/A | 0.54 | -3.5% |
이녹스 | 17,350원 | ▲350원 (2.1%) | 463 | 87 | 74 | 7 | 1.58 | 22.5% |
플렉스컴 | 6,580원 | ▼20원 (-0.3%) | 575 | -32 | 9 | 4.9 | 0.76 | 15.4% |
대덕전자 | 8,490원 | ▼20원 (-0.2%) | 1,516 | -33 | 45 | 89.7 | 0.99 | 1.1% |
비에이치 | 7,660원 | ▼40원 (-0.5%) | 773 | 44 | 29 | 6.2 | 1.32 | 21.2% |
아모텍 | 9,090원 | ▲20원 (0.2%) | 451 | 17 | 7 | 12.5 | 0.67 | 5.4% |
KH바텍 | 21,350원 | ▲100원 (0.5%) | 719 | 109 | 64 | 6.3 | 1.38 | 22% |
액트 | 2,150원 | ▲15원 (0.7%) | 168 | -6 | -7 | 43 | 0.80 | 1.9% |
코리아써키트 | 8,440원 | ▲190원 (2.3%) | 1,123 | 77 | 21 | 7 | 0.54 | 7.8% |
디에이피 | 4,700원 | 0원 (0%) | 745 | 50 | -37 | 9 | 1.36 | 15.2% |
실리콘웍스 | 22,200원 | 0원 (0%) | 874 | 71 | 79 | 10.9 | 1.33 | 12.2% |
이라이콤 | 17,000원 | ▲550원 (3.3%) | 1,764 | 123 | 104 | 4.8 | 1.17 | 24.4% |
우주일렉트로 | 12,550원 | ▼100원 (-0.8%) | 519 | 45 | 45 | 9 | 0.75 | 8.3% |
멜파스 | 6,310원 | ▲70원 (1.1%) | 901 | -29 | -26 | N/A | 0.78 | -11.2% |
일진디스플 | 9,620원 | ▲190원 (2%) | 1,896 | 149 | 114 | 6.3 | 1.71 | 27.3% |
에스맥 | 5,420원 | ▲40원 (0.7%) | 781 | -30 | -37 | 5.4 | 0.76 | 14.1% |
LG이노텍 | 137,500원 | ▼1,000원 (-0.7%) | 12,885 | 206 | 164 | 85.2 | 2.44 | 2.9% |
캠시스 | 2,530원 | ▼10원 (-0.4%) | 1,106 | 36 | 68 | 6.8 | 1.16 | 17.1% |
파트론 | 11,200원 | 0원 (0%) | 2,255 | 260 | 259 | 6.8 | 2.03 | 30% |
삼성SDI | 166,000원 | ▲500원 (0.3%) | 8,643 | -813 | 391 | 123.6 | 1.53 | 1.2% |
유아이디 | 7,040원 | ▼110원 (-1.5%) | 177 | 38 | 27 | 5.9 | 1.62 | 27.2% |
태양기전 | 4,470원 | ▲65원 (1.5%) | 483 | -30 | 5 | 28 | 0.63 | 2.3% |
이수페타시스 | 4,010원 | 0원 (0%) | 669 | 34 | -11 | 5.9 | 0.87 | 14.7% |
인탑스 | 19,600원 | ▲700원 (3.7%) | 896 | -32 | 23 | 5.5 | 0.45 | 8.2% |
자화전자 | 16,400원 | ▼350원 (-2.1%) | 1,086 | 121 | 104 | 6.8 | 1.27 | 18.6% |
하이소닉 | 3,225원 | ▼90원 (-2.7%) | 88 | -10 | -6 | N/A | 1.32 | -20.6% |
옵트론텍 | 5,930원 | ▼20원 (-0.3%) | 190 | -9 | -26 | 16.4 | 1.22 | 7.4% |
이노칩 | 13,900원 | ▲150원 (1.1%) | 273 | 58 | 53 | 10.4 | 2.00 | 19.2% |
와이솔 | 8,770원 | ▲20원 (0.2%) | 444 | 27 | 34 | 11.5 | 1.87 | 16.3% |
엘디티 | 2,420원 | ▲15원 (0.6%) | 24 | -7 | 1 | N/A | 0.82 | -16.5% |
크로바하이텍 | 2,905원 | ▼5원 (-0.2%) | 133 | -14 | -20 | N/A | 0.99 | -9.1% |
* 기간 : 2014년 1월~3월 누적, 단위는 억원, 매출액·영업이익은 K-IFRS 개별, 순이익은 K-IFRS 연결지배
[이라이콤] 투자 체크 포인트
기업개요 | 휴대폰용 LCD 백라이트유닛(BLU) 제조 전문기업. LG디스플레이(애플 향 포함)와 삼성전자에 주로 납품. |
---|---|
사업환경 | ▷ 스마트폰, 태블릿PC 보급 확대로 소형 IT기기용 백라이트 유닛 수요가 늘었음 ▷ 기술 격차를 내기 힘든 산업으로 매년 단가 인하 압력을 받고 있음 |
경기변동 | 경기 민감 산업으로 전방산업인 휴대폰 생산량에 직접적 영향을 받음 |
주요제품 | ▷ LCD용 BLU 제품(매출비중 75%) ▷ LCD용 BLU 상품(25%) ▷ 제품가 : TFC-LCD 백라이트 유닛 - 스마트폰용 12년 2234원 → 13년 2637원 → 14년 2813원 - 태블릿PC용 12년 1만2421원 → 13년 1만3992원 → 14년 1만6501원 |
원재료 | ▷ LED ASS'Y (31%, 11년 1210원 → 12원 1098원 → 13년 1337원 → 14년 1275원) ▷ 디지타이저 (12%, 11년 N/A → 12년 1만4477원 → 13년 1만1697원 → 14년 1만5636원) ▷ 프리즘시트 등 기타 부품 (57%) (괄호 안은 매입비중 및 매입가) |
실적변수 | ▷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시 수혜 ▷ 환율 상승시 수혜 |
리스크 | ▷ 매년 제품 단가 인하에 따른 이익률 하락 ▷ 광원이 BLU에서 OLED 등으로 대체시 실적 하락 불가피 |
신규사업 | 해당사항 없음 |
위의 기업정보는 한국투자교육연구소가 사업보고서, IR 자료, 뉴스, 업계동향 등 해당 기업의 각종 자료를 참고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이라이콤의 정보는 2014년 06월 03일에 최종 업데이트 됐습니다.
(자료 : 아이투자 www.itooza.com)
[이라이콤] 한 눈에 보는 투자지표
(단위: 억원)
[이라이콤] 주요주주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주)진양홀딩스 | 본인 | 보통주 | 7,843,740 | 65.36 | 7,843,740 | 65.36 | - |
계 | 보통주 | 7,843,740 | 65.36 | 7,843,740 | 65.36 | - | |
우선주 | 0 | 0.00 | 0 | 0.00 | - | ||
기 타 | 0 | 0.00 | 0 | 0.00 | - |